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유아대상 효(孝) 교육의 문제점을 성찰해보는 하 나의 대안으로 최근 교육학분야의 질적 연구에서 매력적인 연구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유아대상 효 교육에서의 가능성과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올바른 가치를 세우기 위해서는 인성교육이 필요 한데 특히 효 교육이 매우 중요하며, 효 교육은 가정 내 부모-자녀 관계 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우는 과정이 매우 의미 있다. 효 교육은 믿음을 바탕으로 신뢰와 사랑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효 교육의 시작이자 마지 막 보루는 바로 유아들이 성장하고 있는 가정으로 유아들에게는 가장 효 과적인 효 교육의 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교육을 통해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 인격체로 성장하게 되며, 특히 배움의 초기단계를 중시 하는 이유는 삶의 주체 교육으로써의 효 교육이 발달단계마다 인간으로 서의 주체성 확립과 건강한 성장을 돕는 기초교육이다. 그렇지만 효 교 육의 관점에서 고유한 역할을 상실해가는 위기를 맞고 있으며, 현대사회 에서 이러한 효 교육의 개념 정의와 접근방법에 대해 교육현장에서는 다 양한 혼란이 존재한다. 따라서 부모-자녀 중심의 효 교육과정 연계로 유 아가 이러한 경험을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스스로 성찰하며 그 의미를 구성하여 마음속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해주는 내러티브 접근의 활용가 능성을 고찰하였다.
        6,700원
        2.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 유아교육 강사가 한 학기 동안 강의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교수자의 어려움과 성장 과정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초임 유아교육 강사 3명이며,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가 같은 셀프내러티브탐구 방법을 활용했다. 연구기간은 2018년 9월부터 2019년 1월까지이며, 자료는 개별 성찰일지와 모임 대화 내용 녹음 및 전사본, 수업 촬영을 통해 수집했다. 연구 결과로 세 초임 강사의 강의 경험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세 강사들은 학사 운영과정에서 교수학습 기술 및 평가, 새로운 인간관계와 관련해 어려움을 경험했다. 또한 세 강사는 자신의 강의를 ‘소통을 강조한 현장 중심의 강의’,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고 경험을 공유한 강의’,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 학습자 참여 강의’로 발전시켰다. 끝으로,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내 초임 강사를 위한 역량 강화 연수 개설, 학과 구성원과 소통 할 기회의 필요성, 교수학습 공동체 구성을 위한 재정적 지원을 제언하는 바이다.
        3.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의 학습공동체 경험을 통한 교육과정 실행의 의미와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분석하였고, 이를 위해 혼합연구방법론을 적용했다. 질적 연구를 위해서는 교사의 학습공동체 과정에서 교육과정 실행경험을 면담하고 분석하였다. 양적 연구는 만 4세 유아 80명을 대상으로 교사 평가를 통한 교사와 유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학습공동체 경험은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의미를 구체화하는 경험과 교사들 자신만의 교육과정 이론의 구성하는 기회가 되었다. 둘째, 교사의 학습공동체 경험은 유아와 교사간의 경험의 통합을 통해 교사와 유아 간의 관계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교사의 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육과정의 실행은 교사의 교육과정 이론 구성 그리고 교사와 유아의 관계에 있어 의미 있는 과정임을 확인했다.
        4.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 간 협력 통한 내러티브 중심 교육과정 실행에서 교사의 경험 및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해 혼합연구방법론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내러티브 중심 유아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교사 면담분석과 유아의 언어 능력 변화를 동시에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협력은 새로운 나를 발견하는 시간, 함께 의미를 구성하는 시간, 아이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일 수 있는 시간으로 그 의미가 발견되었다, 둘째, 교사 협력의 경험은 유아의 언어발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 협력을 통한 내러티브 중심 교육과정의 실행은 교사의 교육과정 이론 구성과 유아의 언어 발달에 있어 유의미한 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사상가이며 대학자인 남명 조식의 사상에 나타난 개별화 교육의 의미를 분석하여 내러티브 관점에서 바람직한 유아기 개별화 교육의 시사점을 논의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 남명은 학습자의 마음성찰을 근간으로 개인의 자질을 인정하며 타자와의 관계를 존중하는 개별화 학습을 실천한 것으로 분석 되어졌다. 내러티브 관점에서 남명사상은 자아성찰로서의 내러티브 접근, 잠재능력에 대한 내러티브 접근, 상호작용 관계에 대한 내러티브 접근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내러티브 관점에서 학습자 개인의 자질을 어떻게 인정하고 지도할 것인지에 대한 유아기 개별화 교육에 큰 함의를 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남명사상에 담긴 교육의 의미를 통해 유아기 개별화 교육을 이해하고 그 실천 범위를 확장해나가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이다.
