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

        1.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고층 구조물 및 특수 구조물의 수요 증가로 별도 다짐 없이도 타설 가능한 고유동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고유동 콘크리트는 유동화제 사용 및 다양한 시멘트계 재료로 배합 되는데, 배합실패 또는 유동화제의 과다 첨가 등으로 인해 타설 시 콘크리트 재료분리를 발생 시킬 수 있다. 재료분리는 블리딩 및 골재의 침하로 콘크리트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확하게 평가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습식체가름에 따른 기존 평가 방법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전기비저항 측정을 이용하여 고유동 콘크리트의 재료분리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평가하고자 하였다.
        2.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estor penetration resistance and the hardness of the durometer are considered highly correlated and are thought to be effective when using the durometer to determine the setting time in the field structure.
        3.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high-performance and high-fluidity concrete have been studied and developed because high-rised build is constructed. An early-age properties of these concretes have been studied and developed bacause of comparing existed concrete. This study proposed non-destructive method as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which evaluates setting time of cement-based materials. An assessment of the effect on the setting time was studied on the addition of a superplasticizer to delay the setting time and the curing temperature to promote the setting time. 6th of samples prepared mortar according to adding superplasticizer(PNS) or curing temperature and measured the electrical resistivity during 24 h. As the results, mortars which curing higher temperature were promoted rising time which is setting time in the electrical resistivity, also mortars which adding superplasticizer were retard rising time.
        4.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건설현장에서 작업자의 고령화 및 숙련공 부족 현상이 중요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또한 최근 건설구조물이 점차 고층화, 대형화됨에 따라 부재의 형상이 복잡해지고 있다. 이러한 건설 환경의 변화에 따라 국내 및 국외에서 고유동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증대되고 있다. 고유동 콘크리트는 재료분리 없이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개선시켜 다짐 작업 없이 자기 충전이 가능한 콘크리트를 말한다. 하지만 고유동 콘크리트는 인장 및 휨 강도의 저하와 균열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유동 콘크리트에 양마섬유를 혼입하였다. 양마섬유의 경우 천연섬유로 친환경적이며 이산화탄소의 흡수량이 많아 콘크리트 생산과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상쇄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존 콘크리트의 섬유 보강재로 사용되었던 황마와 유사한 특성을 지녔으며 짧은 생육 기간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양마섬유는 섬유 표면이 거칠어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뛰어나고 섬유의 인장력이 우수하여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증진과 균열 저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산업부산물의 일종인 플라이애쉬와 고로슬래그를 혼입하여 탄소저감 효과와 폐기물의 처리로 환경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재료로 시멘트의 일부를 대체하여 양마섬유를 혼입한 고유동 콘크리트의 강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5.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echan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to examine the optimum adding amount of AC and UT viscosity agent by mixing two viscosity agent according to the adding ratio. When the ratio of AC and UT viscosity agent was 5:5, It was most suited for high-fluidity concrete with low binders by increasing workability and effect of reducing viscosity.
        6.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lowability and compressive strength were evaluated to examine the effect of biner mixing ratio on the high-fluidity concrete with low binders. When the binder mixing ratio (OPC, BFS, FA) was 7:2:1, It was most suited for high-fluidity concrete with low binders by increasing workability and compressive strength.
        7.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echan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to examine the optimum adding amount of AC and UT viscosity agent by mixing two viscosity agent according to the adding ratio. When the ratio of AC and UT viscosity agent was 5:5, It was most suited for high-fluidity concrete with low binders by increasing workability and effect of reducing viscosity.
        8.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lowability and compressive strength were evaluated to examine the effect of biner mixing ratio on the high-fluidity concrete with low binders. When the binder mixing ratio (OPC, BFS, FA) was 7:2:1, It was most suited for high-fluidity concrete with low binders by increasing workability and compressive strength.
        9.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CO2 reduction type quaternary component high fluidity concrete was produced with more than 80%r eduction in cement quantity to increase the use of industrial by product sand enhance construction performance, there by reducing CO2 emissions. Furthermore, theq uality properties, and CO2 reduction performance of this concrete were evaluated. As a result of the quality evaluation of quaternary component blended high fluidity concrete with CO₂reduction, the target performance could be achieved with a 80% or more reduction of cement quantity by mixing a large amount of industrial byproducts. The required performance level was obtained even though the flow, mechanics, and durability characteristics decreased a little compared to conventional mix.
        10.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study investigating the bond characteristic of steel bars (D13, D16) on fluidity concrete mixed with recycled marble powder under tensile load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average bond strengths of D13 series specimens and D13 series specimens were 18.00MPa and 15.67MPa respectively, and that specimen with the larger diameter of rebar that adhesion strength had the lower bond strength.
        11.
        201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고압송용 고유동콘크리트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의 일환으로 펌프압송시 압송관내 콘크리트가 받는 압력을 재 현할 수 있는 가압장치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하여 펌프압송할 경우 발생되는 품질변화의 원인 중 압력에 의한 단위수량 감소에 중점을 두어 가 압에 따른 콘크리트용 굵은골재의 흡수 특성 및 고유동콘크리트 내부 굵은골재의 흡수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고유동콘크리트의 가압 전·후 압 축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250 bar의 높은 압력이 작용할 경우 부순굵은골재 및 강자갈의 흡수율은 표건 흡수율 이상으로 증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량굵은골재의 흡수율은 표건 흡수율 이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viscosity was minimized for production of viscosity-agent type high fluidity concrete with normal strength, and segregation resistance was maximized with viscosity agent and use of superplasticizer. Their applicability and physical property were examined.
