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지역 지석묘 출토 부장유물을 검토하였다. 지석묘에 부장되는 유물은 마제석검, 비파형동검, 마제석촉, 토기류 등이 있으며, 지역 및 유역별로 확인되는 양상이 다르다. 마제석검은 전남지역에서 전기부터 후기까지 고루 나타난다. 지석묘 축조가 활발해지는 전기 늦은 시점부터 일단병식으로 대표되는 석검 부장이 일반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유역별로 보성강유역은 유 절식, 남해안지역은 유단식 부장이 많다. 유경식은 영산강유역에서 주로 유행하였다. 보성강유역에서 는 유병식과 유경식 출토 수량이 많은 편이며, 이는 영산강유역과 남해안지역의 중간에 있는 지리적 특징상 문화적 접변으로 해석된다. 동검은 여수반도를 중심으로 한 남해안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경부에 홈이 있으며, 길이는 다르나 전체적인 기형은 비슷하다. 이는 동검 제작에 있어 다양한 틀을 만들어 제작하였거나 적어도 그러한 제작 기술을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석촉은 편평촉이 남해안지역에서 전기부터 후기까지 지속적으로 이용된다. 유경촉은 일단경식과 이단경식으로 구분되며, 일단경식은 전남지역 모든 유역과 전 시기에 걸쳐 출토된다. 이단경식은 남 해안지역에서 확인되며, 전기에 등장하여 후기에는 사라진다. 경부 구분이 애매한 단면 능형촉은 전 남지역 청동기시대 후기 유적에서 다수 확인되고 있다. 토기는 유역별로 출토 정도 차이는 있으나 전 유역에서 적어도 1개 기종이 부장용으로 출토되었다. 영산강유역은 구순각목문공렬토기와 채문토기, 남해안 유역에서 채문토기가 확인되었다. 후기에는 전 남지역 모든 유역에서 채문토기, 적색마연호, 흑도가 출토된다. 지석묘 출토 유물 양상을 종합하면 2개의 루트를 상정할 수 있다. 하나는 남해안지역을 중심으로 강을 통하여 섬진강·보성강유역으로 이어지는 선과 해로를 통하여 고흥반도, 영산강유역으로 이어지 는 선이다. 다른 하나는 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화순을 거쳐 보성강유역으로 이어지는 선과 서해안을 따라 남해안지역 특히 탐진강유역으로 연결되는 선이다.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regional and temporal attributes of tuff architecture in Mokpo, spann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post-liberation era. It aimed to uncover the distinct regional and temporal features of tuff architecture by integrating concepts from vernacular architecture and regionalism, framed through a lens of critical regionalism. The study traced the historical progression of tuff architecture in Mokpo within this context. A significant part of the research was an in-depth analysis of four constructions by Son Yang-dong, a renowned technician in post-liberation Mokpo, to closely examine the contemporary relevance and regional significance of his work. Tuff, as an indigenous material, distinctly articulates the local architectural character. In line with regional properties of tuff, the material has adeptly responded to contemporary construction needs. This has laid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building designs and techniques. Tuff architecture is particularly noted for its exhibition of raw material textures, offering a unique aesthetic that diverges from classical Western architectural styles. Importantly, through the examination of Son Yang-dong's contributions, the study highlights the role of Korean builders in an industry dominated by Japanese influenc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underscoring a strong regional identity. As a representation of Mokpo, tuff architecture not only upholds and protects regional identity within the broader scope of Western modernization and Japanese impacts but also plays a role in its progressive enhancement.
본 연구는 1960-70년대 서부 미니멀리즘의 작업 경향에서 드러난 지역성을 통해 이들의 독자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서부 미니멀리즘은 로스앤젤레스 화단이 주체적으로 형성한 예술 운 동이라는 의의가 있다. 서부 미니멀리즘은 동시대 뉴욕 미니멀리즘과 유사성을 공유함에도 불구 하고, 이들은 로스앤젤레스의 지역성에 기반한 독자성을 형성하였다. 이들의 독자성이 구축되는 과정은 회화 매체를 주축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뉴욕 미니멀리즘과 구별되는 주요한 지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부 미니멀리즘의 지역성이 특히 이들의 회화 작업에서 드러났음에 주목한다. 20세기 중반 기존 추상표현주의를 모방하던 로스앤젤레스 화단은 셰이프트 캔버스 및 하드 엣지 형태의 비(非)-전통적 회화 작업을 통해 서부 미니멀리즘을 발단시켰다. 이후 서부 미니멀리즘은 동시대 팝아트와 맞물려 피니쉬 페티쉬(Finish Fetish)로 이어졌다. 이때 피니쉬 페티쉬는 로스 앤젤레스 자동차 문화라는 지역성을 바탕으로 로스앤젤레스 팝아트로서의 정체성을 구축하였 다. 또한, 서부 미니멀리즘의 회화에 대한 지속적 관심은 1970년대 오브제 및 공간 작업으로 전 환한 일부 작가들의 회화로의 복귀로도 나타난다. 회화의 복귀는 3차원 형태의 작업으로 총체적 으로 전환한 뉴욕 미니멀리즘과 비교되는 서부 미니멀리즘의 특징이다.
