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

        1.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텍스트마이닝 방법을 활용하여 팡팡의 우한일기 텍스트를 해체, 조합 하고 페어클로프의 비판적 담론 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 모형을 적용, 우 한일기의 담론 구조와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한일기 ‘제목+본문’ 구조 에서 정보성 담론과 의견과 주장 담론을 선택적 배치하였다. ‘武汉’, ‘疫情’ 등 단어와 ‘愤怒, ‘武汉人’, ‘医生朋友’, ‘极左’ 등 단어가 핵심어로 선정되었다. 담론적 실천은 1. ‘우한 봉쇄 상황’ 정보성 담론, 2.‘우한 지역의 코로나 상황’ 정보성 담론, 3.‘대응 실패 책임론’ 의견, 주장의 담론, 4.‘봉쇄된 시민의 일상과 비극’ 정보와 주장 혼합 담론, 5. ‘반대 의견자의 공격’ 상호텍스트성 담론이 도출되었다. 반대 의견의 ‘极左’ 담론은 텍스트 밖에서 ‘증오와 갈등’ 담론으로 탈·접합되었다.
        6,000원
        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specific aspects of the utilization of the pavilion by a group of governors in the mobile office system of the early Joseon Dynasty through two diaries written in the 16th century. Miam Diary by Yu Hee-chun, a governor of Jeolla Province, and Jaeyeongnam Diary by Hwang Sa-woo, a chief aide of Gyeongsang Province, are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s that reveal the utilization patterns of the pavilion by the governor, who was the decision maker and main user of governmental pavil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wo diaries, the utilization of governmental pavilions was concentrated in the hot summer season, May to Jul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temperature and humidity. While pavilions are mostly used as office and banquet places, some notable usage patterns have been identified. When there were several governmental pavilions in a town, the order of appreciation wa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location and scenery, and the pavilions were also used as a place to encourage learning as governors taught Confucian scholars well. Governmental pavilions functioned as a device to visualize hierarchy through seating and accommodation arrangements. The authors of the diaries left comments on the famous pavilions and sometimes went to see the pavilions after asking for permission from the superior.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reconstructed the relationship network and phases of the times of governmental pavilions scattered across the country through institutions and daily life.
        4,800원
        3.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records of astronomical phenomena in the Hyeonjong-Donggung-Ilgi written by the educational office for a crown prince, Sigang-won, during the time of a crown prince of the king Hyeonjong (i.e., from 1649 to 1659). Of the total of 3,625 days, 3,044 astronomical accounts were compiled from astronomical records of 2,003 days. We classified these astronomical accounts into 16 items, grouped into five categories, and statistically analyzed each group. In our analysis, the accounts for atmospheric optical phenomena equates to 57.9% of the total, and for celestial phenomena visible during the daytime the percentage is 17.3%. The records related to the approach between two objects such as planets, moon, and stars account for 3.3%, and solar or lunar eclipses take up 0.6%. The ratio of accounts regarding meteor, comet, and fire light (火光) stand at 13.8%, 0.30%, and 6.8%, respectively. Sunny days account for 71.1% of all days per year during this period. We determined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fire light by month is similar to that of the solar halo. We also found that the astronomical records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correspond to only 30% of those of the Hyeonjong-Donggung-Ilgi for the same period. In particular, the phenomena of celestial objects occurring outside the atmosphere are transmitted to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n a higher proportion than the phenomena inside the air.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use a historical diary like a Donggung-Ilgi to interpret the phenomena in the air such as atmospheric optical events, meteor, and fire light.
        5,700원
        4.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일전쟁 후 국방건설에서 뚜렷한 특징 가운데 하나는 서양을 모델로 배우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일본을 새로운 모델로 삼으려는 노력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짧은 기간 동안에 일본의 제도를 참고해 군사 기구를 재정비하거나, 일본에서 새로운 군 함이나 무기를 구입하거나, 일본인 군사 교습을 초빙해 중국의 군사학교에 파견한 일 등이 그것이다. 청국 관신(官臣)들은 일본 측 요청으로 일본군 군사훈련을 관람했 을 뿐만 아니라 병기공장과 군사학교를 참관하면서 학제, 설비, 교과 내용 등을 파악 하였다. 그들이 방문한 군사와 교육 관련 기관단체의 소개와 설명이 동유일기(東遊日 記)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따라서 동유일기는 청국인의 일본 시찰 뿐만 아니라 일본유학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본문에서는 우선 군사 시찰(육군, 해군) 현황을 간단히 살펴보고, 군사 유학(육군, 해군)을 중심으로 정리 분석하였다.
