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

        1.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성경의 일부 혹은 전부가 문학적 해석의 여지를 가지고 있다는 관점에서 로마서에 기록된 사도바울의 자기 고백을 수사학적인 도구로 본다. 로마서 해석의 역사에서 바울의 개인적 고백이 담긴 7장 7-25절은 율법을 논하는 다른 부분의 내용과 문체적 차이를 보인다는 이유로 여담, 삽입, 낯선 내용으로 여기거나 혹은 바울이 저자가 아니라는 시각이 존재해왔다. 사도의 권위로 어렵고 중대한 율법을 다루는 담론에 지극히 사적인 고백이 들어간 것은 바울적이지 않다는 해석이다. 그러나 이 논문은 그것을 본문에서 벗어난 내용으로 보지 않고, 오히려 난해하고 논란이 많은 율법이란 이슈를 1세대 크리스천 커뮤니티가 이해하도록 생생한 일인칭 내러티브로 설명한 문학적 도구로서 필수 불가결한 본질로 본다. 다시 말해서 바울은 우리가 이제는 율법에서 벗어났다는 주장을 보강하려고 사적인 고백을 사용한 것이다. 바울의 문학적 전략은 유대인과 이방인을 같은 믿음 안에 들어오게 하여 그들이 교회 안에서 서로 포용하도록 도와주는 데 있었다. “율법이 죄냐?”는 그의 물음은 율법을 지켜야 하느냐 마느냐로 대립하고 있던 교회 안의 두 그룹 모두에게 던진 질문이다. 따라서 바울의 자기 고백은 유대인에게나 이방인에게나 그리스도의 은혜 외에 율법으로는 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준 문학적 도구로 사용됐음을 알 수 있다.
        5,100원
        2.
        202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도행전을 중심으로 바울의 선교전략과 현대 적용점을 밝히고자 논의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바울선교와 현대선교의 연결점 에서 찾고자 노력하였고, 바울의 선교 방법과 전략에 대하여 집중하여 다루었다. 바울선교에서 자비량선교, 도시중심의 선교, 현지의 문화와 상황을 이해하고 접근하는 토착화 선교, 현지에 현지인을 중심으로 개척하였다. 현지교회가 자립, 자치, 자전의 선교를 시행하고, 현지 지도자들을 육성하고, 리더십을 개발하여 더욱 성숙하고, 영성이 있는 리더십을 개발하는 전략적 선교를 행하여야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선교지 교회의 헌신자들을 사후관리하고, 선교사 멤버 케어와 위기관리 까지 시스템화하는 선교가 요청되고 있다.
        6,900원
        3.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도행전에 나타난 바울의 상황화 선교 원리와 전략에 관한 것이다. 사도행전에서 사도바울은 대상자인 청중의 상황에 따라 메시지의 내용을 다르게 표현하고 있다. 사도행전 15장 예루살렘 공의 회에서 사도바울은 모세의 율법과 할례를 시행하는 것이 구원의 조건이 아니라 예수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을 받는다는 것을 분명히 하였다. 사도행전 13장 안디옥에서 유대인에게, 사도행전 14장 루스드라에서 이방인에게, 17장 아덴에서 철학자들에게 다른 메시지 내용과 전달방 법을 활용하였다. 사도행전에서 바울은 대상자에 맞는 적절한 상황화 원리를 통하여 복음의 전달을 하였다. 사도행전에서 나타난 바울의 상황화는 대상자인 청중의 눈높이에 맞추어 복음을 전달하였다.
        6,000원
        4.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울은 각 선교지의 삶의 정황(Sitz im Leben)에서 비롯된 여러 신학적 문제들을 그의 서신에서 다루고 있다. 따라서 바울서신의 신학적 주제들은 선교적 해석을 통해 보다 바르고 분명하게 이해될 수 있다. 왜냐하면 바울서신에서 선교의 성서적 근거를 찾는 것이 아니라 바울서신 자체가 하나님의 선교를 증거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선교적 해석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바울은 이방인의 사도로서 오직 믿음으로 의롭게 되는 ‘이신칭의’(以信稱義)를 통해 유대인뿐만 아니라 모든 믿는 자들이 구원을 얻는 복음의 보편성을 확립하였다. 이것은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십자가는 유대인들이 수치스럽게 여기는 것이고 헬라인들이 어리석게 여기는 것이지만 바울은 이것이 하나님의 구원의 능력이자 지혜임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을 얻은 자들은 ‘연합과 일치’를 이루어 세상에 복음을 선포하여야 한다. 오늘날 침체된 한국교회는 바울서신의 신학적 주제에 대한 선교적 해석과 실천을 통해 새로워질 수 있을 것이다.
