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seismic design provisions prohibit the use of a weak panel zone from using special moment frame (SMF) connections due to concerns that large deformations in these zones may lead to brittle connection failures. However, several experiment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moment connections with weak panel zones can exhibit adequate ductility and energy dissipation capacity for SMF connection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weak panel zones on the seismic performance of SMFs utilizing welded unreinforced flange-welded web (WUF-W) connections, as outlined in AISC 358-22. The analysis will consider both four-story and twelve-story SMFs. Each frame will be modeled with either strong or weak panel zon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SMFs with weak panel zones demonstrate greater ductility and collapse strength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with strong panel zones.
지하 매설 수도관은 연약지반의 지반침하, 도심지의 부등침하, 싱크홀 등에 의한 허용한계를 초과하는 지반영구변형에 의해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지반변형으로부터 수도관을 보호하기 위한 관이음의 사용으로 수도시설의 안전성 확보가 요구된다. 따라서 매립 수도관의 과도 지반변형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다중적층형 벨로우즈를 신축관 이음으로 적용한 수도 배관시스템을 제작하 였다. 제작된 배관시스템의 굽힘 및 처짐에 대한 변형 성능 확인을 위하여 4점 굽힘 시험을 수행하였다. 4점 굽힘 시험 결과를 바탕으 로 국내 연약지반 모델을 고려하여 KS D ISO 16134에 따라 지반변형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안전성 평가 결과 다중적층형 벨로우즈 신축관 이음의 지반변형에 대한 성능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염화동 에칭 공정에서 발생한 철염 폐수를 전구체로 활용하여 마그네타이트(Fe3O4)를 합성하고, 이를 인산염 흡착 및 회수에 적용하였다. 합성 조건 최적화를 위하여 Box–Behnken Design를 적용한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활용하여 회귀모델을 구축하였다. 모델을 통해서 도출한 최적 합성 조건은 Fe3+/Fe2+ 비율 1.7, NaOH 농도 0.7 N, 숙성 시간 86.3분으로 확인되었다. 해당 조건에서 합성된 마그네타이트는 10.9 mg-P g-1 마그네타이트의 인산염 흡착 용량을 나타내었다. 기기 분석 결과, 최적화된 마그네타이트는 고순도 결정 구조와 초상자성 특성을 나타냈으며, 비표면적과 반응성이 향상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연속 회분식 반응조(Sequencing Batch Reactor, SBR)에 적용한 결과, 5회 반복 흡착–탈착 동안 평균 인산염 회수율은 46.6%로 나타났다. 유입 인산염 농도가 200 mg-P L-1의 고농도 조건에서도 회수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마그네타이트가 인산염 흡착제로서의 활용 가능성과 안정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Romanoff(1957)의 실측 데이터를 사용하여 머신러닝 기반 상수도관의 부식 깊이를 예측하였다. 이를 실제 상수도관망에 적용하여 누적피해도를 분석하였다. 예측한 부식깊이를 사용하여 누적피해도를 분석하였으며 MCS(Monte Carlo Simulation)를 적용한 누적피해도와 비교 분석하였다. 부식깊이 예측모델에 따른 부식깊이를 분석한 결과 MLP-ReLU 모델이 가장 부식속도가 가장 빠르며 MLP-sigmoid가 가장 부식속도가 느렸다. 천안시 신방동과 성환읍 상수도관망에 MCS를 적용한 누적피해도 분석법과 머신러닝을 적용한 누적피해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신방동에서는 두 분석법 모두 2번 상수도관이 먼저 사용 한계에 도달하였으며 성환읍에서는 4번 상수도관이 가장 먼저 사용 한계에 도달하였다. 사용 한계에 가장 먼저 도달한 상수도관은 다른 상수도관보다 사용 년수가 오래되었거나 수압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MCS를 적용한 누적피해도 분석 결과 신방동의 경우 45년 만에 사용 한계를 초과한 반면 성환읍의 경우 47년 만에 사용 한계를 초과했다.
