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사 조직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구성원들 스스로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혁신행동이 필수적 요소라 할 수 있다. 특히 항공 산 업은 코로나19 엔데믹 전환에 맞춰 선제적이고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마 련하고, 타 항공사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기존과는 다른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객실승무원들을 대상으로 조직문화가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 으며, 조직문화와 혁신행동 사이에서 심리적 주인의식과 지식공유의 매 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는 조직문화의 유형 중 혁신지향 문화와 과업지향문화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결과 관계지향문화와 과업지향문화는 심리적 주 인의식만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는 없고, 지식공유를 경유해야만 혁신행 동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 수 있으며, 위계지향문화에서는 지식공 유만을 매개로 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적자원의 의존도가 매우 높은 항공 산업에서 항공사 조직의 효율적 인 적자원 관리를 위한 방향성 제시와 경영전략 수립 등에 기초자료로 제공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현대사회는 조직구성원들의 혁신을 요구하는 지식기반 사회이며, 인적자원의 관리와 혁신이 기업의 경 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조직은 구성원들의 혁신을 지향하 는 적극적인 리더십의 발휘를 통해 구성원들의 바람직한 행동을 이끌어 내고, 이를 매개할 수 있는 요인 을 찾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십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는 리더의 감성지능과 리더의 진정성이 부하의 셀프리더십 및 부하의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러한 리더의 감성지능 및 리더의 진정성이 부하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부하 의 셀프리더십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부산과 경남의 13개 제조기업 317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리더의 감성지능과 리더의 진정성은 각각 부하의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리더의 감성지능과 리더의 진정성은 각각 부하의 셀프리더십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부하들의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유의한 긍정적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넷째, 리더 의 감성지능과 부하의 혁신행동 간의 관계 및 리더의 진정성과 부하의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부하의 셀프 리더십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각 관계별로 부하의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는 부하의 셀프리더십이 리더십과 부하의 혁신행동의 관계에 적극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리더의 감성지능과 진정성이 부하의 셀프리더십을 매개로 부하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종합적인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이론적 시사점과 조직에서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을 강화하 기 위해서는 리더의 감성지능과 진정성, 그리고 부하의 셀프리더십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실무적 시사점 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동안 출연연은 과학기술 발전을 선도하는 핵심 역할을 담당해 왔으나 최근에는 조직의 경쟁력 문제를 포함하여 그 미션과 역할까지 새롭게 정립해야 하는 시점에 있다. 본 연구는 ETRI를 결정적인 사례로 하여 현재 출연연이 직면하고 있는 구조적 한계와 어려움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출연연의 자체 변화 노력도 문제이지만 출연연이 예산, 인력, 평가 등 통제가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에 봉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ETRI의 경우 연구개발이나 특정기술 수준에서는 추격에서 탈추격으로 넘어서고 있으나 우리나라 출연(연) 연구 환경과 실제 일하는 방식은 추격형 체제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 추격의 대상과 수단이 어느 정도 확실했던 추격기를 넘어 어디로 가야하며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가 불확실한 탈추격 혁신 상황에서는 출연연의 미션 및 역할, 예산·인력·평가 체계, 사업기획 체계 및 프로세스 방식 등이 새롭게 변화될 필요가 있다.
The Ganui (簡儀, simplified armillary sphere) is a representative of astronomical instruments in Joseon Dynasty of Korea, as well as Yuan Dynasty and Ming Dynasty of China. In early 15th century, Joseon's scientists and engineers uniquely developed the Soganui (小簡儀, small simplified armillary sphere) and the Ilseongjeongsiui (日星定時儀, sun-and-star time determining instrument) from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Ganui. These two astronomical instruments had a new design by the miniaturization and felt convinced a similar performance of Ganui in the harmony with Korean Astronomy and Astrology Cultures. Since mid-18th century after the enforcement of shixian-li (時憲曆), the Soganui and Ilseongjeongsiui handed over the Jeokdogyeongwiui (赤道經緯儀, equatorial armilla) by a change of the observational framework such as the time and angle measures. The Jeokdogyeongwiui made by Gwansanggam (觀象監, Bureau of Astronomy in Joseon Dynasty) adopted the new observational framework. We studi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scientific values of these 3 astronomical instruments with theirs observation methods.