        6,600원
        5.
        201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독교 역사상 가장 훌륭한 선교사였던 바울은 그의 정체성에서 특별한 점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그리스도인들은 회심 후 오랜 시간이 지나 특별한 사람들만 소명을 받게 된다. 바울의 선교적 인생의 전환점이 된 ‘다메섹 사건’은 그의 정체성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는데, 그에게는 회심이 곧 소명이 되었다. 바울은 이 사건을 전할 때마다 서로 다른 보도를 하고 있다. 그 이유를 우리는 바울이 처한 정황을 고려한 선교적 해석을 통해서만 정확히 이해될 수 있다. 그는 자신이 ‘이방인의 사도’임을 여러 번 강조함으로써 적대자들의 핍박과 공격의 대상이 되지만, 바울은 결코 어떤 사람이나 기구의 권위에 의존하지 않고 오로지 신적권위에 의지하여 유대적 율법주의에 맞서며 사도로서의 정체성을 획득한다. 오늘날 우리가 바울처럼 ‘사도직’을 자신의 선교사역의 결과에서 비롯된 ‘사도됨’으로 설명할 수 있다면 선교학의 핵심개념 가운데 하나인 사도직이 바르게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6,600원
        6.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선교 역사 속에서 가장 활발한 선교사역을 한 바울의 선교 전략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바울은 1차, 2차, 3차의 전도 여행에서 다양한 선교사역의 형태와 전략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다양한 선교의 유형과 형태들 가운데서 바울의 선교 전략이 보여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울의 세 차례의 전도 여행을 논의하였고, 바울의 선교전략의 모든 영역을 다루지 않았다. 전도 여행 중에 나타난 중요한 회당 중심의 선교, 대도시 중심의 거점 선교, 동역자를 세워 함께 한 팀사역, 자비량 선교, 상황화 선교전략, 현지인 리더를 양성, 성령의 인도하심과 능력 선교만을 다루었다. 바울의 선교 전략 연구를 통해서 한국교회의 선교의 방향과 전략을 수정하고 재정립하는 게 본 연구의 중요성이며 목적이다.
        6,600원
        7.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칭의론은 기독교의 심장이라 말할 수 있다. 바울에게 있어서 이렇 게 중요한 개념인 ‘칭의론’이 오늘날 세계 선교와 선교학에 있어서 중요한 자리 매김을 하고 있는 ‘하나님의 선교’ 개념과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바울의 칭의론이 ‘하나님의 선교’라는 거대한 선교 신학적 패러다임 속에 담긴 칭의론과의 차이가 무엇인지를 비교 연구함으로써 선교 신학적 이해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는 ‘하나님에 대한, 인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바울이 예수를 가리켜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용어는 ‘주’(Lord)이다. 그가 이 ‘주’를 하나님으로 칭송하고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칭호 역시 반드시 예수가 하나님이시고, 후대 삼위일체 교리의 의미에서 “성자 하나님”(God the Son)이심을 암시 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의 선교’ 관점 속에서 이해된 바울의 칭의론 연구는 21세기 선교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준거의 틀 역할을 하게 된다.
        8,000원
        8.
        201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가 천착하고 있는 것은 동일한 시대에 전개되었던 인문학 (Studia Humanitatis)과 종교개혁(Reformation)의 상관관계를 밝 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16세기 종교개혁의 시대적 배경이 되었던 인문학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제 2의 종교개혁이 과제로 제시되고 있는 한국 교회와 신학계의 현상을 비교 역사적으로 조망해 보고자 한다. 15-16세기에 유럽에서 인문학이 태동한 것과 교회의 혁신을 추진했던 종교개혁이 상호 영향력을 주고받았다면, 인문학은 도대체 어떤 학문이고, 교회와 신학은 인문학과 어떻게 상호 영향력을 주고받을 것인지에 대해 논구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인문학과 종교개혁이 상호 영향력을 주고받았던 유럽의 16세기에 대한 논의일 뿐만 아니라, 2017년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하는 한국 교회의 과거와 미래에 대한 탐구이기도 하다.
