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산시에 위치한 저수지를 대상으로 귀화식물의 현황 특징을 파악하여 적절한 미래관리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산시 일대의 저수지 식물현황 분석결과 62과 126속 148종 13변종 2품종으로 전체 164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지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9과 19속 22종 1변종으로 총 23분류군을 확인하였다. 23분류군 중 원산지는 북아메리카가 15분류군, 유럽이 5분류군, 아프리카가 2분류군, 아시아가 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율은 12.2%이며, 도시화지수는 2.1%이다. 이 결과는 Go(1995)이 제시한 우리나라 평균 귀화율 10.3%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대상지에서 나타난 저수지 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귀화도가 4등급이상인 14분류군(소리쟁이, 콩다닥냉이, 토끼풀, 달맞이꽃, 서양민들레, 개망초,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큰비짜루국화, 미국가막사리, 가시상추, 미국개기장)등 을 중점적인 관리대상으로 선정하여 적절한 관리방안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5,100원
        4.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경산시 보호수의 환경분석, 보호관리 및 활용 실태 등의 조사 분석을 통한 합리적인 관리 및 활용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조사한 결과를 보면 경산시가 지정한 41개소에 보호수 55주가 있고 총 종수는 8종이며, 수종으로는 회화나무 (30.9%)와 느티나무 (23.6%)순으로 가장 많았다. 보호수의 유형으로는 당산목이 45.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풍치목이 36.7%를 차지하였다. 200년~300년 사이의 보호수가 21주로 전체 38.2%를 차지하였고, 수고는 15 ~ 20 m 사이의 보호수가 경산시 보호수의 54.6%를 차지하였다. 보호수의 입지 유형을 보면 마을형이 3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도로변형이 19.5%로 많았다. 식재유형은 독립수가 전체 보호수의 78%를 차지하였다. 보호수의 근원부는 나지상태가 58.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쇄석 및 자갈이 19.5%를 차지하였다. 토양경도는 평균 9.64 mm로 나타났고 보호책은 9곳에 설치가 되어있고 석축이 있는 곳은 22개소로 전체 53.7%로 조사되었다. 외과수술을 받은 보호수는 38주로 전체 70.9%를 차지하였고 표지석은 보호수 전체의 80.5%인 33개소에 설치되어 있었다. 쉼터로 이용되고 있는 곳은 13곳으로 전체 31.7%를 차지하였고 시설물은 주로 정자, 의자, 간단한 체육시설, 야외테이블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 기존쉼터를 정비하거나 보호수 주변을 정비해서 소규모 공원화가 될 수 있는 지역을 제시하였다. 향후 농촌지역 공원녹지 공간 확보 및 지역민의 공동체회복을 위한 보호수 주변 소공원 조성 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크다고 사료된다.
        4,800원
        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산시에 있는 32개의 마을숲을 전수조사 하여 입지에 따른 마을숲의 유형을 분류한 바, 동구숲 8개소(25.0%), 동산숲 6개소(18.8%), 하천숲 7개소(21.9%) 및 마을주변숲 11개소(34.4%)를 확인하였다 동구숲에 출현하는 주요수종은 느티나무가 34.3%, 은행나무가 11.2% 및 아까시나무가 10.5% 등을 확인하였으며, 동산숲의 경우 소나무가 56.8%, 상수리나무가 26.4% 및 느티나무가 4.3% 등을 확인하였다. 하천숲의 경우 느티나무가 40.4%, 왕버들이 27.1% 및 말채나무가 5.5% 등을 확인하였으며, 마을주변숲의 경우 느티나무가 21.7%, 상수리나무가 10.8% 및 말채나무가 8.9% 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마을숲의 대부분(71.9%)은 도로 때문에 분획화되어 서식처의 기능이 축소되었다. 마을숲의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마을숲 복원을 위한 후대목의 육성 그리고 교육 및 홍보를 통한 마을숲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등 관리방안의 수립이 필요하다.
        4,000원
        6.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경산시에서는 각종 풍수해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방재시설물을 보강하고, 지역의 재해특성을 고려하여 상습적인 재해 취약요인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역적 방재계획인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그러나 수립된 성과물(침수흔적조사, 침수예상도작성, 풍수재해정보지도)의 경우 보고서, 도면, 대장으로 관리되고 있는 실정으로 부서별 소수의 인력으로 방대한 자료에 대한 관리, 대응 및 자료 조회·검색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간정보기술인 GIS, GPS, 수치표고모델, 항공영상과 IT기술을 접목한 방재업무지원 체계를 마련함으로써 방재정보에 대한 신속한 자료 취득, 업무 능력 향상 및 복구가 아닌 방재 차원의 방재업무를 관리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7.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on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pollution in Gyeongsan city. Forty two ground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nd pH, DO, COD, NH3-N, NO3--N, T-N, PO43--P, Cl, Ca, Mg, hardness, evaporate residues and others were investigated. And, ANOVA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reveal the differences in water pollution indicator values of by industry, commerce/residence and agriculture area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values of pH, DO, COD, NH3-N, NO3--N, T-N, PO43--P, Cl, evaporate residues, Ca and hardness were 6.9, 7.9 ㎎/ℓ, 0.4 ㎎/ℓ, 2.44 ㎎/ℓ, 2.73 ㎎/ℓ, 6.06 ㎎/ℓ, 0.82 ㎎/ℓ, 32.72 ㎎/ℓ, 381.67 ㎎/ℓ, 41.53 ㎎/ℓ, 177.17 ㎎/ℓ, respectively. 2. As groundwater became deeper, the values of Cl, Ca, Mg, Na, hardness and evaporate residues remarkably increased, but those of COD, NH3-N, NO3--N, NO2--N, T-N decreased. 3. The values of COD, Cl, Ca, Mg, Na, hardness and evaporate residues were very high in industrial area, and those of NH3-N, NO2--N, T-N were very high in commercial/residential area, and those of NO3--N were a little high in agricultural area. 4. The correlations between depth and each value of Mg, Na, Fe, hardness and evaporate residues were highly positive, and those between DO and each value of Mg, Cu, Fe, hardness and evaporate residues were highly negative. 5. According to ANOVA analyses, the differences in three area groups (industry, commerce/residence and agriculture) on the values of NH3-N, T-N, evaporate residues, hardness, Ca, Mg, K and Fe were significant at 1%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