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활동분석과 프로세스 맵핑을 기반으로 한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K-MBI) 가이드북을 제작하여 내용 타당도와 평가자 간 신뢰도 및 일치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활동분석과 프로세스 맵핑을 기반으로 한 K-MBI 가이드북을 개발하였다. 개발 된 K-MBI 가이드북에 대한 이해도 조사 및 수정을 하여 최종 가이드북을 제작하여 40명의 작업치료 전문가 집단에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평가자 간 신뢰도 및 일치도 조사를 위해 기존의 K-MBI 검 사 지침에 근거하여 총 5명의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동영상을 촬영하였다. 평가자 간 신뢰도와 일치도 조 사는 84명의 작업치료사가 교육 전과 후에 동일하게 동영상 속의 5명의 환자를 평가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 내용 타당도 검증 결과는 개발된 K-MBI 가이드북 11개의 모든 항목에서 CVI 점수가 .93 이상으 로 높은 수준의 타당도를 나타내었다. 평가자 간 신뢰도에서는 ICC가 교육 전 .983, 교육 후에 .982로 교육 전과 후 모두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다. 정답률의 변화는 교육 전 48.37%에서 교육 후에 69.48%로 향상되었고, 평가자 간 일치도는 옷 입고 벗기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일치도가 향상 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활동분석 및 프로세스 맵핑을 기반으로 한 K-MBI 가이드북은 일상생활활 동 평가에서 평가자 간의 신뢰도와 일치도를 향상되게 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600원
        2.
        201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심층처분에서 처분안전성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그리고 처분 프로그램 개발 및 인허가를 위해 많은 나라들에서 자국에 적합한 safety case를 개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성폐기물 처분을 위한 safety case 의 의의, 필요성, 개발과정들을 정리하고 소개하였다. 그리고 처분안전성을 safety case의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아울러 스위스, 일본, 미국, 스웨덴, 핀란드 등 해외의 safety case 개발 현황과 현재 KAERI에서 개발 중인 safety case의 개발 전략을 간략히 소개하였다.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안전성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safety case 기반 하에서 어떤 노력들이 필요한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 상황을 반영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정보자료의 구축, 안전성 관련 과정들의 이해, 안전성 평가의 불확실성 저감, 이해당사자와의 의사소통,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 등의 실행 방안을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본 논문에 제시된 내용들은 심층처분 safety case를 이해하고, 국내에서 개발하고 있는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 safety case 개발을 통한 처분안전성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5,200원
        4.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ny advanced treatment processes have been introduced to WTPs, however, the consumer confidence on tap water is still low and the percentage of drinking water directly from the tap is less than 2 %. One of the methods to improve the credibility of tap water is to introduce a drinking water certification system. By introducing the system, water treatment processes can be optimized, which in turn, can significantly improve drinking water quality. In this paper, 6 water quality parameters(i.e., turbidity, CT, residual chlorine, geosmin, 2-MIB, Mn) which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tap water quality and consumer confidence were identified, and their recommended guidelines were proposed. 3-Star or 5-Star certification can be awarded to the WTPs which have met the certification criteria. The drinking water certification system can be carried out as a voluntary program among drinking water suppliers.
        4,000원
        5.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젖소 종모우 973두의 국내 추정 육종가, 국제유전능력평가에 의한 육종가 그리고 MACE proof를 이용한 DRP를 비교하여 종모우 선발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Interbull의 국제유전능력평가는 유량 형질 기준으로 32개국 31개 집단과 총 134,533두의 종모우가 참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추정 육종가와 interbull 추정 육종가 상관계수는 0.925로 나타났으며, 육종가에 대한 산지별 상관은 캐나다, 미국 및 국산에서 각각 0.917, 0.910과 0.996으로 나타났다. 충분한 딸소 수를 보유하여 신뢰도가 높은 경우에는 국내산이나 수입산 모든 종모우에서 신뢰도의 변화량이 크지 않으나, 국내에서는 EDC가 낮지만 해외 자료에서 EDC가 높은 경우 43까지 신뢰도가 증가하였다. 973두 종모우들의 경우 신뢰도의 평균은 87.16±10.62이며, 51~99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deregressed MACE proof와 MACE proof의 상관계수는 0.945로 높게 나타났다.