        7,800원
        5.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 in the second year of King Gojong's reign, which has been spotlighted for political and economic history. The author analyzed the contents of wood procurement with the Yeonggeon Diary, which records each day of construction sit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2nd year of King Gojong's reign, Yeonggeon of Gyeongbokgung Palace, was a new building that reflected the old system and 270 years of changed environment on the existing site. Despite the poor economic conditions, it began with years of effort and voluntary volunteer work and dedication. Second, the priority of timber transport was recruiting people in the whole process and the supply and demand of transportation tools. Carrying lumber from the mountains to the riverside and floating it at the right time were all a matter of manpower. Soldiers and carts were used to carry timber that arrived in Hangang River to the construction site. The cart was a consumable product, so it was necessary to continuously use the wood to make cart at the site. Third, fire and flood were the biggest obstacles to the Yeonggeon schedule of Gyeongbokgung Palace. Especially the fire was fatal. It was difficult to extinguish the fire in temporary structure, where was the storage for wood to construct. These disasters greatly affected th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Wood procurements of Gyeongbokgung Palace were based on public offerings. At the same time, recycled materials from other palace wood and nearby houses, nationwide buying of private mountain wood, the logging of royal tombs and some of the buildings of Gyeonghui Palace and Changgyeong Palace were relocated.
        4,300원
        6.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spite the extensive research on second language learning motivation,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with Chinese learning motivation and the focus of the research has been limited mainly to identifying types of motivation. Considering the popularity of Chinese as a second language and the lack of research on Chinese learning motivation, the study aims to illustrate the process of motivational changes in learning Chinese from the sociocultual perspectiv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researcher’s own autobiographic diary written while she was learning Chinese. Using the framework of an Activity Theory, the data were analyzed to find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nt’s motivatonal chang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articipant’s motivation was affected by dynamic interaction of mediational tools, relationships within the community, and different roles of the learner. The findings imply that the level of motivation is affected by how the learner resolves the tensions among those factors to move forward to the goal of becoming a multilingual speaker. The study may provide a methodological insight into L2 motivation research by analyzing and describing a longitudinal Chinese learning experience from a first-person point of view.
        6,400원
        8.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본인 필사본 『정산일기』에 대한 연구이다. 이도기(1743-1798)는 충청도 정산 지역에서 살다 정사박해로 순교한 천주교인이다. 『정산일기』는 정산의 천주교 교우촌의 등장과 함께 지역의 박해였던 정사박해를 배경으로 무명 순교자들의 신앙을 보존하고 이어가고자 한 종교 문학의 하나였다. 『정산일기』는 그가 옥에 갇혀 순교하기까지 1797년 6월부터 1798년 6월 12일까지의 사건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정산일기』는 정산 지역의 평민 천주교인이 순교자가 되는 과정을 서사화함으로써 무명의 평신도도 천주교의 지도자, 예수의 사도, 하늘의 성인이 될 수 있는 길을 보여 준 작품이기도 하다. 또한 일기의 형식을 취함으로써 사실의 진실성을 강조하고, 대화체를 통해 이도기의 신앙을 효과적으로 드러냈다. 고난을 피하지 않고 대면하고, 고난을 의미화하며, 예수의 십자가를 자신의 삶으로 투영한 이도기를 통해 『정산일기』는 순교를 예술적으로 미화하고 천주교의 신앙 가치를 담은 문학 작품으로 남을 수 있었다. 동시에 『정산일기』는 조선시대 일기문학 중 천주교 순교일기의 하나로 한국문학사에서 기술되어야 한다.
        6,100원
        9.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문학지리학 연구의 관심 증가와 함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지리정보 기술의 발전은 문학 작품의 지리정보 분석 및 서비스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문학 작품에서 나타나는 지리적 사고와 내용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분석과 이를 기반으로 한 지리정보 기술의 적용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대상으로 인터넷 기반의 지리정보를 분석하고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박지원의 「열하일기」에서 나타나는 지리적 사고와 내용을 5가지, 위치/영역, 지형, 기후, 지역지리, 영토/세계관을 중심으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Google Map, ArcGIS를 이용하여 6가지 주요 기능을 구현하 였는데, 이는 다양한 공간 스케일의 지도 조작 및 탐색, 2차원 및 3차원 지도 시각화 기능, Mashup 기능을 이용한 위치정보와 다양한 정보들의 결합, 고도 단면도 생성 및 분석, 이동거리 분석, 날씨 정보와 이동거리 정보의 시간 시각화, 역사지도와의 연계이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문학 작품에 대한 보다 입체적, 다차원적인 지리적 이해를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5,200원
        10.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dicinal porridge (藥粥) is made by putting rice or grains into a pot and boiling with water until a semi-liquid texture is obtained. Porridge is digested fast and absorbed by the body. Children or elderly people with weak digestive ability can eat it without difficulty. The authors of this literature focused on utilization of mung bean porridge (Nokdu-juk) based on SeungjeongwonIlgi (承政院日記), which is the daily record of the Royal Secretariat of the Joseon Dynasty from 1623 to 1910. Four cases were found. The first case used mungbean for treating fever diseases (熱症), the second as a meal alternative, the third for wound recovery, and the last case described the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actual cases in SeungjeongwonIlgi (承政院日記), mung bean porridge (Nokdu-juk) was actively used to lower fever and strengthen the spleen and stomach. When suffering from the after effects of a malignant tumor or serious liver disease (肝 病), an infectious disease, or a serious physical wound, people ate mung bean porridge (Nokdu-juk). It is suggested that mung bean porridge (Nokdu-juk)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food treatment for the current medical field due to the prevalence of pain-killers and psychotropic drug abuse.