The remaining Joongjaesil(中齋室)-type pavilions in the eastern part of the Jirisan Mountain area showed more complex characteristics than those in the western part. The front number of kan(間) had two, three, and four kan (間) types, but the number of kan on the side was consistent with two regardless of the number of kan on the front. The pavillion is classified into 'central type', 'towards the backward type', and 'expanded by backwards typ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Joongjaesil. Joongjaesil's size, which characterizes the characteristics of Joongjaesil-type Pavilion, is related to the building's front number of kan. Front number of kan. When this space was increased by one space to four spaces, Joongjaesil must have two spaces. The pavilion with four bays in fron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concentrated in Sancheong and Jinju, the eastern part of the Jirisan Mountain area. In the eastern region, many high pavilions remain, and the upper structure of the pavilion was insignificant, but the flat shape and public construction showed strong loc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ultural meaning behind modern experiences of diversity through the history of clothing in Korea.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aspects that dictate clothing culture acceptance experienced and practiced by women by analyzing the case of the Naju rural area in Jeollanam-do from the 1950s to 1980s. Modern clothing was accepted later in the 20 century in this village, and the Satgolnai traditional textile tradition was an important factor after 1950s. In addition, the continuity of the rural five-day market is different from practices in the city. Limitations in access to media such as TV, films, and magazines, and the functional meaning of clothing in rural areas contributed to limitations for women to get the opportunity to access modern clothing items that were popular in the city. Unlike in the city, the event that inspired the transition to full-scale modern clothing in this village was the Saemaul Undong Movement of the 1970s. Additionally, Mombbe (labor cloth) wor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continuously worn as daily clothes for Naju women even after the 1950s. Therefore, colonial modernity continued through clothing.
본 연구는 베트남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한류브랜드 지역성이 국가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과 국가 친밀감이 한국 기업, 한국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한류의 관점에서 베트남 소비자가 인식하는 브랜드 지역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 한국기 업들은 한국대중문화를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 한류현상을 활용하여 한국 제품과 브랜드를 개발함으로서 한류브랜드를 구축하고 있다. 이에 한류지수가 높게 평가된 베트남 현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류를 잘 반영하고 있는 한국 화장품을 대표적인 한류브랜드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인터넷, 모바일 URL을 통한 응답 방법을 사용하여 베트남 현지 소비자 총 212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한 류브랜드 지역성은 국가 친밀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베트남 소비자들이 한국에 대해 긍정적 감정인 친밀감이 형성되면 한국 기업과 제품에 대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소비자태도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18 광주 민중항쟁은 1993년 5월 김영삼 대통령에 의해 합법적인 민주화운동으로 인정받았고, 2011년 유네스코는 ‘5·18 광주민주항쟁’을 세계 기록 유산으로 승인하였다. 이는 광주시민의 명예 회복에 전기를 마련하는 일이었다. 하지만 사건 발생 37년이 지난 지금도 이에 대한 평가는 전국적으로 통일되지 않았고, 어쩌면 광주만의 정신, 광주만의 자부심으로 기억되고 있는지 모르겠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는 여러 요인들이 있겠지만, 본 연구자는 5·18의 진상규명과 시대정신에 맞는 재해석, 시민교육을 담당할 전문가들이 전라도와 서울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5·18을 달리 평가하는 저널이 가해자 지역에 적을 두고 활동하고 있어 평가가 양분 된 채 통일 되지 못하고 호남에 갇혀있게 된 것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5·18의 의미가 전국적으로 통일되지 못하고 호남에 갇혀있게 된 요인으로 5·18관련 자들만의 “당사자주의”의 한계에 있다 판단하고 있다. 특히 이 사건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분석하고 해명해야 할 연구자들이 연고지역에 편중분포 (광주·전라도>서울>경남)되어 있어 5·18의 의미가 통일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그 개연성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학술연구논문과 저널 저자 및 출판 소재지가 양분되어 있고, 편중분포 되어 있음을 밝히고, 연구자들의 편중분포가 지역성 극복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개연성을 밝히고자 한다.
광주비엔날레는 광주 민주화 운동으로 인한 도시의 상처를 문화적으로 치유한다는 명분을 내 세우며 1995년 국내 첫 비엔날레로 창설됐다. 광주비엔날레의 지역성은 5ㆍ18 민주화운동에 상당 부분 기대고 있으며, 주최측은 이를 ‘광주정신’이라고 표현해 왔다. 초창기엔 본전시에 민중미술 작 품을 출품하는 것으로 지역성을 드러냈으며, ‘지역’의 범위는 광주에서 한국, 재외 교포, 아시아 등 으로 점차 확장됐다. 2010년의 제8회 《만인보》에서는 5ㆍ18과 직접적 연관성이 없는 작품들만으 로 전시를 꾸렸다. 본논문은 《만인보》가 캄보디아 폴포트 정권의 양민 학살 관련 사진, 중국 ‘수조 원’ 등 지구상 ‘또다른 광주’들을 전시장에 소환함으로써 광주의 지역성을 오히려 강화, 지역성 구 현의 전환점을 이루었음을 밝혔다.