        4,000원
        6.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 연구를 통하여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표시 제도를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소비자가 쉽게 건강기능식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공모를 통하여 인증마크를 개발하고 소비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대도시, 중소도시 등 2000명으로 하여 1:1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건강기능식품 인증마크의 필요도가 매우 높았고, 텍스트 형태보다 텍스트/그래픽이 혼합된 형태의 영양·기능정보의 신뢰도가 높았다. 또한 인체에 작용하는 기전을 포함한 영양·기능정보가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건강기능식품 인증마크는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건강기능식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표시제도의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8.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presents an method to select explanatory variables to develop deterioration models for bridges. The ranking of candidate variables are estimated using the covariance analysis between the condition ratings and inspection data. To determine the most stationary set of explanatory variables, weighting factors associated with the investigated year and ranking are introduced. Yearly inspected bridge data are classified into multiple subsets using explanatory variables and the deterioration model is developed for each. The condition ratings for individual bridges are predicted using the deterioration model. The prediction error comparison shows that the more representative and stationary explanatory variables are selected when weighing factors are considered.
        9.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a mobile robot that travels along a terrain consisting of various geology, information on tire force and friction coefficient between ground and wheel is an important factor. In order to estimate the lateral force between ground and wheel, a lot of information about the model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is required in conventional method. Therefore,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estimate lateral force through simple model (Minimal Argument Lateral Slip Curve, MALSC) using only minimum data with high estimation accuracy and to improve estimation reliability of the friction coefficient by using the estimated lateral force data. Simulation i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friction coefficients and slip angles to design the simplified lateral force estimation model by analysing simulation data and to apply it to the actual field environment.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equation, estimation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through simulation. Also, the results of the lateral force and friction coefficient estimation are compared from both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e proposed model through the actual robot running experiments.
        10.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a method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effectivity of maintenance. It is necessary to build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BIM throughout the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the structure. In order to apply BIM, it was introduced structural record management from the design stage. And It help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maintenance.
        11.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량의 안전은 점검에 의해 보장된다. 그리고 교량의 유지관리는 점검결과를 토대로 시작된다. 따라서 점검결과는 ‘교량의 안전’과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정보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량의 점검신뢰도를 평가하고 이를 제고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 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교량의 점검신뢰도를 평가 할 수 있는 세 가지 점검신뢰도를 제시하였다: 명목점검신뢰도, 실질점검신뢰 도, DS명목점검신뢰도. 교량의 점검신뢰도 분석 방법은 정밀안전진단결과를 참값으로 간주하고 당해년도 정밀(정기)점검과 차년도 정밀안전 진단결과를 비교하였다. 인적오류를 고려한 DS명목신뢰도를 기준으로 현재 고속도로교량의 점검신뢰도 85%로 양호한 편으로 평가 된다. 이 는 현재 고속도로 교량의 평균공용연수가 13년으로 대부분의 교량이 ‘A’와 ‘B’등급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상태변화가 크지 않기 때문인 것 으로 판단된다. 점검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점검자의 역량을 강화하고 전문점검인력 육성이 필요하며 점검결과에 대해 QC(Quality Control, 품질관리)를 실시하여 점검결과의 신뢰도 향상이 필요하다.
        12.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수관망의 노후관 교체시 신설관의 관경 결정은 상수관망의 장기적인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대구경 관의 사용은 공사비 증가를 가져오기 때문에 적절한 관경의 결정을 위해서 대구경 관 사용에 따른 신뢰도 향상정도를 평가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경의 변화가 상수관망의 신뢰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Segment 기반의 Minimum Cutset 및 Success Mode A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