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drones are increasingly recognized as an important solution for last-mile delivery in the food and beverage sector, owing to their rapid deployment capabilities and high operational flexibility. In particular, growing interest in drone delivery services has been observed among fast food and coffee franchises, where rapid delivery is essential due to the time-sensitive nature of food and beverage items intended for immediate consumption. Despite this trend, there remains a lack of research on the structural modeling of flight routes for VTOL drones operating under automatic flight conditions, and on the implementation of first-come-first-served (FCFS) delivery services utilizing predefined flight routes. Accordingly, this study comprehensively describes the operations for food and beverage delivery services using VTOL drones. In particular, it addressed the use of multiple drones to conduct FCFS-type multi-point delivery services along fixed routes suitable for automatic flight.
본 연구는 청소년의 친구관계가 공격성을 매개로 하여 현실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에 참여한 중학생 2,59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매개효과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기술통계 분석에서 청소년의 친구관계 평균 이 공격성이나 비행의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친구관계, 공격성, 비행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매개효과분석을 통해 친구관계가 비행에 직접적인 영 향을 미치는 동시에, 공격성이 그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친구관계를 긍정적으로 형성·유지하면서 공격성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완화할 수 있는 사회복지 실천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Virtual Reality Head Mounted Display (VR HMD)-based flight simulators have recently emerged as promising tools for enhancing pilot training effectiveness.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set of evaluation criteria for the development of VR HMD-based flight simulators and to determine their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rough an ext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a hierarchical evaluation model was constructed, consisting of three primary criteria and ten sub-criteria.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experienced pilot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AHP methodology to assess the relative weights of each criter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fidelity of system performance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evaluating VR HMD-based flight simulators. These findings present a structured evaluation framework and offer practical insights for guiding the strategic development and optimization of VR HMD-based flight training systems.
초음속 혹은 극초음속 미사일의 레이돔은 공력 가열로 인해 과도한 열유속에 노출된다. 또한 미사일은 발사 후 속도와 고도가 변화 하면서 이에 따라 레이돔에 가해지는 열유속이 변화한다. 이러한 열부하에 의해 레이돔의 온도가 소재의 허용 온도를 초과하면, 레이 돔은 레이더를 보호하는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비행 시나리오에 따른 레이돔의 열전달 특성을 고려하여 레이돔을 설계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준-비정상 기법을 적용하여 가상의 비행 시나리오에서의 레이돔의 열전달 특성을 분석하고 준-비정상 기법의 정 확도와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준-비정상 기법을 적용하여 시간에 따른 레이돔 외벽의 열유속과 온도 분포를 도출하였으며, 15초 이후 레이돔 외벽의 온도가 소재의 허용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부분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준-비정상 기법을 통해 도출된 결과 와 비정상 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레이돔 평균 온도 측면에서 15% 이내의 오차로 예측할 수 있고 해석 소요 시간은 75%가 단축되는 것 을 확인하여 준-비정상 기법의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이 연구는 일반긴장이론, 사회유대이론, 일반이론에서 제안된 변인들을 사용하여 청소년의 비행지 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아 동ㆍ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의 중1 패널의 2018년(1차)∼2022년(5차)의 자료를 결합하여 이산시간 위험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반긴장이론의 긍정적 자극의 소멸, 친구긴장, 사회유대이론의 부모애착, 교사애착, 학업 열의, 참여, 일반이론의 자기통제력이 청소년 비행지속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비행지속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청소년의 비행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세 가지 비행이론을 사용하 여 패널데이터를 통해 종합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그러나 2차 자료를 활용하 여 각 이론의 하위 변수들을 모두 활용하지 못했기에 검증에 한계가 있다.
Airpower plays a key role in neutralizing military threats and securing victory in wars. This study analyzes newly introduced fighter forces by considering factors like performance, power index, operational environment, airbase capacity, survivability, and sustainment capability to devise an optimal deployment strategy that enhances operational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Using optimization methods like mixed integer programming (MIP), the study incorporates constraints such as survivability and mission criticality. The focus is on major Air Force operations, including air interdiction, defensive counter-air, close air support, and maritime operation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proposed model outperforms current deployment plans in both wartime and peacetime in terms of operations and sustainment.
