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잉카피넛씨 오일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헤어케어 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화학적으로 손상된 모발을 대상으로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에는 화학적 처리를 한 번도 거치지 않은 버진 헤어를 사용하였으며, 3회에 걸친 화학적 염색 처리를 통해 모발 손상을 유도하 였다. 이후 잉카피넛씨 오일을 다양한 농도로 함유한 제형을 제조하여 손상된 모발에 적용하였고, 메틸렌 블루 염색을 통해 모발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잉카피넛씨 오일을 함유한 제형은 피부에 홍반 이나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지 않아 우수한 피부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잉카피넛씨 오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모발 손상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는 잉카피넛씨 오일이 화학적으로 손상된 모발 의 구조적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천연 오일 기반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헤어케어 제품 개발을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a compact 20X magnification optical system was designed for application not only in hospitals and research institutions but also in hair salons and personal hair diagnostic devices. The system was developed with a measurement field diameter of 0.35 mm and a total optical system length of 125 mm to ensure practical usability. Through optical system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signed system achieved an MTF of over 0.4 at 20 lp/mm, and the CCD optical axis tolerance exceeded 2 mm, providing sufficient alignment stability. A review of the microscope illumination structure confirmed that coaxial illumination alone was sufficient to observe the cuticle at the central region of the hair. Furthermore, experiments using the fabricated prototype clearly demonstrated structural changes in the cuticle depending on the degree of hair damage. In future research, by acquiring a larger dataset of hair samples with varying degrees of damage and thickness, AI-based analytical techniques could be utilized to quantitatively evaluate hair damage. This system holds significant potential for practical applications in precise, high-resolution hair diagnostics across various fields.
본 연구는 당근씨 오일을 첨가한 제형제를 제조하여 손상된 모발에 도포할 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는 당근씨 오일 함량을 3 g 6 g, 9 g으로 펌베이스제에 첨가하여 제조 하였다. 제조한 제형제로 4개의 손상 모발 시료에 도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손상 모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측정방법은 인장강도,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광택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위해 통 계분석을 하였다. 인장강도 측정결과는 당근씨 오일을 첨가한 제형제로 도포한 시료의 인장강도는 손상모 와 차이를 보여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분석 결과 당근씨 오일을 첨가하여 도포 한 모든 시료의 흡광도가 감소하여 손상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광택 측정 결과는 당근씨 오일을 첨가하여 도포 한 모든 시료의 광택 변화가 있어 손상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함량에 따른 평균 값의 차이는 있지만 통계적으로는 차이가 없는 것을 알수 있었다. 결론 은 당근씨 오일이 손상된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어 모질 개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Hair dyeing, hair perming, and daily hair dryer use can substantially damage hair. Consequently, the demand for products containing natural ingredients for the care of damaged hair is growing. Although polyphenols with antioxidant effects are often used for hair conditioning, few studies have focused on hair conditioning, and the potential of Sparassis latifolia mushroom extract for hair improvement has not been evaluated to date.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nd polyphenol content in hot water, 70% and 100% ethanol (EtOH), n-hexane, ethyl acetate (EtOAc), and water extracts of S. latifolia were analyzed. A hair treatment containing S. latifolia extract was prepared, and its effect on damaged hair was evaluat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as observed in the hot water and EtOAc extracts. Moreover, polyphenol analysi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scopy confirmed that the EtOAc fraction has relatively high contents of specific polyphenols beneficial for hair. Based on these results, a hair treatment containing S. latifolia extract was applied to damaged hair, and hair improvement was evaluated using hair thickness, tensile strength,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hair treatment containing 70% EtOH extract effectively improved hair condition. We postulate that this improvement was caused by the high hydrophobic polyphenol content in the 70% EtOH extract.
