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송대 신종때는 왕안석 신법 주창으로 정치 불안이 야기되었고, 수많은 문인들은 신법에 반대한다는 이유로 징계를 받아 폄적되는 문학적 암흑기를 거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핍박 속에서도 송나라는 서양의 작품세계와는 차별화된 중국 고유의 문인화, 산수화를 꽃피우기에 이른다. 이 독특한 동양의 작품세계는 시와 그림이 지향하는 작품적 심미주의를 하나의 작품 속에 통합하고, 작품이라는 프레임 속에 문인들의 사상과 철학이 암시적으로 숨겨진다. 이러한 작품세계는 사실을 사실적으로 드러내고 분석하려는 서양의 작품세계와는 차별화된 함축적 비유나 은유적 함의가 시와 그림 속에 그대로 녹여져 있다. 특히, 산수화나 문인화의 은유적 함의는 문자옥(文字狱)과 같은 박해를 피하기 위해 선비들이 언행을 삼가고, 마음을 그림 속에 투영하게 되면서, 작품 속에 숨겨진 은유적 의미들을 서로 공유하는 시대풍조의 산물이 되었다. 그림과 시라는 서로 다른 공간의 예술 활동이 중국 특유의 제화시라는 작품으로 서로 다른 공간들이 하나의 공간에서 그 예술적 가치를 더없이 확대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제화시하면 떠오르는 송대 대표적인 산수화 연강첩장도(烟江疊嶂圖) 에 덧붙여진 왕선과 소식의 제화시 연구를 통해 제화시의 가치와 문학사적 의미를 다시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5,800원
        2.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언론 전문직주의의 위기와 한계가 한국 언론 현실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공영방송을 둘러싼 갈등을 중심으로 논의해 보았다. 전문직주의를 구성하는 중요한 태도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자율성, 행동 준거로서의 조직과 자기규제에 대한 믿음, 공공서비스에 대한 인식,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이 한국을 대표하는 공영방송에서조차 무너지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위기가 단순히 방송저널리즘 실천의 장애를 넘어 건전한 민주주의 형성과 유지, 그리고 발전에 커다란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나아가 공영방송이, 국가나 정부 권력에 대한 비판과 견제가 아닌 관행적 도구로 전락되고 있음을 여러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결국 공영방송이 관료제화로의 위기로 치닫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방송저널리즘의 역할과 책임이 심대히 훼손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공영방송 저널리즘의 본질적인 정체성을 회복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언론 전문직주의 복원을 위한 성찰이 필요하고 공영방송 지배구조도 개선되어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6,100원
        3.
        2012.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在韩国的汉语诗歌教育课程中,从汉语到韩语的翻译问题历来受到普遍的重视,如何用韩语翻译将汉语诗歌中的美感尽量忠实的表现出来是一个根本性的问题。遵守格律是汉语诗歌最重要的特征,诗人往往通过格律来表现诗歌的内容与情感,不学习汉语诗歌的格律,就没有办法对之进行准确的体会。李达是朝鲜诗人学习唐诗歌的先驱者,他的诗歌创作往往严格遵守近体诗的格律。李达的题画诗经常使用格律的变化来表现诗人的思想,如拗体等格律形式在其诗歌创作中得到广泛的运用。 五言绝句是格律诗最基本的表现形式,也是近体诗的基本形式。其在句式上常用“二四六不同论”,聯的出句和对句上用“粘”,上聯对句和下聯出句用“对”,而且避“孤平”,“孤仄”,“下三连”。如果不遵守这样的形式,不依常率而加以变换,就是所谓“拗体”。需要说明的是,拗体并不指诗歌创作的失误,相反其在促进诗歌声调和谐上的表现往往有着很好的效果。李达的五言拗体绝句主要分为三类。一类是《畵梅》与《畵竹》,这种拗体特征表现为孤平。这两首诗通过孤平来表达李达对悲惨命运的感叹。二类则不遵守“二四六不同的原则”。如《詠畵》,该诗用“子类特殊形式”,给读者留下了足够的思考余地。又如《題畵四首》的第1首用“丑類特殊形式”,描写秋天自然景色。《詠畵>第二首承句“失對”,强调人物的动作。《詠畵》第五首轉句失黏,以强调秋色的美丽。如果平起式五言绝句轉句失黏的话,应该归入“子类特殊形式”。按照格律上的变化叫“拗救”,用特殊的声调调强调诗像。
        5.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생활용품이면서 의복과 함께 생활필수품인 신발을 대상으로 감성만족도 요소의 추출과 분류체계를 개발하였다. 제화류의 감성만족도 요소는 감각성(sense), 적합성(fitness), 묘사성(description), 평가성(evaluation), 선호성(attitude)의 5개 그룹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그룹에는 형태감, 볼륨감 등 29개 요소가 포함되었다. 이들 중에서 일반 제화의 평가에 적합한 요소들로 형태감, 볼륨감, 균형감, 색감, 인체적합성, 안락성, 안정성, 여유성, 개념적 이미지, 품위감, 고급감, 조화감, 견고성, 주목성, 간편성, 신뢰성, 선호도, 수용도, 만족성, 매력성 등 20개의 요소들을 선택하여 이들에 대한 평가양식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감성만족도 요소는 제화류의 고객만족도 평가 모델링에서 종속변수로 활용될 수 있다.
        4,800원
        7.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인재 강희안의 회화에 대한 제화시를 통하여 인재의 회화에 대해 행해진 평가를 위주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인재는 조선 초기 시서화 삼절로 인정이 되었는데, 서거정이나 성간의 글 그 리고 그의 친동생이 강희안의 글 등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의 시와 글씨도 지금은 그리 많이 전하지 않는데, 그림도 전하는 것이 매우 적다. 현재 알려진 것은 많아야 네 폭 정도이고, 한 집안에 전해온다는 병풍을 합쳐도 십여 폭 남짓 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조선 초기 인재와 교유하던 문 인들의 문집에 전하는 제화시에는 인재의 그림에 대한 것이 많은데, 이것을 통 해 보면 상당히 많은 그림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이 전부라고 할 수는 없 지만, 12폭 8폭 등 여섯 건의 병풍이 있고, 가리개에 그려진 그림, 그리고 개인 이 소장하고 있는 화축 등 적어도 78폭 이상의 많은 그림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은 묵죽도 등에서 보듯 묵화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홍시, 자색 가지, 노란 오이 등이 등장하는 것을 통하여 채색의 그림도 있었으며, 스스로 사물을 보고 그린 그림 이외에 중국의 그림을 보고 모사한 것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을 소장하고 제시한 사람들은 당시 이름이 크게 알려진 저명한 인사들로 서거정, 아우 강희맹, 신숙주 등 사대부와 일암과 같은 승려도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림을 평한 내용은 대략 세 가지 형태로서, 첫 번째는 그림의 내용을 자세히 묘사한 것이 있고, 두 번째는 인재의 그림을 통하여 얻은 감흥을 노래한 것이 있고, 세 번째는 인재의 그림을 통하여 사람들이 지향하는 도덕적, 윤리적 가치를 발현한 것 등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