Airpower is a crucial force for suppressing military threats and achieving victory in wars. This study evaluates newly introduced fighter forces, considering factors such as fighter performance and power index, operational environment, capacity of each airbase, survivability, and force sustainment capability to determine the optimal deployment plan that maximizes operational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Research methods include optimization techniques such as MIP(mixed integer programming), allocation problems, and experimental design. This optimal allocation mathematical model is constructed based on various constraints such as survivability, mission criticality, and aircraft's performance data. The scope of the study focuses the fighter force and their operational radius is limited to major Air Force and joint operations, such as air interdiction, defensive counter-air operations, close air support, maritime operations and so on. This study aims to maximize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fighter aircraft operations. The results of proposed model through experiments showed that it was for superior to the existing deployment plan in terms of operation and sustainment aspects when considering both wartime and peacetime.
농업에서 거친 토양 표면은 다양한 문제를 일으킨다. 물, 토양, 씨앗, 비료와 같은 자원을 낭비하여 생산비를 높이고 환경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또, 농업 기계는 거친 토양에서 균형을 잡기 어려워 농부들의 편의성을 해치고, 장비의 내구성과 자율 주행 성능을 떨어뜨리는 등 정밀농업의 실현을 방해한다. 거친 토양 표면은 입자가 큰 토양으로 구성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식물 생장을 방해하고 물빠짐에도 영향을 준다. 거친 표토를 측정하는 방식은 농지 전체를 측정하기보단 일부 지점의 거칠기를 측정하여 나머지 지점의 거칠기를 추정하는 것이 다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인비행체(UAV)를 이용해 효율적으로 표토 거칠기를 측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험은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에서 40m 높이에서 180장, 86%의 중첩률로 획득한 항공 사진을 이용했다.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조밀 점군에서 파이썬으로 중심점으로부터 일정한 반경 이내에 있는 가까운 주변 8개 점을 선택하여 고도차를 이용하여 결과값을 계산하였다. TRI 지수, Roughness 지수, 표준편차 세 가지 지표는 계산 후 농지에 시각화되었다. 일부 지점에서 측정한 표토 거칠기를 바탕으로 나머지 농지에 대한 거칠기 값을 추정하는 방식과 달리, 본 연구는 모든 지점에서의 거칠기 지수를 점군 단계에서 습득할 수 있는 방식을 통해 측정의 정밀도를 높이고 농지 운영을 돕고자 하였다.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is a core feature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which are commonly referred to as drones. In emerging smart logistics, drones are expected to play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as mobile platforms. Therefore, research on last-mile delivery using drones is on the rise. There is a growing trend toward providing drone delivery services, particularly among retailers that handle small and lightweight item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a structural definition of the VTOL drone flight model for multi-point delivery service. This paper describes a VTOL drone flight route structure for a multi-drone delivery service using rotary-wing type VTOL drones. First, we briefly explore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when providing drone delivery services. Second, a VTOL drone flight route model is introduced using the idea of the nested graph. Based on the proposed model, we describe various time-related attributes for delivery services using drones and present corresponding calculation methods. Additionally, as an application of the drone route model and the time attributes, we comprehensively describe a simple example of the multi-drone delivery for first-come-first-served (FCFS) services.
해상특수교량은 특수한 환경적 조건뿐 아니라 고주탑의 구조형식, 보호재로 쌓여있는 케이블 등 특 수한 형식을 가지고 있어 일반적인 육안전검으로 안전점검을 할 수 없는 사각지대가 존재한다. 주탑의 외부 손상상태 및 케이블의 손상에 대해서는 정밀안전점검에서도 점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 므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또한 해상특수교량에 대한 전문적인 경험과 기술이 부족한 관 리자도 대상교량의 손상과 이상거동을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판단할 수 있는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이 에 본 연구에서는 해상특수교량 고주탑에 대한 손상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드론의 자동비행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주탑 외부 균열 손상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부모와 친구, 교사와의 애착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부모, 친구, 교사와의 애착이 각각 지 위비행, 폭력비행, 재산비행, 성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애착을 세부적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의 친밀함이 비행에 어떠한 영 향을 주는지 분석한다. 분석 결과, 지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 에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부모와의 애착 중에는 시간(=-.114)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고, 교사와의 애착 중에는 관계(=-.083)만이 영 향력을 보인다. 폭력비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와의 애 착 중 관계이다. 재산비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와의 애 착 중 관계로 나타나며 이는 폭력비행과 같은 결과이다. 성 비행의 경우 에는 교사와의 애착 중 관계(=-.105)가 전체 애착 요인 중에서도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친밀도를 측정한 문항을 하나의 변수로 묶지 않고 각각의 영향력을 따로 분석하여 선행연구와 차별된 결 과를 얻었다. 