부정적 치료반응은 관계적 문제에서 비롯된 심리적 장애와 연결되어 있으며 치료 상황에서 치료사와 내담자 사이의 전이와 역전이 속에서 작 동한다. 목회 상담자는 선입견적 판단을 중지하고 상호주관성을 토대로 한 성찰적 존재로 내담자-신자가 재경험을 하도록 함께하는 존재이어야 한다. 본 논문은 정신분석적 이론에서 상호주관성을 중심으로 부정적 치 료반응에 대해 살피고 목회적 차원에서 이 이론의 연결성과 적용의 시사 점을 언급하고자 한다. 고전적 관점에서 부정적 치료반응은 내담자의 문 제에 중심을 두었으나 상호주관적 관점에서는 분석가의 역전이가 부정적 치료반응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목회 현장에서도 유사한 일들이 일어날 수 있는데 연구자는 이러한 양상을 정신분석 문헌 을 토대로 고전적 관점에서 상호주관적 관점으로 이행된 점과 관련하여 이론적 배경의 연관성을 살피고 성서 본문에 관한 연구와 사례구성을 통 해 상호주관적 관계에서 부정적 치료반응에 대한 이해가 목회 상담의 상 황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고향사랑기부제가 어떤 제도적 맥락에서 도입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드러난 특징과 한계 무엇인가를 분석하기 위해 정책확산과 정 책이전 이론을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검토와 비교 사례분석을 병행하였으며 일본의 제도와 한국의 고향사랑기부제를 법적 근거, 제도 설계, 운영 체계 측면에서 대조하고, 관련 이론의 판정 기준을 사례에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국의 고향사랑기부제는 일본 모델을 참조하면서도 국내 재정·행정 환경에 맞게 조정된 혼합적 정책이전의 특징을 보였다. 둘째, 제도 도입 과정은 점진적 확산이 아니 라 중앙정부 주도의 전국적 동시 시행이라는 하향식 확산 경로를 보여 주었다. 셋째, 세제 혜택의 상대적 부족, 법인 기부 불허, 기부금 편중 우려 등은 제도의 효과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드러났다. 분석 결과를 토 대로 연구는 첫째, 세제 인센티브 강화, 둘째, 법인 기부 허용을 통한 재 원 다변화, 셋째, 지역 간 불균형 완화를 위한 보정 장치 도입, 넷째, 성 과 중심의 평가 및 환류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 였다. 나아가 본 연구는 고향사랑기부제가 단순한 제도 수용을 넘어 정 책확산과 정책이전이 복합적으로 작동한 사례임을 확인함으로써 지방재 정 확충과 지역균형발전 논의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seismic vulnerability of non-structural components in high-rise buildings by proposing a normalized floor response spectrum (FRS) suitable for practical application. A Bayesian-mode-based method (BMBM) is used to develop the FRS, incorporating both modal amplification effects and the probabilistic variability observed across different building heights and story levels. The resulting spectrum is methodically compared with existing code-based and empirical methods to assess its consistency, conservatism, and relevance to engineering practices.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FRS provides a realistic yet reliable upper-bound estimate of floor accelerations, particularly in the upper stories where modal interactions are significant. This research offers a robust and practical framework for enhancing the seismic design of nonstructural components in vertical structur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odor regulation policies of major countries and explore development directions for Korea’s odor management system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 Korea has achieved significant progress in odor management over the past 20 years since the enactment of the Odor Prevention Act in 2004,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real-time monitoring systems, integrated complaint management systems, and scientific management infrastructure in major odor management areas such as Sihwa-Banwol Industrial Complex and metropolitan landfills in Incheon and Daejeon. To identify potential development directions, a literature review and compar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on four regions: the United States, the European Union, Japan, and Singapore. The analysis revealed that each region has developed unique approaches: Japan’s Odor Judge system (involving 3,352 active professionals) for measurement standardization; the United States’s citizen science-based monitoring systems, such as the Odor Explore project that utilizes community participation; the EU’s preventive management polici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Best Available Techniques (BAT) and land use planning integration; and Singapore’s systematic management approach through its myENV app and urban planning integration. Based on Korea’s existing achievements and international experiences, this study identified eight development areas, including measurement system standardization, management scope expans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enhancement, real-time monitoring implementation, technology development investment, complaint resolution mechanism improvement, preventive management system enhancement, and information transparency enhancement. This study proposes development directions that build upon Korea’s current infrastructure and policy achievements, considering the country’s unique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se direction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ntinuous advancement of Korea’s odor management system while leveraging existing strengths and addressing future challenges.
온도와 곤충 발육과의 관계는 생물학에서 오래된 핵심 주제이며, 하한임계온도와 온량상수를 기반으로 한 선형 적산온도 모형은 해충 발생 예측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모형은 중위 온도범위에서만 유효하며, 저온과 고온의 극단 온도에서는 발육률을 과소 또는 과대평가하 는 한계를 가진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인곡선 기반 적산온도 계산법과 수평제거법이 제안되었지만, 일중 최고온도가 최적온도나 상한임계온도 를 초과할 경우 유효온도가 여전히 과대평가된다. 본 리뷰는 하한, 최적, 상한의 세 임계온도를 도입하고, 최적온도에서 수평제거, 상한임계온도에 서 수직제거를 동시에 적용한 새로운 방법인 3임계온도 기반 사인곡선 이중제거법(시간별온도 이중제거법)을 제안하였다. 시간별온도 이중제거법 은 사인함수를 이용한 시간별 온도 추정을 통해 보다 정확한 유효온도 계산이 가능하며, 특히 고온조건에서 과대평가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 최적온도와 상한임계온도 사이에서는 일부 오차가 남을 수 있으나, 기존 방식에 비해 실질적인 개선 효과가 있었다. 또한, 상한임계온도의 정의에 대한 혼란을 정리하고, 향후에는 비선형 발육모형을 통한 정밀 예측의 필요성도 제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