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

        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미국의 미학자이자 미술비평가인 아서 단토가 2005년 기획한 전시 《9/11의 예 술》을 바탕으로 ‘예술의 종말’에 관한 그의 유명한 이론이 문화적 패러다임의 종말을 암시하는 현 실 정치의 상황 속에서 어떻게 재해석될 수 있는지 분석해 본다. 이를 위해 논자는 단토의 이론을 전기와 후기로 나눌 것이다. 전기는 주로 1980부터 2000년 사이에 이루어진 예술의 분석적 정 의와 헤겔적 역사주의에 입각한 ‘예술 종말론’의 시기이다. 후기는 2000년 이후, 칸트에 대한 재 해석을 통해 종말 이후 예술의 주관적 보편성과 숭고한 비형식적 특성을 강조하는 ‘종말 예술론’ 의 시기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단토의 이론에 내재하는 예술 종말과 종말 예술의 유의미한 대비 를 통해 예술 종말론의 논점들–포스트 내러티브적 예술, 일상의 변용, 지각적 식별불가능성, 의 미의 육화 등이 9/11과 같은 대재난에 의해 야기된 동시대 문화의 종말적 상황 속에서 어떻게 재 해석 될 수 있는지 살펴본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단토의 예술 종말론이 간과한 종말 예술의 형식 적 특수성을 규정할 것이며, 이러한 종말적 형식들이 어떻게 재난적 (동)시대성을 반영하고 치유 해 가는지 논증할 것이다.
        5,800원
        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점오염원인 하수종말처리장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수질을 분석하고 배출수의 영향을 받는 어류 중 지점들에서 공통적으로 출현하는 어종인 피라미 (Z. platypus) 를 선택하여 조직학적 변화를 참조하천 지점의 수질과 어류 조직을 비교·분석하였다. 2019년 6월 27~28일 하수종 말처리장 4곳 (대전, 전주, 청주, 익산)의 채집 결과, 참조하 천에서 22종 450개체로 가장 많은 종수 및 개체수가 확인 되었다. 지점별로 5개체씩 2~3년생 피라미의 조직표본을 제작하여 아가미와 근육조직 (피부조직)을 관찰한 결과, 참조하천을 제외한 나머지 지점의 조직은 병리적인 양상을 나타내었다. 수질분석 결과, 각 WTP에서는 배출수질 기준을 준수 혹은 더 좋은 수질로 방류하고 있었다. 그러나 하수종말처리수 배출수 및 방류수계 수질에서 오염도지표를 나타내는 항목인 BOD, COD, TP, TN, SS 값이 참조하천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빈약한 어류상과 바이오마커로 이용된 종의 조직병리학적 상태는 참조하천에 비해 낮은 수질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측되며, 따라서 원인이 되는 하수종말처리장 배출수 수질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
        4.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산지역 청동기시대 종말기의 양상을 검토하였다. 검단리유형의 마지막 단계 유적과 초기철기시대 유적을 검토하여 울산지역의 양상이 한반도 다른 지역과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검단리유형은 새롭게 유입된 점토대토기문화와 함께 와질토기 등장시점까지 존속한다. 울산지역은 지역적인 특성상 한반도 점토대토기의 종착지이다. 달천철장에서 알 수 있듯이 철광상을 발견하여 이용하였으며, 그 철을 매개로 낙랑, 일본 등과 활발한 대외교류 활동을 하였다. 점토대토기인의 생활터전이 이미 무문토기인들의 점유지였던 것으로 볼 때 양 집단의 갈등이 상대적으로 미약했다고 할 수 있다. 무문토기인들이 와질토기 등장시점까지 원래의 생활방식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점토대토기문화를 자연스 럽게 받아들였다. 우리가 청동기시대의 유구라고 인식하였는데 실제 초기철기시대에 존속하였던 것이 많 을 것이다. 초기철기시대의 청동기시대적 요소는 목관묘 문화가 자리 잡으면서 완전히 소멸한다. 이때야말로 청동기 시대 종언하고 새로운 시대가 열리는 시점이다. 한반도 남부지역이 동아시아 질서에 편입되는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5,800원
        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3개의 운전변수(압력, 공기량, 운전시간)를 실험 설계하고 마이크로 버블의 종말부상 속도(Terminal rise velocity)를 반응 값으로 하여 예측식 모델과 최적 조건을 수립하였다. 다항식 회귀분석을 통해 펌프의 압력(X1) 4.5bar, 공기량(X2) 3.3L/min 그리고 운전시간(X3)이 2.2min에서 종말상승속도(Terminal rise velocity)에 대한 최적값인 5.14 cm/min (85.7㎛/sec)을 얻었다. 또한, 레이저 입자계수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2~5㎛ 및 25~50㎛ 영역에서의 가장 높은 마이크로버블 직경크기 분포를 확인하였다.
