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

        1.
        201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우리나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도입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비판적 수용 측면에서 한문과 교육과정 한시 영역의 목표와 내용 ‘지식’의 선정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전 세계적인 교육 변화의 화두로, 2000년대 초반부터 급부상한 미래 대비 대안적 교육과정 설계 방식이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수많은 비판을 받아 왔지만, 그 비판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학교 교육에 적합하도록 진화하고 있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지속되리라는 전망에 따라, 한문과 교육과정 한시 영역의 목표와 내용 지식 선정에 있어서도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목표 설정 시,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그에 대한 비판 및 한시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역량 관련 내용을 포함하도록 고려해야 한다. 내용 지식 선정 시,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그에 대한 비판, 한시의 특수성 및 교육과정 실행을 고려하여, 강력하고 다양한 종류의 지식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7,800원
        2.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P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in pre-PE experiences and preferences in each area of selected physical activity contents. The
        8,400원
        3.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개발된 한문과 교육과정 ‘한문지식 영역’ ‘문장’ 부분을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을 살펴본 것이다. 교육과정 ‘문장’ 영역은 중학교 한문에 ‘문장의 기본 구조.’ ‘문장의 종류’의 2가지 성취기준이 있고, 고등학교 한문Ⅰ 에는 ‘문장의 구조 알고 문장 풀이에 활용하기.’ ‘문장 성분의 도치’ ‘문장의 수사법.’의 3가지 성취기준이 있으며, 한문Ⅱ에 ‘문장 성분의 생략.’과 ‘다양한 종류의 수사법’의 2가지 성취기준이 있다. 이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하여 중학교 한문에서는 ‘문장의 기본 구조’와 관련하여 2개의 성취기준, ‘문장의 종류’와 관련하여 1개의 성취기준을 정하여 3개의 성취기준으로 하였고, 고등학교 한문Ⅰ에서는 ’문장의 구조‘와 관련하 여 2가지, ‘문장 성분의 도치’와 관련하여 1가지, ‘문장의 수사’와 관련하여 1가지의 성취기준을 정하여 4개의 성취기준으로 하였다. 그리고 한문Ⅱ에서는 ‘문장 성분의 생략’과 관련하여 4가지, ‘다양한 종류의 수사법’과 관련하여 1가지의 성취기준을 정하여 5개의 성취기준으로 하였다. 그리고 ‘조사할 수 있다’ ‘말할 수 있다’ ‘설명할 수 있다’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성취수준의 단계를 설정하고, 각 성취 기준에 대하여 예시문항을 제시하여 실제 현장에서 문항 제작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8,400원
        4.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어휘영역 내용에 근거하여 개발된 성취기준 의 내용과 체계 그리고 이 성취기준에 의해 개발된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의 내 용과 체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어휘 영역의 성취기준 개발은 일반적인 성 취기준의 개발 원리에 입각하여 학년군 간의 위계성, 연계성, 그리고 교육과정 내 용에 대한 보다 상세하고 분명한 진술 등을 지향하였다. 한문 지식의 특성을 고려 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 활동 및 평가활동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육 과정을 재해석 내지 재구성하기도 하였으며 학교 현장의 상황을 적극적으로 인식 하고 이를 반영함으로써 교육과정의 공유와 상호 전달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또한 성취기준과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을 토대로 진행되는 교수․학습활동 및 평가활동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활용의 예를 제시하고 아울러 ‘상’‘중’‘하’ 각 수준에 도달하는 학생들의 지식, 수행 능력, 특성 등도 기술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이를 참고하여 상황에 맞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성취기준과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에 대한 공유와 상호 전달이 보다 효과적으로 실행되어 어휘영역에 대한 ‘교육과정 ⇄ 교과서에서의 성취기준 구현 ⇄ 학교 현장의 교수․학 습 활동 및 평가 활동’의 유기적인 관계 정립에 있어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6,700원
        5.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문화’ 영역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을 소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화’ 영역은 3개의 중영역, 5개의 내용 요소로 구성, 조직되었으며, 내용 요소에 따라 학습내용 성취기준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학습내용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성취기준을 개발하고, 성취기준에 따라 성취수준 을 세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은 학교의 교수․학습과 평가 활동에 활용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문화’ 영역 예시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선다형, 서술형, 그리고 수행 평가 도구를 몇 가지 예시했다. ‘문화’ 영역의 특성을 고려할 때, 정의적 영역 평가 도구 개발이 후속 과제로 요청된다.