        6,700원
        10.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그리스도교는 길(路) 위의 종교이다. 기원후 1세기, 그리스도의 복음을 땅 끝과 이방 사람에게 전파하기 위해 도상에 올라선 바울은 그리스도교 복음의 떠나는 본성을 그대로 지닌 ‘선교 여행자’였다. 바울이 선교 여행을 떠날 당시는 로마 제국의 치안 유지와 함께 제국 곳곳에 건설한 가도와 해로로 여행자들이 자유롭고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었다. 바울의 선교 여행도 로마 제국의 영토 내에서 로마의 가도와 해로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논문은 사도행전에 기록된 바울의 제1차 선교 여정의 이동 경로와 로마의 길의 상관관계에 대해 고찰함으로써,길을 통한 그리스도교 복음의 여정과 그것의 선교학적 의미를 연구한 다. 키프로스와 소아시아의 로마 도상에서 바울은 그리스-로마의 문화 및 종교관을 마주하며 하나님을 전하는 방식에 대하여 숙고했고, 궁극적으로 이 여정이 바울의 신학적 성숙을 이끌었다. 바울의 선교적 성숙은 그가 믿고 있던 복음의 의미를 풍성하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선교 방식의 변화도 초래하였다. 구체적으로 바울은 그의 제1차 선교 여정 중 안디옥 설교와 루스드라 설교를 통해 지역적 특징과 청중의 문화적 수용성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는 선교적 접근 방식의 차이를 처음으로 드러냈다. 바울은 안디옥 설교에 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과 부활을 강조한 반면, 루스드라에서는 오로 지 살아계신 창조주 하나님을 전달하는데 집중했다. 이처럼 바울의 설교는 지역적 특징과 청중의 종교문화적 감수성에 따라 그 선교방식을 완전히 다르게 취했다. 이런 현격한 선교 방식의 차이는 로마의 도상에 서 이루어진 여정으로 바울이 로마 제국의 종교 문화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도상의 복음이 그 지역의 종교 문화적 감수성 과 만났을 때 선교적 성숙이 성취되고 있음을 바울이 걸어갔던 제1차 선교 여정이 보여주고 있다.
        8,000원
        11.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울 신학은 영과 육체를 나누는 이원론의 관점을 지니고 있다. 예이츠 역시 인간의 정신과 육체를 구분하는 이원론의 사상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바울의 이원론에 관한 관점은 예이츠의 사상과 다르다. 바울은 영과 육체에 대해서 배 타적 이원론의 입장인데 반해, 예이츠는 상보보완적인 관점에서 이 문제를 다루 고 있다. 바울의 이원론은 인간의 윤리성과 도덕성을 제고함으로서 종교적 목적 을 이루는 긍정적이고도 필수적인 요소를 지닌다. 그러나 그의 이원론은 보다 더 극단화되거나 배타적으로 이원론화 되어 더욱 엄격한 금욕주의를 산출한다. 결국 인간의 생명의 본성을 억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과 관련하여 예이츠는 종교 안에 갇힌 배타적 이원론으로부터 파생된 억압적인 금욕의 한계성을 간파 한다. 그리고 자신의 상호 보완적인 이원론에 대한 관점을 바탕으로 종교로부터 파생된 배타적 이원론의 한계성을 극복한다. 결과적으로 예이츠는 정신과 육체 에 대한 이분법적 이원론에 대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6,000원
        12.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로마서에 나타난 모든 이스라엘의 구원 문제에 관한 사도바울의 선교적 이해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바울 서신 중 하나인 로마서는 모든 이스라엘의 구원에 관한 논쟁점을 우리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로마서 1장부터 8장에서 바울은 모든 사람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인이 됨을 강조한다. 그러나 9장부 터 11장에서는 모든 이스라엘의 구원 문제에 관해서 예수 그리스도 혹은 믿음에 관한 내용을 더 이상 다루지 않고 있다. 오히려 바울은 하나님의 언약과 “하나님의 은사와 부르심에는 후회하심이 없느니라” (롬 11:29)라는 부분을 강조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많은 학자들은 바울이 모든 이스라엘 사람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가 아닌 하나님의 신비스러운 어떤 방법으로 구원을 받게 된다는 사실을 믿은 것은 아닌가 하는 의문을 가지고 있다. 바울에게 있어서 그 신비스러운 방법이란 예를 들어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이방인들의 숫자가 어떤 기준에 도달하면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구원하시는 것과 같은 방식이 다. 그래서 바울은 이방인들의 구원과 이스라엘의 궁극적인 구원을 항상 연결시켰다. 한 사람의 유대인으로서 바울은 모든 이스라엘을 구원하고자 하시는 하나님의 신비스러운 계획에 참여하기 위해서 이방 인의 사도가 된 것이다. 이것은 “기독교인들은 유대인들을 반드시 전도 해야만 하는가?” 그리고 “우리는 로마서 9-11장을 유대인들과 이방인 들 모두에게 설교 할 수 있는가?” 하는 선교적 질문들로 우리를 이끈다.