        4,600원
        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의 종말론적 작품들을 보면 여성의 역할이 명확히 그려져 있다. 계시적 역할은 여성의 일이지, 여성이 영감을 주는 것을 (흔히 불완전하게) 해석하도록 요구받는 남성의 일은 아닌 것으로 나타난다. 이 구분은, 「재림」과 「하룬 알라쉬드의 선물」에서 표현되어 있는데, 자동기술 원고, 꿈의 노트북, 카드 자료, 그리고 원고 자료에 보존되어 있는 것처럼, 『환상록』의 참고자료를 거쳐 남편과 부인이 공동창출한 두 사람의 관계에서뿐만 아니라 1925년과 1937년 판의 나타난 『환상록』의 체계에 뿌리를 두고 있다.
        5,500원
        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구문학사에 있어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인해, 사무엘 베케트의 『막판』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작품 속에서의 풍부한 성경적 인유의 의미를 간과해온 측면이 있고, 주로 현대사회에서의 인간실존에 대한 부조리성이나 혹은 현대인의 삶에 대한 풍자적 관점만을 다루어져온 측면이 있다. 고등 문학비평 이론의 홍수 속에 “문학과 종교” 연구가들이 작품 속의 종교적 의미를 밝혀냄에 있어 위축된 측면이 있었지만, 디오도 아도르노, 질 들뢰즈, 알랭바디우 등과 같은 신마르크스주의자들은 “부정성,” “리좀,” “유적인 것” 등의 개념을 통하여 베케트 작품에 대한 새로운 읽기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베케트 작품에 나오는 “부정적 특질”이 항상 부정적인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베케트의 특별한 글쓰기의 전략임을 알 필요가 있다. 『막판』에서 보이는 “부정적 특질”은 풍부한 성경적 인유에 의해 제시되는 종말론적 비전으로서의 파루시아에 대한 가능성을 조명하고 있는 것이다.
        8,300원
        13.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플랑크톤의 종분포와 현존량의 수질에 대한 지표성을 이용하여 수원시 하수종말처리장 주변수역의 6개 정점을 선정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식물상을 밝히고, 특히 주로 특정 서식처에 분포하는 종을 조사함으로써 조사 수역의 오염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계절별 현존량을 측정하여 하수종말처리장 주변수영의 오염정도와 연중 변화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Engler의 분류체계에 따라 정리한 결과 4문 4강 11목 6아목 22과 2아과 54속 155종 20
        4,000원
        15.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19세기 문화-프로테스탄티즘의 낙관적 종말론을 기독교사상 사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자유주의 신학의 다른 이름인 문화-프로테스탄 티즘은 기독교 신학을 철학화하여 정통주의의 안티테제로 등장한 신학사 조를 말한다. 계몽주의의 영향으로 등장한 합리적 회의주의로 인해 기독교 신앙이 도전을 받게 되자 그에 대한 학문적 응전이 필요했는데, 문화-프로 테스탄트 신학자들은 칸트와 헤겔의 인식론에 기초해서 그 과제를 해결하 려 했다. 특별히 인간의 선의지로 실현할 윤리적 하나님 나라에 기초해 종 말론을 내재적, 낙관적으로 이해하는 측면에서 문화-프로테스탄티즘은 근 대 이성철학의 낙관주의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 문화-프로테스탄티즘의 주 요 학자인 슐라이에르마허와 리츨과 하르낙은 하나님 나라를 역사와 문화 속에 내재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낙관적 종말론을 확립하였다. 이와 함께 근대 진보적 낙관주의에 영향을 받아 세속적 유토피아의 실현을 하나님 나 라와 일치시킴으로써 기독교 종말론의 낙관적 이해를 확립하였다. 이와 같 이 종말론에 대한 낙관적 이해는 재림의 지연에 따른 성서적 종말론의 딜 레마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신학적 원리를 제공해 주었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있다. 그러나 이성철학에 기초한 근대 계몽주의적 진보주의가 실패 한 상황에서 문화-프로테스탄티즘의 낙관적 종말론 역시 사상적으로 도전 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20세기 기독교는 문화프로테스탄티즘이 실패한 자 리에서 새로운 신학적 종말론을 모색하면서 다양한 이해를 발전시켰다. 결 과적으로 19세기 문화-프로테스탄티즘의 낙관적 종말론은 변증법적으로 기독교 종말론을 발전시키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16.