        6.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세기 현대 해석학을 대표하는 철학자인 폴 리쾨르의 서사해석학을 검토하고 내러 티브 정체성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적 함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리쾨르의 저서인 󰡔시 간과 이야기 1, 2, 3󰡕과 󰡔타자로서 자기 자신󰡕을 중점으로 자료를 분석하고, 관련 선행 연구와 전기 관련 문헌 등을 바탕으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리쾨르 서사해석학이 갖는 유아교육적 의미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첫째, 문학 텍스 트의 구조나 내용 요소들의 파악을 강조하는 ‘문학 텍스트에 대한 해석’을 뛰어 넘어 문학의 세계 속의 사람과 자신의 삶을 연결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는 ‘문학을 통한 삶의 해석’을 지향하는 방향 으로 나아가야 함을 함의한다. 둘째, 교사와 유아간의 내러티브 행위를 통한 의미의 형성화 과정을 수반한 내러티브 정체성 형성을 중시하며, 내러티브를 통하여 좋은 삶을 지향하는 인성교육이 가 능함을 함의한다. 셋째, 인간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올바르게 가지도록 하는 교육의 근원적 목적 달성의 방안으로서 ‘내러티브 생성을 통한 유아의 자아정체성 형성의 지원’이 중요함 을 함의한다.
        7.
        2015.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상상적 내러티브에 나타난 이야기를 만드는 유아의 의도와 상상적 내러티브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의도는 어떠한지 탐색함으로써 유아의 의도에 대한 구체적이고 의미 있는 이해를 돕고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총 24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5주간 유아의 상상적 내러티브 내용을 수집하고, 내러티브에 나타난 의도를 이해하기 위한 참여관찰, 면담, 기타자료 수집 등의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상상적 내러티브에 나타난 이야기를 만드는 유아의 의도는 「이야기 지식을 활용하려는 의도」, 「경험을 표현하려는 의도」,「마음을 드러내려는 의도」의 세 범주로 나타났다. 둘째, 상상적 내러티브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의도는 「관계를 맺으려는 의도」, 「도덕적 가치를 반영하려는 의도」의 두 가지 범주로 나타났다.
        8.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내러티브는 삶과 분리 될 수 없는 것으로 우리의 경험이며, 사고양식이다. 나아가 내 러티브 탐구는 지식을 구성하는 방식이며, 교육과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내러티브 교 육은 교육현장에서도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유아기 아동의 교육방법으로 매우 적절할 것이다. 특히 생애 초기의 교육을 내러티브 탐구로 시작한다면 자연스럽게 아동은 내러 티브 탐구를 통한 지식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몬테소리 교육은 루소와 프뢰벨에 이 은 자연주의적 교육사상을 기초로 하여, 20세기 아동중심교육을 유아교육에 실천을 이 루었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유치원에 ‘몬테소리 교육’ 또는 ‘몬테소리 교육과정’ 이라 는 말을 하지 않더라도 사랑과 아동의 자유를 강조한 몬테소리의 사상은 유아교육 일반 에 녹아 있다. 이러한 몬테소리의 교육에 내러티브 탐구를 더한다면 유아기 아동이 스스 로 지식을 구성하고, 다음 시기에서의 지식과 탐구를 통한 성장에도 많은 시사점을 제공 할 것이다.
        9.
        2013.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의 경험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만 3세반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특징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 만 3세반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특징에 대한 구체적이고 의미 있는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강원도 D시에 소재한 공립단설유치원의 만 3세반 유아 18명 중 종일제 유아 6명이었으며, 본 연구는 2011년 9월 1일부터 12월 10일까지 15주 동안 총 28회 진행되었다. 유치원의 경험에 대한 이야기나누기 시간은 종일제 귀가시간 전(16:00~16:15)에 외부 소음이 적은 조용한 공간인 낮잠을 자는 방에서 진행하였으며, 이야기나누기 시간의 전 과정은 비디오카메라와 MP3로 녹화·녹음되었다. 자료 수집은 동영상 녹화 및 녹음, 연구자의 저널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자료의 조직화, 영역분석, 자료 분류 및 분류분석, 분석결과의 해석 단계를 거쳤다. 유치원의 경험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나타난 만 3세반 유아들의 일상적 내러티브 특징은 내러티브를 향한 첫걸음, 친구와의 내러티브, 교사와의 내러티브, 변화하는 내러티브로 범주화 할 수 있었다.
        10.
        2013.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의 자유선택활동 중에서 유아들이 쌓기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놀이의 구성물을 통하여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하면서 나타나는 내러티브 내용 특징을 알아보는데 있다. 참여유아는 만 5세반 유아 7명이며 유아의 내러티브 내용과 조직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참여관찰을 통해 쌓기놀이에 관련된 내러티브와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통해 유아들이 어떠한 내러티브를 만들어 가는지 질적연구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쌓기놀이의 과정에서 그들의 삶과 관련이 있는 구조물을 만들고 놀이의 배경으로 이용하여 경험을 재현하고 다양한 내러티브를 만들었다. 유아들이 만든 내러티브는 유아들의 생활이야기, 상상이야기, 현실과 상상이 혼합된 이야기로 구분되어 졌다. 유아들은 쌓기놀이를 하면서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구조물에 의미를 부여하고 생활세계의 경험과 지식, 상상력을 기초로 이야기를 만든다.