        14.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고유동 고강도 콘크리트의 현장타설에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거푸집의 측압검토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타설높이 및 타설속도를 주요변수로 정하여 실험체를 제작한 후, 수행한 실험으로부터 측압 및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고유동 고강도 콘크리트의 최대 측압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측압으로 나타났으며, 타설 직후 측압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12시간 이후 안정화를 보였다. 3~4시간 이후 안 정화가 나타나는 보통 콘크리트와 측압이 감소하는 경향은 유사하다. 타설속도가 빠를수록 최대 측압이 크게 발생하였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감소량은 거의 유사하였다. 또한 수화열과 측압감소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15.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량의 장대화로 고품질과 양호한 시공성을 갖는 고유동성 매스콘크리트가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수화열과 자기수축에 의한 비구조균열을 종종 발생하고 있다. 대상부재의 콘크리트응력에 대한 다양한 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하여 평가로부터 메스콘크리트의 수화열 증가에 따라 인장응력 및 균열지수를 예측하였다. 또한 분체계 혼화재료에 의한 자기수축 증가는 정착부 부근 매스콘크리트의 인장응력을 가중시킨다. 수화열과 자기수축 및 건조수축에 의한 인장응력은 PSC 거더의 대부분에서 약간의 응력증가를 나타내나, 정착부 근처의 인장응력은 콘크리트의 재령초기에 인장강도를 초과하게 되어 균열을 유발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16.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anti-washout underwater concrete applied for cast-in-place piles constructed by RCD(Reverse Circulation Drill). The anti-washout underwater concrete exhibits a compressive strength larger than 35 MPa and a slump flow of 600 mm. It is also a high fluidity anti-washout underwater concrete with an intended mass of suspended solid smaller than 150mg/ℓ. And then, we evaluated the quality performances and the fludity characteristic of the developed high fludity anti-washout underwater concrete in this study.
        17.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고유동성의 SBR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의 기초적 성능을 바탕으로 콘크리트의 보수용 재료에 매우 중요한 요구성능인 부착강도에 대한 피착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표면수량의 영향을 검토하는 연구가 수행하였다. 고유동성 SBR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의 기초적인 성능을 토대로 부착강도, 잔갈림성, 재료분리 저항성이 좋은 시험체를 선택하였다. 시험체는 C:F=1:1인 경우 P/C=20%, 30%의 시험체 2개, C:F=1:3인 경우 P/C=50%의 시험체 1개, 총 3개가 선택되었으며 이 3개의 배합에 대하여 피착체의 표면수량에 따른 고유동성 SBR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표면수는 콘크리트 피착면의 단위 면적 (cm2) 당 각각 0, 0.006, 0.012, 0.017, 0.024 g이 균등하게 살포되었으며, 이에 따른 연도변화, 플로우값, 부착강도, 부착파괴형상, 내균열성 및 재료분리여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콘크리트 피착체에 살포된 표면수는 고유동성 SBR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의 부착강도를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18.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유동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고가의 각종 혼화재료를 과량 혹은 추가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재료비 단가 상승, 추가 설비의 필요 등의 문제점이 있고, 재료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분체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과잉 강도발현 등 고유동 콘크리트가 갖고 있는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특수 목적이외에는 그 사용에 있어 제약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고강도성 고유동 콘크리트와 달리 일반 강도의 고유동 콘크리트의 상용화를 위해 콘크리트 구성 재료 중에서 골재를 중심으로 이들의 합리적 활용과 콘크리트의 성능향상 모색을 위해 정량적 인자별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용한 실험변수로 물-시멘트비, 잔골재율, 골재의 조립률, 입자 크기의 중요도, 13mm 골재와 미립분의 활용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슬럼프플로와 U형 충전시험의 충전고차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고유동 콘크리트 성상은 굵은 골재보다 잔골재 입도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잔골재율이 높을수록, 조립률이 낮을수록 충전성과 유동성 확보에 유리하였다. 또한, 골재의 대체재로써 13mm 골재 및 미립의 석분을 활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충전성과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19.
        201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hat larger scale and longer span of construction in concrete structures urge increasing use of mass concrete, high-flowing concrete among them is more widely used for improvement of quality and concrete constructability, but it may cause occurrence of cracks due to autogeneous shrinkage as well as heat of hydration. In this regard, the present study provides comparative analysis on temperature characteristics subject to varied locations through experiments adopting a PSC girder in which high-flowing concrete is used; moreover, it analyzes heat of hydration through the FEM to perform the crack analysis of the PSC girder in such a way that the result thereof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experiment.
        20.
        201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고유동 콘크리트(High Fluidity Concrete 이하 HFC)에 대한 연구는 많은 시공사례와 함께 진행되고 있지만, 콘크리트의 내구성능을 평가하는 항목 중 하나인 염소이온 침투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며, 기존의 내구성관련 연구는 고강도 이상(40MPa)연구됨에 따라 보통강도 고유동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침투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석회석 미분말을 혼합한 보통강도 HFC를 제조하여 콘크리트의 공극구조 및 염소이온 침투특성을 분석․고찰 하였다. 실험결과 석회석 미분말을 혼합한 2성분계 및 3성분계 고유동 콘크리트의 경우 콘크리트의 공극 크기는 0.005∼0.05 ㎛ 사이에서 가장 많이 분포 하고 있으며, 석회석 미분말의 혼합률이 증가할수록 평균 공극 직경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석회석 미분말의 혼합률이 증가할수록 염소이온 침투깊이 및 확산계수는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며, 확산계수는 압축강도 및 평균공극직경 사이의 상관관계에서 결정계수 0.90 이상의 양호한 상관성이 있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