        6,900원
        6.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 교육과정은 별도의 해설서가 개발되지 않았다. 국가 수준의 한문과 교수․ 학습이나 평가 관련 연구가 충분하지 않고, 학교 한문 문법이 제정되지 않아 한문 과 교육과정 해설서의 세부 진술 내용이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는 현실에서 해설 서의 不在는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紛紛한 해석을 야기할 것으로 예측된다. 마 침 개발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은 교육과정 의 학교 현장 적합성과 활용도를 提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글은 새 교육과정의 대영역 ‘한문 지식’ 중 중영역 ‘한자’ 영역의 학습 내용 성취기준의 세부 내용을 분석하고, 교육과정의 학습내용 성취기준에 따른 성취기 준 및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의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아울러 성취기준 및 성취 기준 단위 성취수준의 이해를 돕기 위해 평가문항을 예시하였다. 교육과정 영역별로 제시된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은 한문 학습의 출발점과 도달 점 설정, 한문 학습의 위계 구분 등의 논의를 촉발할 것으로 예상한다. 관련 연구 는 추후 한문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내용의 수준과 범위 설정을 위해 반드시 진행되어야 할 분야이다. ‘한자’ 영역의 학습내용 성취기준과 성취기준의 학교급별, 과목별 수준 구분의 주요 근거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범위이다. 餘他의 영역과 다른 한자 영역의 특수성이 반영된 것이다.
        7,700원
        7.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9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이 2011年 8月 9日字로 告示되고, 이번에 한국교 육과정평가원에서 보고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성취기준 및 성취 수준 개발 연구』가 나왔다. 교육과정을 구체화하고 상세화한 성취기준과 성취수 준의 개발은 지난 1999년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보고서『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 - 고등학교 한문ⅠㆍⅡ』가 나온 이래 이번 이 처음이다. 더욱이 1999년 보고서는 참조용 試案에 불과하여 학교 현장에서 제 대로 적용되지도 못했다. 그러나 이번 보고서는 중․고등학교 학교 현장에서 구 체적으로 적용될 漢文科의 成就基準 및 成就水準을 담고 있다. 漢文科 敎育課程 을 구체화하고 상세화한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의 개발은 실질적으로 이번 보고서가 처음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글은 이번 보고서『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성취기준 및 성취 수준 개발 연구』에 제시된 ‘理解’ 領域 成就基準 및 成就水準 內容을 中學校 ‘漢文’, 高等學校 ‘漢文Ⅰ’, ‘漢文Ⅱ’의 순서로 分析한 것이다. 분석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2009 改定 敎育課程의 학습 내 용 성취 기준을 제시하였다. 주지하듯이, 2009 改定 敎育課程은 학습 내용 성취 기준을 ‘성취 기준 + 해설’의 형태로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를 모두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이 학습 내용 성취 기준을 구체화하고 상세화하 여 개발한 보고서의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을 표로 제시하고, 이어서 이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의 주요 특징을 분석하였다.
        11,400원
        8.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한문과 교육과정의 ‘읽기’ 영역에 대한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의 내용 을 분석한 것이다. 7차 교육과정까지 내용 요소는 학습요소를 중심으로 진술했다. 2007, 2009 교 육과정은 성취수준을 중심으로 진술하였다. 한문과의 읽기 영역은 중학교 한문은 1~3學年群別 성취기준과 영역 성취 기준, 학습 내용 성취 기준으로, 고등학교 한문Ⅰ은 학교급별 성취 기준, 영역 성취 기준, 학습 내용 성취 기준으로, 고등학 교 한문Ⅱ는 학교급별 성취 기준, 영역 성취 기준, 학습 내용 성취 기준으로 되어 있다. 한문과 읽기 영역의 성취 기준은 한문과 교육과정 내용(교육과정 성취 기준)과 비교해 보면 성취 기준 요소가 보다 상세하다. 중학교 한문의 교육과정 내용의 <한 9112> ‘글을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알맞게 띄어 읽을 수 있다’에 대한 성취 기준은 <한9112-1> ‘글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한문 단문, 한문 산문을 알맞게 띄어 읽을 수 있다’와 <한9112-2> ‘글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한시를 알맞게 띄어 읽을 수 있다’로 나뉘어져 있다. 고등학교 한문Ⅰ의 교육과정 내용의 <한Ⅰ111> ‘글을 화자의 어조에 맞게 읽을 수 있다’는 4개의 성취기준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고등학교 한문Ⅱ의 교육과정 내용의 <한Ⅱ111> ‘글의 분위기를 살려 유창하게 낭독할 수 있다’는 무려 5개의 성취기준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교육과정 내용의 성취 기준이 다수의 학습 성취 기준을 포괄적으로 담았으며, 교육과정 내용은 성취 기준으로 진술되어 있지만 학습 요소에 대한 성취 기준이며, 성취 기준은 교육과정 내용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므 로 평가 요소를 보다 작게 세분화했던 것이다. 따라서 교육과정 내용과 성취 기준은 학습 내용의 성취 기준과 학습 내용 평가의 성취 기준의 관계이다. 읽기 영역의 성취 기준에 대한 성취 수준은 학습자의 성취 수준의 도달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중․하의 3단계로 설정하였다. 상․중․하 3단계의 진술 방식은 ‘학습 내용 + 수행(행동)’으로 진술하였다. 여기서 드러난 문제는 한문과 영역에서 읽기에 대한 성취 기준을 평가하는 도 구를 개발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즉 ‘한문 단문, 한문 산문, 한시 등을 구성하는 한자의 바른 음을 알고 그것을 소리내어서 읽을 수 있는가’의 평가 대상은 지필 형태의 평가로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일부의 단문, 산문, 한시를 수행평가 를 통해서 평가할 수 있지만, 평가 내용이 읽기라는 것과 평가 방법이 소리내어 읽은 것을 평가하는 것이므로 평가의 시간과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하기가 그리 쉽지 않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일부 요소는 소리로 읽는 것을 ‘지필’ 형태로 대체 하는 방법도 존재하였으나, 그 또한 읽기 요소의 평가를 다 반영할 수 없다는 문 제를 갖고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읽기 영역의 성취 기준은 평가 방법에 있어서 획기적인 창안이 필요하다.