이 연구는 청소년의 비행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개 개인에게 세부적인 처우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항공기는 대표적인 인간-기계시스템이다. 인간의 조작과 기계의 작동 완료 시점 사이에는 기계가 작동되기 시작하 는 시간과 기계에 힘이 전달되기 시작하여 완료되는 시간 등의 지연이 발생하며 항공기 조종은 시스템의 지연을 예 측한 타이밍 작업을 통해 이루어진다. 시간지각은 타이밍 작업의 중요한 요소이며, 높은 각성작용과 관련된 불안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가상현실 환경에서 현직 조종사를 대상으로 기상, 비행 및 시간 조건이 조종사에게 발생하는 불안과 시간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기상조건은 시계비행 기상 상황과 악기상 상황 으로 구분하였고 비행 및 시간 조건을 달리하여 실험 1, 2를 실시하였다. 실험 1은 비교적 운동량의 변화가 적고 지연이 적은 제자리비행과 수평비행 상황에서 조종간에 추가된 버튼을 사용하여 시간지각을 측정하였다. 실험 2는 운동량의 변화가 많고 지연이 많이 발생하는 이륙상황에서 조종간만을 사용하게 하여 자연스럽게 헬리콥터를 이륙 시키는 과정에서 시간지각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악기상 상황에서 불안과 심박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실험 1, 2의 모든 비행조건 중 불안이 증가한 상황에서 시간을 과대 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불안 의 영향으로 시간을 과대 추정하여 타이밍 작업을 실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종에 어려움을 겪고 사고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나무그림 검사가 비행청소년의 자기개념의 반응을 평가하는 심리검사 도구로서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하는 직업훈련소년원 255명이며, 연구도구는 나무그림 검사와 자기개념 척도 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 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무그림 검사의 형식적 반응특성에서 크기 와 위치 및 필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나무그림 검사의 내용적 반응특성에서 줄기와 가지 및 상흔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 과를 바탕으로 나무그림 검사가 비행청소년의 자기개념 수준을 판별할 수 있는 검사도구로서 유용한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a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as steady-state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rference between the propellers of the hexa-copter. As the distance increases, there is little change in thrust, but when a propeller close to the reference propeller rotates, it was confirmed that the thrust decreased due to the interference effect. Unsteady state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the hexa-copter fuselage. If there is a fuselage, the thrust was predicted to increase by about 4.97% due to the ground effect. If the design parameters are established considering the effect of the fuselage of the hexa-copter, it is expected to be used for basic design and application desig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 의 7차년도 자료인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통하여 청소년 지 위비행의 고위험군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 1,979명 중 지위비행 집단은 264명으로 전체의 13.3%로 나타났다. 청소년 지위비행의 고위험군은 남자이면서 긍정적 양육방식 을 낮게 인식하는 군이었다. 긍정적 양육방식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성별, 정서문제, 교사관계, 성취가치 순이었다. 청소년 지위비행을 예방하기 위해 양육방식에 대한 부모교육 프로 그램, 남자 청소년에게 특화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공격성에 초점을 두었던 그 동안의 중재에서 더 나아가, 우울, 사회적 위축 등의 정서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중재가 요구된다. 특히 청소년 에게 중요한 학교환경에서 교사관계가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밝혀진 바, 청소년 지위비행의 원인과 결 과에 대한 교육, 상담기법에 대한 훈련을 통한 교사와의 관계 증진이 청소년 지위비행을 예방하는 보호요 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자기통제이론을 기반으로 자기통제력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과 자아존중감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온라인 비행과 오프라인 비행 에서 조절 효과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은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나, 두 요인이 결합하여 비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국내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온라인상에서는 자아존중감의 변화 양상 이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온, 오프라인 비행에 각기 다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에서 공개한 ‘청소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2015’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통제력이 온라인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아존중감의 조절 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아존중감은 자기통제력이 온라인 비행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을 완화해주었다. 둘째, 온라 인 비행과 달리 오프라인 비행에서는 자아존중감의 조절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러한 결과는 온라인 비행을 주로 저지르고 낮은 자기통제력을 가진 소년범에 대하여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개입이 중요한 과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part management and standardization to reduce cost and increase compatibility of parts through standardization and standardization of parts to be applied to urban air mobility(UAM) systems, Personnel Air Vehicle(PAV),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nd so on. In other words, parts used in the urban air transportation system must be verified from the initial design stage in accordance with the aviation standard, and a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for various parts must be established to secure stability and improve quality. Therefore, as a system similar to the aviation component management system, it should be thoroughly managed for urban aviation compon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