        201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dentify aerodynamic property as a function of moisture content for designing equipment such as for post-harvest management. Terminal velocity of two wheat varieties {Backjjung (B) and Jogyeong (J)} with selected sound, damaged kernel and foreign materials (Wheat stick, Wheat husks) were measured with a designed vertical wind column at different moisture contents from about 9 to 30% wet basis. The results showed that terminal velocity of wheat and foreign materials except of Jogyeong’s husks (p<0.05)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01. With increasing moisture content, the aerodynamic property values of the kernels and foreign materials of the two wheat varieties increased linearly. In detail, terminal velocity of sound and damaged kernel increased from 5.46 to 7.13 m/sec (B) and 7.48 to 8.60 m/sec (J), damaged kernel from 5.91 to 7.00 m/sec (B) and 6.48 to 7.75 m/sec (J). For foreign materials the terminal velocity of wheat stick increased from 2.92 to 4.07 m/sec (B) and 3.74 to 5.22 m/sec (J) whereas that of husks from 1.07 to 1.85 m/sec (B) and 2.02 to 2.33 m/sec (J) each. For air separation of wheat and foreign materials, the air flow should be less than 5.22 m/sec due to the range (1.07~5.22 m/sec) of foreign materials in wheat.
        17.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schatology of Hope presented in Pannenberg's theology has a special meaning in the Christian eschatology. His eschatology of hope emerged in the historical context which needed a theology of hope i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At that time, the Christian theology came to a crisis with emerging the radical theologies, such as theology of the death of God, the secular theology, after the era of the Neo-orthodox theology(or the existential theology). Therefore the theology of hope was required. Advocates of the theology of hope have emphasized the fact that there is a hope in the kingdom of God which will be coming in the future. Pannenberg presented the kingdom of God in the framework of universal geschichte. The universal geschichte means history as a whole, that is a history connected the past and the present from the future. In this viewpoint of the universal geschichte, history becomes to be a revelation of God, that is “revelation as history.” There is a great hope in our history, because human history is open to the future. According to Pannenberg, the kingdom of God as a ultimate hope of human history is in the future. However the hope has already been expected in the event of Christ's resurrection. The universal geschichte and the resurrection of Christ make Pannenberg's theology into the eschatology of hope. Through the theology, he emphasized that the Christian eschatology should be a theology of hope. The eschatology of Pannenberg as a theology of hope has led the Christian eschatology of 20th century to the hope for the future. The theology has overcome the theology of crisis and has solved the challenge of the radical theology. But it has failed to make Christianity as a movement of hope substantially. His eschatology of hope has been criticized as a historical optimism, because the universal geschichte presented by his revelation as history seemed to be the metaphysics of history. Furthermore, his theology of hope couldn't fulfill historic meaning of the Christian eschatology since the eschatology failed to embody the vision of the kingdom of God and the mission to realize it. In spite of the limitation, his theoretic insight of the eschatology of hope has become an element of the Christian theological hope.
        18.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John Wesley’s eschatology and sanctification. It begins with the recognition that eschatology is at the heart of Wesley’s doctrine of entire sanctification or Christian perfection. Although he did not systematically develop his eschatology, John Wesley dealt with the eschatological themes such as death, resurrection, final judgement, and the kingdom of heaven and hell. His eschatological thought was much influenced through German pietist Johann Abrecht Bengel’s works, “Gnomon Novi Testamenti” and “Erklärte Offenbarung.” However, John Wesley declared that he had no opinion about Bengel’s chronological speculations on the Christ’s millennial kingdom, which would begin in 1836. In fact, John Wesley showed so little sympathy and had so little patience with eschatological fervor, which was generated among his Methodists. He tended to identify it with enthusiasm. The reason was that these eschatological enthusiasts stimulated opposition to entire sanctification or Christian perfection. Wesley’s concern for protecting and promulgating this doctrine of perfection may provide a key for understanding his reservations about eschatological fervor. John Wesley insists that it is possible in this life to be brought to entire sanctification and Christian perfection, which is equivalent to a perfection of love for God and neighbor. This doctrine is distinctive from notions of sanctification in other Christian traditions in that it expects the finite equivalent of eschatological fulfillment (i.e. entire sanctification or Christian perfection) as something which can happen in history rather than beyond it. By differing with those who taught that Christian perfection occurs only after death, at the point of death and by holding out for the possibilities of divine grace to perfect us in love in this life, John Wesley was making room for an eschatological hope that could become more than a hope, but rather a gracious reality in the here and now. Moreover, John Wesley, as a sacramentalist, had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sacrament of the Lord’ Supper, which is able to sustain the believers in growth and grace and to lead them through a lifetime of the pursuit of entire sanctification or Christian perfection. “Hymns on the Lord’s Supper” published under the names of both John and Charles Wesley show Wesley’s ‘already’ and ‘not yet’ eschatological thinking.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