재고관리는 기업 경영과 자산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재고를 관리하는 창고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생산의 원활한 지원을 위한 기존 창고 인프라의 구조를 분석하고, 신기술 도입 및 창고 효율화/최적화를 위한 회사의 전반적인 조직분석과 과제의 도출을 목표로 창고관리 구조혁신을 위한 추진 과제를 정립하였고, 입고부터 출고까지 창고관리를 위해 필요한 시스템 및 설계/개발 체계 프로세스를 구현하였다. 기업환경 분석은 각 부서별 인터뷰를 중심으로 업무현황 및 업무 Process분석을 중심으로 추진과제를 도출하였고, 이를 통해 관리 수준 분석, 조직 분석 및 운영안 제시, 창고 기능 최적화 방안 수립, 중단기 추진 과제를 정립하였다. As-Is Flow와 To-Be Modeling을 기반으로 체계적인 과제 우선순위를 정립하여 각 과제별 중장기적인 종합추진일정계획을 수립하였다.
It seems required to determine what might affect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of manufacturing companies and what kind of role they could play for them to carry out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in an effective way.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hus to conduct a depth empirical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business environment,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and performance of manufacturing companies. From the analysis, following outcomes could be drawn: First,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environ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of manufacturing companies, it has become clear that the external environment is a factor that can influenc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such as management of technical property, technological innovation system as well as technical network, while it exercises no impact upon adaptation of manufacturers to new technologies. The internal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turns out to have influence on such overall factor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as management of technical property, technological innovation system, adaptation to new technologies and technical network; and Second,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and their performance, it has been obvious that management of technical propert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system, both factor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affect the performance of product development and financial achievements of manufacturing companies. Their adaptation to new technologies will also affect their performance of product development as well as financial achievem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for manufacturing companies to set up an operating system that may be able to upgrade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eir technological development activities in an attempt to promote performance of their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an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technical human resources management as a precursor,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y and achievements of technical innovation on the basis of preceding empirical studies on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of manufacturing corporations. The analysis shows that First, the technical human resources management is found to have influence upon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y in various ways, implying that the role of technical human resources management as a key to technical innovation is most important of all to enable manufacturing companies to gain edge in competition by means of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y; and Second,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y exercises impacts on the achievements of exploitative technology innovation as well as on the achievements of exploratory technology innovation on the part of manufacturing industry. The above findings prove that the level of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y may be a source for superior competitiveness of manufacturing business as a result of technology innovation performance. Manufacturing corporations, thus, need to place more weight on stepping up their executive level of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y factors than on increasing simply the level of technical investment.
Single PPM Quality Innovation Movement is originally developed quality program in Korea for supplier's quality level-up since 1995. The quality target is below the 10ppm(parts per million) in outgoing quality and delivered goods plus field claim. Recently
Single PPM Quality Innovation Movement is originally developed quality program in Korea for supplier"s quality level-up since 1995. The quality target is below the 10ppm(parts per million) in outgoing quality and delivered goods plus field claim. Recently 1,053 companies is received Single PPM Quality Certification from government. This quality program is to realized the anticipated results not only quality level"s increasing, but also company"s confidence, competitiveness. We were able to obtain participations of 75 questionnaire, and derived statistics by means of SPSS/PC version 10.0. In this study, we find the bottleneck factor for promotion and upgrade S-PPM, and suggest a way out of difficulties.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혁신학교 일반학교에 있어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협력과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협력이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교만족도를 매개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관련된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와 매개효과, 조절효과 등을 분석하기 위해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모두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학교만족도와 교사협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리더십이 교사의 학교만족도에는 직접적인 높은 영향력을 나타냈으나 교사협력에는 비교적 낮은 영향력을 보였다. 또한 교사협력이 학교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공통적으로 미미하였는데, 이는 교사들의 협력적 교육활동이 학교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는 성과를 산출하기 못하거나 학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는 다른 차원에서 교사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에 따른 조절효과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교사협력의 매개효과는 혁신학교에서 나타나지 않았고, 일반학교에서는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