        4,500원
        11.
        2015.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도산의 사사로운 개인 생활사에 관한 試論的 小考라 하겠다. 그동안 도산에 관한 연구는 상당하다. 유명한 연설가로, 독립운동가로, 교육자로, 민족의 스승으로 등 여러 분야와 여러 관점에서 조명되었다. 따라서 도산에 관해서는 더 이상 연구주제를 찾기 어려울 만큼 큰 진척을 보았다. 그러나 개인 도산 안창호의 사사로운 개인적 삶을 구명한 연구는 별반 없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점에 유념하여 도산 삶 가운데 상해에서 활동하던 기간 (1919-1921)으로 한정하여 그의 개인생활의 일단을 살펴보려 한다. 마침 이 시기 상해에서의 개인 삶의 일면을 엿볼 수 있는 <일기>와 <편지>가 있어 이를 중심으로 재구성해보고자 한다.
        19,200원
        12.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ing the Joseon Dynasty, medicinal foods derived from herbs were often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medicines. In addition, the royal family of the Joseon Dynasty believed that foods could be used as various disease treatments. Grain-based foods, especially medicinal porridges (藥粥), were most frequently used for diet therapy. We investigated various types of diet-related diseases suffered by King Injo (仁祖) as well as how the diseases were treated using medicinal porridges based on information in the SeungjeongwonIlgi (承政院日記), which is the daily record of the Royal Secretariat of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examined the SeungjeongwonIlgi of King Injo from his1st year (1623) to 27th year (1649) on a website database maintain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ccording to the records, King Injo suffered from severe diarrhea several times due mainly to febrile disease (煩熱症) as well as abdominal dropsy (脹滿) throughout his entire life. Major diseases affecting King Injo were due to his unhealthy eating habits and psychological factors. For treatment, royal doctors prescribed around 15 medicinal porridges, including nelumbo (seed) porridge (Yeonja-juk), milk porridge (Tarak-juk), Chinese dioscorea porridge (Sanyak-juk), mungbean porridge (Nokdu-juk), perilla seed porridge (Imja-juk), adzuki-bean porridge (Pat-juk), soybean porridge (Kong-juk), Korean-leek porridge (Buchu-juk), and so on, in addition to other medical treatments. Diet therapy using medicinal porridges has been used throughout history since the Joseon Dynasty period. However, knowledge of traditional diet therapy and medicinal porridges used by monarchs in the Joseon Dynasty is insufficient. Therefore, in-depth study is needed to understand the theory of traditional medicinal foods as well as explore their application to patients in the context of modern medicine.
        4,300원
        13.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traditional food based on the recorded food preferences during the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Our primary source in this regard was the invaluable, historical document called the "Miam's diary." This important document reveals details of such food preferences from October 1567 to September 1568. By analyzing the income-expenditure trends of virtually every household, this diary was used to describe a vivid traditional food preference of the people during that period. A detailed analysis of the diary reveals the summary of families' characteristics in the 16th century. First, it records the fact that expenditure on food was mainly based on stipend and gifts received. The type of food preferred by the people was diverse in nature; for it included rice, bean, chicken, pheasant, and seafood. However, there were dried or pickled forms too so as to prevent them from undergoing decay. Second, it throws light on the fact that people expended food mainly as a salary for servants. People utilized the income from selling such food items to purchase goods and land. They also used the same either to donate for a funeral or wedding purpose. Third, it records the fact that day-to-day purchase of groceries was mostly based on gift(s) for someone close to them such as a neighbor, colleague, relative, or student. Further, such gifts included small groceries, food items, and clothes. Fourth, based on the data available in the diary, it seemed likely that the gentry families laid emphasis on the customary formalities of a family dating back to as early as the late 16th century. Finally, the document also records the fact that noblemen of the Chosun Dynasty had a notion that they had to extend warmth and affection by presenting generous gifts to their guests at home. Noblemen during that period were very particular in welcoming their guests as they believed that this approach alone would testify their status as noblemen.