본 연구에서는 인디안구스베리(암라), 찔레나무, 쏘팔메토열매를 5:1:1 비율로 Complex하고 추 출하여 0%, 0.5%, 2.5%, 12.5%, 100%의 NF Complex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NF Complex로 탈색한 시 료 모발에 도포 후 손상된 모발과 비교 · 분석하였다.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인장강도, 광택, 흡광도, 명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인장강도는 증가하였다. 광택은 함량이 100%는 감소하고 나머지 함량은 증 가하였다. 흡광도는 손상모와 대조군과의 차이가 있어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명도는 변화는 있 으나 미미하였다. NF Complex의 평균값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다양한 추출방법 및 혼합 비율에 따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라벤더추출물을 첨가한 제형제를 제조하여 손상된 모발에 도포할 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는 라벤더추출물 함량을 0 g, 3 g, 6 g, 9 g 으로 펌베이스제에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제조한 제형제로 4개의 손상 모발 시료에 도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손상 모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측정방법은 인장강도,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광택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위해 통계분석을 하였다. 인장강도 측정결과는 8레벨에 6 g 과 9 g 을 함유한 제형제로 도포 한 시료의 인장강도가 증가하여 손상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분석 결과 추출물을 첨가하여 도포 한 모든 시료의 흡광도가 감소하여 손상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광택 측정 결과는 9 g 첨가시에 손상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은 라벤더추출물이 손상된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어 모질 개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손상된 모발의 개선 효과를 알기 위해 바바수오일을 첨가한 모질 개선 제형제를 제 조 후 손상된 모발에 도포하여 실험 하였다. 실험 원료로 바바수오일 함량을 0 g, 3 g, 6 g, 9 g 으로 다르 게 하여 펌 베이스제에 첨가하였다. 제조한 제형제로 8레벨의 탈색한 시료 모발에 도포하여 각 시료와 손 상모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방법은 모질 개선 효과를 알기 위해 인장강도, 메틸렌블루를 이용 한 흡광도, 광택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위해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로 인장강도 측정결 과는 바바수오일을 첨가하여 도포 한 모든 시료에서 손상모보다 인장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메틸 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분석결과 모든 시료에서 손상모보다 흡광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광택 측정 결과는 모든 시료에서 손상모보다 광택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은 바바수오일이 손상된 모발에 개 선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바질 오일을 첨가한 모질 개선 제형제를 제조 후 손상된 모발에 도포하여 손상 모발 의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원료로 바질 오일 함량을 0 g, 3 g 6 g, 9 g 으로 다르게 하여 펌 베이스제에 첨가하여 제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제형제로 8레벨의 탈색한 시료 모발에 도포하였다. 각 시료와 손상모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방법은 모질 개선 효과를 알기 위해 인장강도, 메틸렌블 루를 이용한 흡광도, 광택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위해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로 인장강 도 측정결과는 바질 오일을 첨가하여 도포 한 모든 시료에서 손상모보다 인장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 다.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분석결과 모든 시료에서 손상모보다 흡광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광 택 측정결과는 모든 시료에서 손상모보다 광택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은 바질 오일이 손상된 모발 에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차후 다양한 오일의 종류와 연구방법으로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한 모질 개선 제형제를 제조하여 손상된 모발에 도포하여 손상 모발의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는 다시마 추출물 함량을 0 g, 2 g 4 g, 6 g 으로 다르게 하여 펌베이스제에 첨가하여 제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제형제로 8레벨로 탈색한 시료 모발에 도포 전과 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방법은 모질 개선 효과를 알기 위해 인장강도,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광택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위해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로 인장강도 측정결과는 8레벨에 4 g 과 6 g 을 함유한 제형제로 도포한 시료의 인장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분석결과 모든 시료의 도포 전, 후의 변화는 도포 후의 값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광택 측정결과는 모든 시료에서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은 다시마 추출물이 손상된 모발에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차후 다양한 추출물의 종류와 연구방법으로 손상모발에 개선효과가 있는지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목적은 살구씨 오일을 첨가한 모질 개선 제형제를 제조하여 손상된 모발에 도포하여 모발의 질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방법과 측정은 살구씨 오일 함량을 0 g, 1 g 2 g, 3 g 으로 다르게 하여 제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제형제로 탈색한 시료 모발에 도포 후 열처리와 자연방치를 한 후에 시료 별로 도포 전과 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모발의 질 개선 효과를 알기 위해 인장강도, 메틸 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광택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로 인장강도 측정결과는 건강모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도포 후에 증가하였다.