        7,700원
        13.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바울의 선교’를 ‘하나님의 선교’의 관점에서 이해할 필요성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저자는 다음과 같이 논의한다. 첫째, 바울 본연의 ‘선교’에 대한 인식과 실천방식에 더욱 적실한 이해와 논의는 사도행전에 기록된 ‘바울에 대한 누가의 관점’이 아니라 바울서신에 드러나는 ‘바울 자신의 관점’을 통해서 이루 어져야 한다. 둘째, 바울에게 적용되어야 할 ‘선교’에 대한 더욱 적실한 정의는 바울 자신의 세계관과 목적의식을 반영하는 더 포괄적인 것이어 야 한다. 셋째, 바울서신에는 현대의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신학 의 요점이 말하는 바와 같이, 선교의 본연적 주체로서의 삼위 하나님의 선교에 대한 분명한 인식과 그 ‘하나님의 선교’에 의해 발생되고 그 선교에 참여하도록 부름 받은 두 개의 선교, 즉 ‘바울 자신의 선교’와 ‘교회의 선교’에 대한 바울의 인식이 나타난다. 넷째, 바울의 서신은 교회를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선교공동체’로서 이해하지만 바울 자신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음전도자들의 공동체라 기보다는 개인적, 공동체 내/외적인 모든 차원에서 복음을 충실히 ‘살아냄으로써’(by living out) 복음을 ‘가시화’(visualization)하는 ‘존 재론적-윤리적인 복음의 도구(ontological and ethical agent for the Gospel)라는 측면을 더 강조한다. 다섯째, 이상의 논의는 바울의 선교적 사유와 실천에 대한 우리의 관점을 ‘바울의 선교’에서 ‘[하나님의] 선교의 바울’로 전환해야 할 필요성을 요청한다.
        7,700원
        14.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타우베스의 바울 독해는 정통 신학적 바울 이해와 차별화된다. 바울의 새관점 학파 등장 이후에 바울을 유대인의 배경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 왔다. 타우베스는 이런 전통에서 철학적 바울 이해를 추구한다. 슈미트의 영향 아래 바울을 정치신학으로 해석한 타우베스는 바울을 유대인으로서 메시아적 소명에 따라 이방인의 사도가 된 인물로 해석한다. 이런 정체성을 가진 바울이 유대인과 로마제국의 노모스 신학에 대항해 새로운 정치신학을 제시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로마서 독해를 통해서 타우베스는 바울이 프네우마의 원리에 따른 종말론적 정적주의를 지향한다고 강조한다. 이런 타우베스의 바울 독해는 세 가지 근대적 해석 프레임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첫째, 로마서에 나타난 저자의 의도와 텍스트의 심층구조를 분석하는 해석학적 방법론이 근대적이다. 둘째, 유대인 대 반유대인의 대립 구도를 드러내는 인종주의적 인식 프레임이 근대적이다. 셋째, 정치신학적 테제가 근대군주론적 담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근대적이다. 이런 해석학적 프레임에도 불구하고 타우베스의 바울 독해는 탈근대적 바울 담론의 주요 텍스트 중의 하나로 다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 가치가 있다
        5,700원
        16.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바울이 다메섹 도상에서 체험한 ‘회심’과 그 결과를 토마스 쿤이 과학혁명의 구조에서 주장한 ‘정상과학,’ ‘위기,’ ‘패러다임 전환’ 등 몇 가지 핵 심 개념으로 분석하였다. 회심이전, 바울의 구약해석학은 구전토라를 포함한 랍 비전통의 해석학이었고, 회심이후 그의 해석학은 그리스도 중심적 구약해석으 로 전환된다. 그의 구약해석은 이후 기독교도들에게 구약해석의 표준을 제공한 다는 점에서 쿤이 말한 “학제모형”의 성격을 띤다. 또한 그의 회심은 ‘비축적적’ 이고 돌발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전의 해석학을 새로운 해석 학으로 완전히 대치했다는 점에서 쿤이 언급한 패러다임 전환의 여러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쿤이 언급한 과학혁명의 순서에 따라 바울의 해석 학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구성 되었다. 1장에서는 ‘정상과학’과 유대경전의 해석 학을, 2장에서는 ‘위기’와 바울의 해석적학 위기를, 3장에서는 새로운 패러다임 의 탄생과 바울의 해석학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다루었다.
