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amines public perceptions and language ideologies regarding English use in Korea‘s linguistic landscape by analyzing 2,191 online news comments concerning the English-only menu controversy in 2023. The analysis reveals that negative comments (89%) significantly outnumbered accepting ones (11%). Critical responses view English use as displaying pretentiousness and cultural subservience while posing a threat to Korean linguistic and cultural identity. Critics raise concerns regarding language use, such as incorrect English usage, inconsistent bilingual practices, and discrepancies between displayed and actual proficiency. They also point to issues of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the broader trend of excessive English use in Korean society. By contrast, accepting perspectives justify English menu use based on business owners’ autonomy, strategic marketing, the basic comprehensibility of the English used, and the naturalness of English use in the global era. The findings highlight that monolingualism prevails, with English perceived as distinctly “foreign,” while also revealing contradictions in public attitudes, including overreliance on foreign validation of Korean, conflicting views on linguistic hierarchy, and ambivalent attitudes toward English proficiency. This study contribute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public perceptions of English in Korea‘s linguistic landscape and the ideological dynamics underlying language choice in public spaces.
본 연구는 한국과 캐나다의 ESG에 대한 온라인 트렌드를 분석하고, 양국 간의 차이점을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사 회복지 분야에서도 ESG에 대한 관심이 확장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한국과 캐나다의 ESG에 대한 온라인 트 렌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TEXTOM을 사용하여 한국과 캐나다의 소셜 빅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TF-IDF, N-gram, 1-mode Matrix, Ego Network,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양국 모두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ESG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나, 주요 이슈 와 접근 방식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한국은 ESG경영의 관심과 실천 동 향에 집중하였고, 특히 사회(S)와 환경(E) 요소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졌 다. 반면, 캐나다는 ESG 실천과 지속가능성, 환경 이니셔티브, 거버넌스 이니셔티브, 사회 이니셔티브 등으로 구분되는 구체적인 실천 이슈가 부 각되었다. 이 연구는 한국의 사회복지계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ESG 실천을 이끌고 지원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한다. 특히, 한국의 ESG 접근 방식은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실천 계획을 갖출 필요성을 강조하며, 캐나다의 사례를 통해 벤치마킹할 수 있는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정교한 데이터 분석 기법의 적용과 세 분된 자료 분석을 통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conducted to identify the level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lass particip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and their effects on learning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2 students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J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s post-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mean score for self-directed learning was 3.73±0.47, for class participation was 3.00±0.54, and for learning satisfaction was 3.44±0.74. The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were class participation and major satisfac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lass participation and major satisfaction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 Therefore, as a method to enhance learning satisfaction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it is necessary to adopt various teaching methods that increase class participation and design learner-centered courses that consider major satisfaction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n online shopping mall marketing strategy based on big data analysis methods. The customer cluster analysis method was utilized to analyze customer purchase patterns and segment them into customer group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Data was collected from orders placed over one year in 2023 at ‘Jeonbuk Saengsaeng Market’, the official online shopping mall for agricultural, fish, and livestock products of Jeon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K-means clustering was conducted by creating variables such as ‘TotalPrice’ and ‘ElapsedDays’ for analysis. The study identified four customer groups, and their main characteristics. Furthermore, regions corresponding to customer groups were analyzed using pivot tables. This facilitated the proposal of a marketing strategy tailored to each group’s characteristic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online shopping mall marketing strategy.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departs from the traditional reliance on the intuition of the person in charge to operate a shopping mall, instead establishing a shopping mall marketing strategy through objective and scientific big data analysis. The implementation of the marketing strategy outlin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and boost sales.
실시간 온라인 게임 서버에서의 게임 상태 동기화는 중요한 문제이며, 기존 동기화 방식은 상황 에 따라 성능이 변동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동기화 방 식을 제안한다. 클라이언트 간 거리가 가까울 때는 Lockstep 방식을, 멀 때는 서버 동기화 방식 을 사용하여 일관성과 가용성을 모두 만족시킨다. 술래잡기 게임에서 하이브리드 방식을 적용한 결과, 기존 방식보다 최대 74.6% 향상된 위치 일관성과 23.6% 감소된 응답시간을 달성했다.