        4,500원
        16.
        2010.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일차적인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의사소통 능력이란 말하기와 듣기, 읽기와 쓰기까지 포함하기에 어느 것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다. 하지만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 읽기와 쓰기의 연구는 짧고, 구체적인 쓰기 교육에 대한 방안도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유창성의 흐름에 따라 학습자들이 말하기보다 쓰기 실력은 그 아래 단계에 머무는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그 해결책의 하나로 문법지식을 활용한 일기쓰기를 제안하고자한다. 일기는 학습자들의 경험을 토대로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게 해 주면서 말하기를 확대시키는 도구가 되기도 한다. 또한 문법지식을 활용한 일기쓰기 연습을 통해 오류를 최소화하고 다음 단계로 나아갔을 때 정확하고 안정된 표현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따라서 직접 학습자들에게 실험을 통해서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5,800원
        18.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reports on research into self-directed English leaning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their motivation and metacognition. In general,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undertake independent learning to improve their English competence outside the classroom, rather than relying on English courses provided by their universities. Although much of their English learning is self-directed, little has been known about how they carry out their out-of-class English learning. To obt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self-directed learning, this study, employing a qualitative approach, analyzed reflective journals written by 25 university students during one semester. From the analysis, students’ motivation and metacognition emerged as important themes involved in th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tudent motivation continuously ebbs and flows as a result of its complex interrelationship with contextual facto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tudents’ metacognitive knowledge played a crucial role in directing their out-of-class learning as students adopted learning strategies based on their metacognitive knowledge, which was again formed and revised in the course of their learning process. Finally, this article presents suggestions for promoting students’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6,900원
        19.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교수요목기부터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날씨'와 '일기예보'를 다루고 있는 시각적 이미지를 사회-기호학적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시각적 이미지는 실제 세상의 현상을 묘사하는 '실체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든 시기의 초등 과학 교과서의 시각적 이미지는 대부분 학생들에게 친숙하였음을 의미한다. 시각적 이미지와 학생 사이의 의사소통에 대한 주도권 양상은 복잡하게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시각적 이미지들은 시기에 관계없이 대부분 기하학적 코드나 숫자 문자 등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시각적 이미지의 정보의 양과 형태, 구조 및 사회적 의미 등을 해석하는 새로운 분석도구를 제안해준다. 또한 차기 과학교과서의 이미지 선택에 사회-기호학적 관점을 도입하는 하나의 전기가 될 것이다.
        4,300원
        20.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선조 말·광해군기의 주요 시인 가운데 한 사람인 許摘의 시 창작의 기저와 심미적 특질을 고찰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삼당파의다음 세대에 해당하는 수색은, 古詩가 주류적 형식으로 자리잡아가던 시기의 변화의 국면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인물이다. 그는 漢魏古詩라는 전범에 대한 고려와 함께, 저속한 氣習에 염오되지 않는 - `一氣`, `元氣`로 표현되고 있는 - 주체 내면의 강한 역량의 배양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작품 내적으로 `시적 자아의 문제`, `주체와 대상의 거리감`과 관련하여 독특한 심미성의 유발로 이어진다. 우선 출사 초기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 특징으로, 시적 자아의 부각과 시적 대상에 대한 정평한 긴장의 지속 또는 부분적민 시 의식의 과도성과 관련한 `勁悍의 美感`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의 형성에는 典故나 故事의 點化가 기여하는 측면도 있었다. 다음으로, 특히 광해군 중후반기 大北勢力에 대해 일정한 거리를 두는 시기를 중심으로 한 특성으로,시인은 객관적 인식·관찰의 거리의 유지를 통해 대상 사물의 眞情과 生動을 적출해 내고 있으며, 역사 현장의 대면에 있어서는 이러한 거리의 확보가 역사적 사실에의 회고와 그 이월적 의미 파악에 이어짐으로써 沈響함·肅然함의 미감으로 變泰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 특히 철저히 자기 삶의 권역과 그 횡적인 연속인 역사현장으로 향하는 시선과 그곳을 바탕으로 한 미감의 창출은, 동시기의 다른 인식 지점에 있던 酉人圈 문사들의 것과의 대비를 통한 통합적인 연구로 확대할 예정이다.
        6,7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