        6,000원
        17.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ur close observation of the debates among Pauline scholars in the west on the issue of mission-relationship between Paul and the church provides some points to be borne in mind for a fresh approach in our further discussion. The dichotomy between scholars’ approach to the issue of mission-relation between Paul and the church either in terms of mission-continuity or mission-discontinuity needs to be remedied by appreciating the possibility to see the issue afresh, namely,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Therefore, our further discussion is to begin with assuming a certain ‘mission-continuity’ between Paul and the church or at least Paul’s missio-ecclesial understanding vis-à-vis his understanding of his own mission. This again means that the unsettled exegetical question is not about such a mission-continuity or mission-discontinuity between Paul and the church but about the nature of such a continuity. On a more fundamental level, the current debate has more to do with a more plausible description of Paul’s conceptuality regarding what Pauline scholars have generally called ‘mission’ than simply to explain away the relation between Paul and the church under a given popular definition of mission. As the modern notion of ‘missio-Dei’ and “missional ecclesiology’ do, a more plausible description of Paul’s conceptuality regarding the current issue requires to see ‘mission’ not ‘pattern-analytically’ but ‘purpose-analytically’. However, this should not be done anachronistically by projecting these modern notions to Paul’s texts, but in a way in which we can provide a more biblical and historical basis for a better understanding about our mission today.
        7,800원
        18.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postle Paul was a great theologian and an excellent missionary. His theology is missional and his missions were theological. Paul focused on communicating the Gospel message cross-culturally while planting churches all over the Roman empire in order to extend the kingdom of God. He devoted his total life to this crucial work. The Gospel which Paul communicated to many people groups was that Jesus Christ had died on the cross and rose from the dead according to the prophecies of the Scriptures to redeem the humankind in the world. This redemption is not possible by human work or by keeping the Law, but through believing in Jesus Christ who is the only Saviour and Lord. The primary purpose of Paul's life since he had been called by the Lord was to become an apostle for the Gentiles who were yet to be Christians. He made three cross-cultural mission trips after he had been sent by the Church in Antioch. He made a final mission trip to the city of Rome after he had been arrested at Jerusalem, and preached the Gospel to the people in Rome. Paul's ministry was centered on cross-cultural evangelism and church planting work. He committed himself wholly to boldly proclaim the Gospel and plant healthy churches throughout the world by crossing racial, linguistic, and religious barriers. He employed multiple methods of evangelism at different areas and times. Paul stressed urban evangelism by choosing cities as strategic points to evangelize the people in remote surrounding areas. Further, he carried out his evangelistic work with good team workers like Timothy and Titus. He usually began his ministry at homes so that he could plant house churches which became large churches. Paul's missions were based on the solid practical theology which tried to contextualize the Gospel in different cultures so that the Gospel could be meaningfully communicated to the people whom he was called to serve. He was always guided by the Holy Spirit when he attempted to move to another area to share the Gospel. According to Paul, Church needs to be a missional church which maintains the balance between evangelism and social service. He was a model for a witness-martyr community. He was concerned with not only preaching the Gospel to the Gentiles, but also having a compassion ministry to the Church in Jerusalem. He preached the unchangeable message of the Gospel to people across changeable cultures.
        8,400원
        19.
        200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octrine of Won-Buddhism(Wonbulgyo) is based on the Il-Won-Sang(One Circle) as well as the Fourfold Grace. The teaching of Fourfold Grace is the more distinctive and practical doctrine. Jung bin Park (1891-1943), the founder of Won-Buddhism, originated Won-Buddhism after "the great enlightenment" in 1916. He re-created it from Korean traditional religions. The doctrine of fourfold Grace emphasizes following things: the grace of heaven and earth, the grace of parents, the grace of neighbors, the grace of law. The doctrinal chart of Won-Buddhism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uth of Il-Won-Sang and the fourfold grace as the whole to the part, and unites the faith and gratitude to be practiced whenever and everywhere. Two different grace theories from Sotaesan and Apostle Paul, are compared through out this article. First, Sotaesan understands god as pantheism but Apostle Paul, as creator. Second, salvation is gained from one’s good deeds according to Sotaesan but Apostle Paul asserts that salvation is gained only by the blood of Jesus Christ. Last, while Soetaesan emphasize religion of ethic, Apostle Paul emphasizes religion of life. I strongly suggest three mission strategies to believers in order to evangelize them. First, Christians have to witness the uniqueness of Jesus Christ to Won-Buddhism who believes in syncretism. Next, Christians have to change their Won-Buddhism world-view into Christian world view. Finally, we have to persuade them through love and patience.
        7,7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