2023년 2월에서 2023년 11월까지 온라인으로 구매한 신 선편의식품 110건과 즉석섭취식품 115건을 대상으로 위생지 표균(일반세균, 대장균군 및 대장균)과 식중독균(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p.,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Listeria monocytogenes, 병원성대장균)의 오염도를 조사하 였으며, 분리된 균주를 대상으로 병원성 유전자를 확인하 였다. 배송 형태는 보냉제를 사용해 배송 시간은 평균 24시간 이 소요되어 일반 택배로 배송되었고 제품 표면온도 평균 은 11.3oC이었다. 일반세균 정량분석 결과, 신선편의식품 의 평균 일반세균수는 4.5 log CFU/g, 즉석섭취식품의 평 균 일반세균수는 10.6 log CFU/g로 나타났다. 대장균군 정 량분석 결과, 신선편의식품, 즉석섭취식품 각각 평균 1.2 log CFU/g이었고,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S. aureus, Salmonella spp., C. perfringens, 병원성대장균은 모든 제 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B. cereus의 경우 신선편의식품 및 즉석섭취식품에서 각각 3건(2.7%), 1건(0.9%) 검출되었 고, 오염 수준은 신선편의식품에서 평균 0.05 log CFU/g, 즉석섭취식품에서 0.01 log CFU/g으로 나타났다. B. cereus 검출된 4건의 검체에서 B. cereus가 생성하는 독소 유전자 6종(hblC, bceT, entFM, nheA, CytK, CER)에 대한 유전자 확인시험 결과 4주가 분리되었고, 구토독소를 제외한 1개 이상의 장독소 유전자가 확인되었다. L. monocytogenes의 경우 즉석섭취식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신선편의식품 1건(0.9%)이 검출되었다. 분리한 L. monocytogenes에서 iap 등 6종의 병원성유전자가 검출되었고, 1/2a 혈청형이 확인 되어 식중독 발생 위험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피부미용 온라인교육의 특성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요인이 교육만족도와 교육 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온라인교육 특성과 교육지속의도 간 관계에서 교육만족도가 어떠한 효과를 가지는지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 온라인교육 경험자인 서울 및 수도권 거주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3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 계 프로그램인 SPSS 26.0을 이용해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회귀분석, SPSS 프로세스 매크로 4번 모형 (mediation conditional process analysis)을 활용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미용 온라인교육의 교육품질은 편의성과 신뢰성 요인이, 강사특성은 학습자 이해, 피드백의 신속성, 전문성, 매력성, 진실성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편의성, 신뢰성, 학습자 이해, 피드백의 신속성, 전문성, 매력성이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 향이 나타났다. 둘째, 교육만족도는 교육지속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지속의도에는 편의성과 피드백의 신속성, 전문성, 매력성이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학습자의 이해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품질 및 강사품질과 교육지속 의도 간 관계에서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중 강사특성의 피드백의 신속성이 교육만족도와 교육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온 라인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분석이 제외된 것을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the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customers who buy clothing products from online platforms. The participants were teenage individuals to those in their 50s residing in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do. The data were examined via factor analysis, a t-test, Analysis of variance(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wo-way ANOVA,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for satisfaction with clothing products from online platforms were wearing comfort and quality, design, and price and purchase convenience. The findings revealed that purchas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actors significantly varied among the participants depending on marital status, age, and occupation. Satisfaction with wearing comfort, quality, and design differed by gender. Satisfaction with wearing comfort, quality, and price and purchase convenience varied by type of purchase and type of online platforms. The interaction effects among the variables that affected purchase satisfaction were as follows. The interaction effects among the variables for wearing comfort and quality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gender and type of purchase and between occupation and type of online platforms. Those for design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marital status and age, between age and occupation, and so on. The interaction effects for price and purchase convenience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marital status and gender and between age and occupation. The results on repurchase inten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ch intention by marital status, age, and occupation. Repurchase intention was influenced by wearing comfort and quality, price and purchase convenience, design, and age.
본 연구는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건강사정 학습 프로그램이 간호 대학생의 문제해결과정, 비 판적 사고 성향, 수업참여도 및 수업몰입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적용한 원시실험연구(pre-experimental research)이다. 연구 대상자 는 C북도 G군 소재 J대학교 건강사정 및 실습 교과목을 수강하는 간호학과 2학년 학생 5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건강사정 학습 프로그램 참여 전‧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한 결과, 문제해결과 정(t=-2.569, p=.013), 비판적 사고 성향(t=-5.363, p<.001), 수업참여도(t=-4.429, p<.001), 수업몰입도 (t=-3.747, p<.001)가 프로그램 참여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사정 수업 시 간호 대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 비판적 사고 성향, 수업참여도, 수업몰입도 향상을 위해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학습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e post-COVID-19, the food industry is rapidly reshaping its market structure toward online distribution. Rapid delivery system driven by large distribution platforms has ushered in an era of online distribution of fresh seafood that was previously limited. This study surveyed 1,000 consumers nationwide to determine their online seafood purchasing behaviors. The research methodology used factor analysis of consumer lifestyle and Heckman’s ordered probit sample-selection model.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quality, freshness, selling price, product reviews from other buyers, and convenience are particularly important considerations when consumers purchase seafood from online shopping. Second, online retailers and the government must prepare measures to expand seafood consumption by considering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lifestyles. Third, it was analyzed that consumers trust the quality and safety of seafood distributed online platforms.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purchase incentives to consumers who consider value consumption important, so improvement measures are nee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on consumer preferences to online platforms, seafood companies, and producers, and can be used to establish future marketing strategies.
코로나19(COVID-19) 상황으로 감염예방과 관리지침에 따라, 정신간호학 실습을 대면으로 진행할 수가 없어, 긴급하게 온라인 실습으로 전환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정신간호학 현장실습 대체 온라인 실습에서 성찰일지를 내용분석하여 온라인 실습 교육과정의 질적인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021년 정신간호학 온라인 실습에 참여한 간호대학 3학년 학생 31명의 성찰일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참여자의 실습이 종료된 2022년 4월 4일부터 5월 31일까지 자료 수집하 였고, 크리펜도르프(Krippendorff, 2019)의 내용분석에 따라 분석하였다. 정신간호학 온라인 실습 성찰일지 를 내용분석한 결과, ‘자기인식의 중요성을 확인함’, ‘정신건강의 가치를 알게 됨’, ‘정신질환자의 회복에 대해 생각함’, ‘치료적 의사소통 향상에 노력함’,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이 감소됨’, ‘온라인 실습에 대한 양가감정이 듦’의 6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신간호학 온라인 실습에서의 간호대 학생의 성찰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었고, 이러한 성찰일지를 대면 실습 혹은 정신건강전문가 양성과정에도 활용하여 연구하기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