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분석결과 7L(1), 7L(2), 7L(3), 9L(3)의 시료에서 도포 후 감소하였다. 광택 측정결과는 7L(1), 7L(2), 7L(3), 9L(3)의 시료에서 증가하였다. 인장강도, 흡광도, 광택의 변화로 인해 살구씨 오일이 손상된 모발에 질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차후 다양한 측정 방법과 처리에 대한 방법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밀크씨슬 오일을 첨가한 모질 개선 제형제를 제조하여 손상된 모발에 도포하여 모질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밀크씨슬 오일 함량을 0 g, 1 g 2 g, 3 g 으로 다르게 하여 제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제형제로 탈색한 시료 모발에 도포 후 열처리와 자연방치를 한 후에 시료 별로 도포 전과 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모질 개선 효과를 알기 위해 인장강도,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광택을 측정하였고 하였다. 모질 개선 효과를 알기위한 인장강도 측정결과는 7레벨과 9레벨 모든 시료의 인장 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분석결과 도포 전, 후의 변화는 도포 후의 값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광택 측정결과는 모든 시료에서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밀크씨슬 오일 이 손상된 모발에 모질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차후 다양한 오일 종류와 연구방법으로 모질 개선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헤나 처리 후 펌(permanent wave)을 시술하여 모발의 손상도 및 형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방법은 아미노산분석, 주사현미경측정에 의한 모발의 두께와 표면관찰, 모발의 컬 형성력과 지속력, 메틸렌블루 염색법, 인장강도와 신장률을 측정하 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미노산 총량은 천연헤나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모발 보호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컬 형성력은 대조군에 비해 천연헤나 처리 횟수가 증가할수록 컬은 탄력이 있었다. 지속력은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샴푸 횟수가 많을수록 Ⓒ와 Ⓒ’ 길이의 늘어짐이 증가하여 지속력이 감소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모발의 두께는 대조군(Control)에 비해 실험군 모두 천연헤나처리 후 모발의 두께가 굵어졌다. 표면의 형태적 관찰에서는 실험군 모두 모발의 표면이 대체적으로 깨끗하고 큐티클 층이 잘 정돈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메틸렌블루염색법에서는 천연헤나처리 횟수가 증가 할수록 흡광도 값은 증가하였다. 인장강도는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모두 인장강도가 감소하였으며, 신장률은 천연 헤나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실험군의 신장률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천연헤나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모발의 두께가 굵어졌고, 모발의 컬 형성력과 지속력이 높아졌으며, 모발에 탄력성과 유연성을 부여함으로서 모발 손상을 완화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천연헤나 시술법 은 염색과 펌의 잦은 화학시술로 인한 고객의 손상된 모발을 관리하고, 미용산업 현장에 올바른 시술방법 제안으로 두피와 모발손상을 줄이는데 기초자료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코아세르베이트의 구조는 모발의 침착에 매우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발의 표면 성질 과 모발 손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미세하고 균일한 구조를 갖는 코아세르베이트의 효과를 조사하 였다. 본 연구에서는 10% 농도로 희석한 샴푸 용액에서 크기가 다른 코아세르베이트를 탐구하였다. 하나의 용 액은 입자의 크기가 균일하지 않은 코아세르베이트(평균 10 - 300 μm)를 함유하고, 다른 용액은 미세하고 균 일 한 구조(평균 1 - 3 μm)의 코아세르베이트를 형성하였다. 샴푸가 모발의 물리적 성질과 모발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두 종류의 샴푸를 사용하여 모발 파괴 특성, 색 변화, 마찰 특성, 지질 함량 및 모발 표면을 조사하였다. 결과는 상대적으로 미세하고 균일한 크기의 코아세르베이트가 모발 표면에 고르게 침착되었음을 명확하게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코아세르베이트 계는 모발 마찰, 파손 특성 및 색상과 같은 모발의 표면 성질 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마찰력 역시 크게 감소하였다. 미세하고 균일 한 크기의 코아세르베이트의 사용은 현저하게 모발 표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모발 파괴가 감소하였고 코아세르베이트의 모발 손상에 대한 영향은 현저하게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서리태 발효추출물의 모발보호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화학적 산화를 통해 손상된 모발을 준비한 뒤 서리태 발효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모발의 형태학적 특성, 인장강도, 구성성분의 변화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모발에 산화제를 처리하였을 때, 표피의 큐티클 층이 손상되고 모발의 인 장강도가 14.32 ± 0.83 g/cm2에서 12.32 ± 0.79 g/cm2로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FT-IR 분석결과 산화 제를 처리한 모발은 버진 헤어에 비하여 1,077, 1,041, 801 cm-1에 해당하는 피크가 증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케라틴 단백질 간의 이황화 결합에 필수적인 시스테인이 산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손상된 모발에 서리태 발효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표피의 큐티클 층의 틈이 메워지고, 인장강도가 14.27 ± 0.96 g/cm2로 회복되 었으며, 모발의 성분 중 시스테인의 산화물 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발효 서 리태 추출물은 산화제에 의해 손상된 모발의 보호 소재로 연구될 가치가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