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of horizontal heat exchangers with different configurations and installations numerically characterized. Three different heat exchangers were used and shaped as linear, wavy, and horizontal slinky, respectively. Installation depth was set from 0.5m to 3.0m and pipe spacing was ranged from 0.3m to 2.1m. The results showed that heat transfer rate and pressure drop wer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installation depth and the pipe spacing. The horizontal slinky heat exchanger carried more heat compared to others due to the greater effective heat transfer surface area per installation area. In terms of a ratio of heat transfer rate to pressure drop indicating the system efficiency, the linear heat exchanger performed better than others. 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slinky heat exchanger was the most effective with respect to a ratio of heat transfer rate to installation cost.
        4,000원
        2.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concerned to develop a fluid pressure system for the control of artificial bladder urine discharge. The primary goal is to force the fluid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by using a pump in the artificial bladder having a double structure of inner and outer walls and to form the urine discharge pressure by the contraction of the bladder inner wall due to the movement of the fluid. The ANSYS_CFD analysis is used to confirm the delivery of fluid pressure in the artificial bladder model, and the ANSYS_FSI analysis is used to identify the deformation and internal pressure of the artificial bladder through the delivery of fluid pressure, and to identify the discharge of urine. As the design parameters of the modeling of the artificial bladder and the fluid flow field, the capacity of the flow field, and the pump pressure input value were selected.
        4,000원
        3.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air-side cooling capacity and pressure drop of an evaporator for a refrigerator unit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Using the calorimeter, the performance of the evaporator was verified by changing the fin shape, fin pitch, tube row and air flow rate. The experimental apparatus consisted of the calorimeter which functioned as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and the refrigeration cycle. In order to select the heat exchanger suitable for the evaporator, both air-side cooling capacity and pressure drop should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From the evaporator performance test by pin type, wavy pin was selected. The optimal performance of the evaporator was observed at the fin pitch of 5 mm, the tube row of 6 row, and the air flow rate of 40㎥/min.
        4,000원
        5.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本論文, 旨在要通過考察兩漢時期黃老學代表著作『淮南子』, 探討宇宙生成論的基本含義。宇宙生成論就探討如下幾個問題: 宇宙萬物之根源, 其根源如何發展到具體萬物, 天下萬物之最終根源是如何規定『淮南子』繼承了先秦時期老莊哲學思想、氣論和陰陽五行思想及兩漢時期所發展的自然科學之成果, 而使之適應於自己宇宙論體系之需要。.今爲止, 大多學者從以下方面起規定『淮南子』的宇宙生成論: 有些學者把『淮南子』規定爲‘雜家’而其理論體系最終落到於自相矛盾; .一些學者都從‘道’‘氣’.念的含義和兩者之間的關系問題出發, 建立起了其宇宙生成論的理解方式。從道氣兩個.念之間的關系問題上, 就發生了‘氣一元論’和‘以道爲主的自然觀’而再分爲‘道.氣’或‘道生氣’的觀點。那., 如何解釋『淮南子』所論的宇宙生成論才接近於其.正的含義? 筆者認爲,『淮南子』基本上堅持了宇宙萬物始於整體(‘一氣’)的立場。『淮南子』就把這種整體稱爲‘太昭=虛.=一’, 而從這個狀態起發生了‘陰陽二氣’的分化而最終形成了天地萬物。但在這個過程上, 我們必須解釋宇宙生成的動力是什., 因而『淮南子』提到了 ‘道始于虛.’、‘道始於一’的觀點。.是說, 道沒有直接參與於萬物生成過程, 而道就是所引起各個生成過程的基本動力, 所以『淮南子』把‘道’理解爲宇宙萬物的最終本原。如此, ..淮南子..就把‘道’和 ‘氣’綜合起來, 最終建立了‘以道爲本’的氣化宇宙論。對於向後中國哲學思想裏所發展的宇宙論體系, 『淮南子』的宇宙生成論.生了重大的影響。
        4,000원
        6.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산업용 열교환기 및 상용 파이프의 최적 설계를 위하여 열교환기 내의 사각형 단면 파이프의 shear-thickening 비뉴톤 유체의 압력강하 및 대류 열전달률을 수치해석적으로 수행하였다. shear-thickening 유체의 구성 방정식은 기존의 비뉴톤 유체 멱법칙을 보완한 확장 멱법칙 모델을 채택하였다. 파이프 내의 압력강하를 의미하는 마찰계수와 확장 레이놀즈 수의 곱은 기존 연구의 비교자료와 비교할 때 뉴톤 유체 영역과 멱법칙 영역에서 각각 0.018% 및 0.06% 내에서 일치함을 보였고, 대류 열전달률을 의미하는 뉴셀트 수는 문헌치와 비교할 때 뉴톤 유체 영역과 멱법칙 영역에서 각각 0.025% 및 0.14% 내에서 일치함을 보였다. 비뉴톤 확장 멱법칙 유체 모델의 형태를 띠는 shear-thickening 유체를 열교환기 또는 상용파이프 내의 사각형 단면 파이프 내에서 사용하면 유동지수(n)에 따라서 뉴톤 유체보다 최대 160%의 압력강하를 증가시켰고 최대 14%의 대류 열전달 감소를 발생시킬 수 있었다.
        4,000원
        7.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Clinical reports about reducing the delivery time, pain, instrument delivery, and C-section by increasing intrauterine pressure through giving a steady pressure on fundus have been released. However, the use of fundal pressure during the labor is a cause of great concern about medical malpractice and accidents caused by overpressure on fundus. To practice fundal pressure in safe way, medical device is designed. The device consists of inflatable belt, controller, and TOCO transducer; it inflates the belt to give air pressure onto fundus.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shape of belt to give an air pressure on fundus equally, efficiently, and safely.