        6,100원
        15.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how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run in the Seventh Curriculum by analyzing the content areas and to obtain some basic data for normalizing and improv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elementary sc
        6,600원
        16.
        2020.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은 세계 변화를 어떻게 해석하고 반영하였는가? 본고는 이 문제를 3, 4, 5학년의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특히 사회과 교육과정 구성 원리로서 분산 배치, 환경확대법, 통합적 접근, 그리고 시각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본고는 2015 개정 초등 사회과의 역사 영역이 세계가 네트워크로 연결되면서 공간의 개념이 변하고 정체성의 형성의 토대가 달라지고 있는 상황, 그리고 한국이 다문화 사회로 전환되고 있는 상황에 역행하는 방향에서 3 -6 학년 학습 내용이 구성되고 있음을 비판했다. 그리고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조직의 원칙인 분산 배치, 환경확대법에 대한 재고와 융통성 있는 적용을 제안했다. 또한 최근 학문융합 담론에 기초하여 사회과 통합적 접근을 재개념화하고 역사 통합적 접근에서는 과거와 현재의 문화적 거리를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18.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제 7차 중학교 1, 2, 3학년 도덕과 교과서에 제시된 전통예절 영역 관련 삽화내용을 분석하여 그것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그에 대한 처방을 모색하여 봄으로써, 학교교육현장에서 전통예절교육을 올바르게 실시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향후 각급 학교 도덕과 교과서 개발 시에 전통예절 영역 관련 삽화내용을 구성하여 제시할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단초를 제공해 보려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2 가지 절차를 통하여 구명(究明)되었다. 첫째, 학교교육현장에서 전통예절교육을 올바르게 실시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 7차 중학교 1, 2, 3학년 도덕과 교과서에 제시된 전통예절 영역 관련 삽화내용을 분석하여 그것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그에 대한 처방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분석기준은 공통예절 영역, 관혼상제 및 수연례 영역, 전통한복착용법 영역 등이다. 본 연구에서 공통예절 영역, 관혼상제 및 수연례 영역, 전통한복착용법 영역 등을 삽화내용의 분석기준으로서 설정한 이유는, 대체로 각급 학교 도덕과 교과서에 제시된 전통예절 영역 관련 삽화내용들이, 공통예절 영역, 관혼상제 및 수연례 영역, 전통한복착용법 영역 등의 토대 위에서 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둘째, 향후 각급 학교 도덕과 교과서 개발 시에, 전통예절 영역 관련 삽화내용을 구성하여 제시할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단초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초등학교 도덕과 교과서 분석결과와 비교․분석하여 봄으로써 학교 급별 간에 전통예절 영역과 관련된 삽화내용에 있어서의 공통점과 차이점, 학교 급별 간 및 학교 내 학년들 간에 전통예절 영역과 관련된 삽화내용에 있어서의 일관성 및 계열성 등의 존재 여부를 검토하였다. 향후에 본 연구와 같은 이러한 유형의 연구 결과가 학교교육현장 및 각급 학교 도덕과 교과서 개발과정 등에 적극적으로 반영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첫째, 우리 도덕교육 공동체의 자기반성 및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각급 학교 도덕과 교과서 개발과정에 관련 분야 전문가의 적극적인 참여를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19.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원 양성 체제 개편에 따른 교원 선발제도의 개선 정책이 확정․발표됨으로써, 이에 따른 “교육공무원임용후보자선정시험”이 과거의 2차 시험에서 1차 선택형, 2차 논술형, 3차 심층면접 및 수업능력 평가 등 3단계 체제로 개편되어 이와 같은 전형의 취지에 부합하는 출제·채점 체제 개발과 출제 근거를 명료화하고 객관화시키기 위한 임용시험 프랑스어 과목 평가영역의 설정 및 평가내용요소 상세화 등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프랑스어 평가영역을 프랑스어교육학 6개 평가영역, 프랑스어능력 5개 평가영역, 프랑스어학개론 4개 평가영역, 프랑스문학개론 3개 평가영역, 프랑스어권문화 4개 평가영역을 교원자격검정령, 교원자격검정령 시행규칙 등 관계법령, 교사자격무시험검정기준법령 상의 프랑스어 과목 기본이수과목(또는 분야), 전공과목별 교사 자격 기준, 전국 사범대학 프랑스어교육과의 교육과정, 개정7차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제안하고, 각각의 평가영역에 대해 각 영역의 소단원이나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평가내용요소 상세화를 제시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