        11.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발달이론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내러티브적 지식구성에 관한 연구로서, 내러티브에서 발달적 특징을 유추하여 내러티브를 활용한 교육과정 구성에 하나의 시사점을 주기 위한 것이다. 사건, 갈등, 통합이라는 내러티브의 구조는 개인적 발달이론을 다룬 피아제와 비고츠키, 그리고 사회적 발달과정을 다룬 반 게넵과 빅터 터너에게서 모두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내러티브를 단순한 이야기를 넘어 사고양식이자 경험을 구성하는 인식의 틀일뿐만 아니라 인간의 발달의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고자 한다. 이로써 교사가 이야기를 선정하고 활용하는 내러티브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을 잡는데 기여할 것이다.
        12.
        2013.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내러티브가 유아교육에서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를 논의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논의를 위해 우선 내러티브의 개념과 가치를 정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개인적 의미 표상 차원, 공동의 의미 구성 차원, 그리고 유아교수접근방법 차원에서 내러티브의 유아교육적 함의를 논하였다. 개인적 의미 표상 차원에서 내러티브는 유아의 자아 구성과 관련이 있으며, 부모 또는 교사가 유아의 일상적 경험에 대해 대화하는 것이 관건이라는 점을 논하였다. 공동의 의미 구성 차원에서는 교사 또는 유아 또래간의 상호작용적 내러티브 대화의 중요성을 논하였다. 유아들은 함께 놀이하는 과정에서 놀이 내러티브를 통해 일상적 생활 경험이야기, 상상적 이야기를 만들고 재현한다. 또한 유아들의 상호작용적 내러티브 대화에는 세계에 대한 추론 과정이 드러난다. 이는 유아교사가 유아들을 이해하고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큰 시사점을 준다. 내러티브의 유아교수접근적 함의로는 유아교육이 지향하는 통합교육과정과 일맥상통하는 점을 논하였다. 내러티브는 통합교육과정의 틀로서, 교육내용 또는 문화 콘텐츠로서, 교수-학습의 방식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사는 내러티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통합교육과정의 실천 과정에서 특히 유아들이 만드는 내러티브에 관심을 기울일 것을 강조하였다.
        13.
        2008.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effective wordless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were in developing young children's fictional narratives.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0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two classes of S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They comprised the experimental group of 20 children and the control group of 20 children. As the treatment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earcher applied the wordless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to small groups of five children using active interactions. Twelve sessions had been carried out once or twice a week for nine weeks.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wordless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positively affected young children's structural development levels of fictional narratives, the emergence of structural components, the use of logically cohesive devices, the number of clauses. This suggests that the wordless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using teacher-child interactions would be one of effective ways of developing young children's fictional narratives.
        14.
        2008.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명화감상을 통한 이야기 만들기가 유아의 상상적 내러티브의 구조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이며 실험집단은 2006년 10월 9일부터 2006년 12월 29일까지 총 12주간에 걸쳐 명화를 감상하고 이야기를 만들어보는 과정(12회)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생활주제에 따른 언어활동만 실시하였다. 명화감상을 통한 이야기 만들기의 절차는 명화 탐색하기, 명화에 대한 느낌 이야기하기, 이야기의 단서들 찾기, 이야기 단서들을 연결하여 이야기하기. 상상적 이야기 만들기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는 명화감상을 통한 이야기 만들기를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생활주제에 따른 언어활동만 실시한 유아들보다 상상적 내러티브의 구성 요소, 구조 수준, 상상적 내러티브의 길이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15.
        2008.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어머니와 유아 간의 일상적 내러티브 대화에서 자녀의 일상적 내러티브를 이끌어내기 위해 사용하는 어머니의 대화방식과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4,5세 48명의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48명으로 총 48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어머니의 대화방식은 ‘정교한 방식’과 ‘반복적 방식’으로 나타났으며, 정교한 방식의 요소는 정교화 진술, 정교화 질문, 평가, 길이 이고, 반복적 방식의 요소는 반복 진술, 반복 질문, 문장 완성형 진술 및 질문, 기억자극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 대화방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어머니의 대화방식은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 수준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성별, 연령에 따라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어머니의 대화방식과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 수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정교한 방식은 각 하위요소인 정교화 진술, 정교화 질문, 평가, 길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대화방식 중 정교한 방식에서 정교화 진술, 정교화 질문, 평가, 길이의 요소 모두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 수준이 4수준에 이르기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4수준이 넘어서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