        4,000원
        8.
        199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at transfer performance improvement by fin and groovs is studied for condensation of R-11 on integral-fin tubes. Eight tubes with trapczodially shaped integral-fins having fin density from 748 to 1654fpm(fin per meter) and 10, 30 grooves are tested. A plain tube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finned tubes is also used for comparison. R-11 condensates at saturation state of 32 ℃ on the outside tube surface coded by inside water flow. All of test data are taken at steady state. The heat transfer loop is used for testing singe long tubes and cooling is pumped from a storage tank through filters and folwmeters to the horizontal test section where it is heated by steam condensing on the outside of the tubes. The pressure drop across the test section is measured by menas pressure gauge and manometer.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 1. Based on inside diameter and nominal inside area,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s of finned tube are enhanced up to 1.6 ~ 3.7 times that of a plain tube at a constant Reynolds number. 2. Friction factors are up to 1.6 ~ 2.1 times those of plain tubes. 3. The constant pumping power ratio for the low integral-fin tubes increase directly with the effective area to the nominal area ratio, and with the effective area diameter ratio. 4. A tube having a fin density of 1299fpm and 30 grooves has the best heat transfer performance.
        4,200원
        9.
        202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섭입대 환경에서 다양한 액체들과 제올라이트와의 반응을 이해하기 위한 선행단계로, 섭 입대 내 대표 제올라이트 중 하나인 스틸바이트(NaCa4(Al9Si27)O72·28(H2O))의 압축거동을 관찰하였다. 물과 NaHCO3 용액을 매개체로 사용하였으며, 상압에서 최대 2.5 GPa까지 가압하였다. 1.0 GPa 이하에서는 두 실험 모두 0.001~0.004 GPa-1 범위의 낮은 선형압축률과 220(1) GPa의 높은 체적탄성률을 보였다. 이는 물분자 또는 양이온이 스틸바이트의 채널 내부로 유입되면서 구조가 매우 치밀해졌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반면, 1.0 GPa 이상에서는 두 실험의 경향이 다르게 관찰되었다. 물의 실험에서는 c축, NaHCO3의 실험에서는 b, c축의 선 형압축률이 모두 0.006(1) GPa-1으로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체적탄성률은 물과 NaHCO3의 실험에서 각각 40(1), 52(7) GPa의 값을 보여, 1.0 GPa 이전과 비교했을 때 압축률이 4배 이상 높아졌다. 이는 1.0 GPa 이상의 압 력에서 압력매개체 내 물이 얼기 시작하면서 스틸바이트 내부로 유입이 멈추었고, 단지 채널 내에서 양이온 및 물분자가 이동함에 따라서 생기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특히 NaHCO3의 실험에서는 소듐 양이온이 치환됨에 따라 구조 내부의 분포가 달라졌을 것으로 추측되며, 이는 (001)과 (020)피크의 상대강도 비율이 물의 실험과 다른 경향으로 나타난 것을 근거로 예상해볼 수 있다.
        10.
        202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압력을 이용한 제올라이트 내 중금속 양이온 또는 CO2 기체 포집 등의 응용연구를 하기 위한 기초 단계로 제올라이트의 압력 및 압력전달 매개체(Pressure-transmitting medium, PTM)에 따른 결정구조의 변화를 알아보기위한 목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천연 제올라이트 멜리노이트(Merlinoite, (K,Ca0.5,Ba0.5,Na)10 Al10Si22O64×22H2O)와 동일한 골격구조를 가지는 합성 물질인 제올라이트-W(K6.4Al6.5Si25.8O64× 15.3H2O, K-MER)의 압력 하 압력전달 매개체에 따른 선형 압축률 및 체적 탄성률의 변화에 대한 X선 회절연구를 진행하였다. 합성 된 시료는 정방정계에 속하는 I4/mmm 공간군으로 확인되었다. 압력전달 매개체 중 제올라이트의 동공 및 채널을 투과할 수 있는 투과 매개체(Penetrating medium)로 물, 이산화탄소를, 비투과 매개체로 실리콘 오일 (Silicone-oil)을 각각 사용하였으며, 상압에서 최대 3 GPa까지 약 0.5 GPa 간격으로 가압하였다. 다이아몬드 고 압유도장치 및 방사광 X-선원을 이용하여 압력 하 시료의 분말 회절을 측정하였고, 르바일(Le-Bail)법 및 버치-머내한 상태방정식을 이용하여 격자상수 및 체적탄성률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c축의 선형압축률(βc)은 0.006(1) GPa-1또는 0.007(1) GPa-1의 값을 보여 압력 증가 대비 유사한 압축률을 보인 반면, a축의 압축률(βa)은 실리콘 오일 실험에서 0.013(1) GPa-1을 보여 물과 이산화탄소 (βa=0.006(1) GPa-1) 실험결과에 비해 압축률이 약 두 배정도 큰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체적탄성률(K0)은 물, 이산화탄소, 실리콘 오일의 실험에서 각각 50(3) GPa, 52(3) GPa, 29(2) GPa로 도출되었다. 압력 증가에 따른 ac면의 orthorhombicity를 측정한 결과 물과 이산화탄소 실험에서는 0.350~0.353의 비교적 일정한 값을 보였으나, 실리콘 오일의 실험 에서는 y = -0.005(1)x + 0.351(1)의 함수를 만족시키며 압력이 증가할수록 값이 점차 작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