The core idea of the critical regionalism could be summarized as a self-conscious synthesis between universal civilization and world culture. After World War Ⅱ, it has been applied to architecture for overcoming the problem of Industrial Capitalism and uniformity of 20th century Modern Architecture. Naturally, religious architecture cannot also be an exception in this cultural trend, thus we can also apply the critical regionalism to the Korea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with the basic premise that the Traditional Western and Modern Style Church Architecture should be regarded as universal civilization, and the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and endemicity as one of world culture. In the context,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regionality of Korean Moder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constructed between the 19th century and 1980's, and how it has been differently transformed with the view of the critical regionalism. Its analysis will be carried out within three types;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and the influence of Japanese Modern Architecture, representat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and abstract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with eac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지역방송은 최근 급변하는 방송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하 고 있으며, 이러한 논의는 특히 지역방송의 정체성과 관련 있는 지역성 개념 정립 에 대해 집중되고 있다. 지역방송의 존재이유는 지역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 며 생존과도 관련 있는 문제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지역성의 개념을 정리하고 제한 적이기는 하지만 특정 방송사의 9시 메인뉴스에서 지역성이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 지를 분석하는 것 또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성 개념을 정립하여 지역 방송사가 추구해야 할 지역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특 정장르와 특정지역에 편중되어 뉴스가 보도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방송의 지 역적 정체성과 지역의 다양성 보장하기 위해서라도 보도 영역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Presentation is the way of revealing regionality that is hidden into the inner world. The expression of regionality has to be based on the origin and at the same time created newness as always suitable for the present through combination of 'familiarity' and 'unfamiliarity'. Regionality that has been maintained even under the application modern trends, spirits, technologies and materials should be now disclosed. Creating new forms that reflect regionality is possible only when a keen sense(emotion) always focusing on the essence of the earth works together with foresight(imaginative power) clarifying global pattern changes, under high tensions between both of them. Kim Su-Keun succeeded in reinterpreting traditional spaces, but failed in communicating patterns of life, ultimately revealing stiffness with no tension and no creativity. Kim Jung-Up could not draw out a whole meaning of relations among traditional fragments or relations between them and the present. He only borrowed such fragments from the view of formative art. For 'disclosed abstract', 'familiarity' and 'unfamiliarity' are repeated circularly and cope with pattern changes, continuously creating new forms and showing unity as a complete calmness(rest). In "YangDuk Catholic Church" by Kim Su-Keun provides a simultaneous reactivation of various images through continuous cross-weaving rather than being inclined to either the earth or the world. Based on the technique of 'disclosed abstract', "YangDuk Catholic Church" created a new form and space never seen before.
The bureaucrat-scholars, ruling class of the Choseon Dynasty, used to build small private pavilions for rest and study for themselves. In the early period of the Dynasty, the pavilions had plain shapes with rectangular plan and simple wooden structure without any walls so as to enjoy the surrounding scenery. From the 16th century, the building form began to change into some diverse one by putting in an ondol room, an unique floor heating equipment. The pavilions also began to show regional differences by placing the ondol rooms in the floor. Myonang-jong, a pavilion occupied by a famous bureaucrat-scholar Song Soon, was built at Damyang of the southwe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so called Honam area, in 1533. At first, the building form followed the ordinary early pavilion shape using simple wooden structure and wooden floor. But when it was rebuilt in 1654 after burning down by war, there happened some changes. An ondol room was put in the center of the floor, of which regarded as a dominant regional characteristic of the Honam area. The change of the building form of Myonang-jong showed that it was the 17th century Honam area got the regional characteristic in the architecture of pavilion.
This paper is a part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otkal. The kinds and materials of Korean chotkals are studied by interviewing local people living in 142 different regions which are bigger than 'myon' in size. Regio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ructural style of commoner's hous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chotkal are analyzed and interpreted with natural environmental factor. The rest of my further interested subject will be followed in later issues ; the ways of preservation, period of fermentation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uses of Korean chotka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1. There are 145 different kinds. 2. Raw materials of 145 kinds of chotkal are devided roughly into five groups ; (1) fishes in 87 kinds (2) Pelecypoda and Gastropoda in 14 kinds (3) Cephalopoda in 10 Kinds (4) Crustacea in 32 kinds and (5) Holothuroidea and Echinoidea in 2 kinds. They can also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arts of individual material ; (1) body or flesh in 118 kinds (2) internal organs in 15 kinds and (3) eggs in 12 kinds. Regions are devided into four provinces ; 'Kwanso', 'Chungbu', 'Nambu', and 'Kwanbuk' in which the number of different kinds of chotkal are 32, 41, 99 and 34, respectively. Raw materials vary because of the distribution of marine life in different regions. Fishes and Cephalopoda are used in all four regions, Pelecypoda and Gastropoda in 'Kwanso', 'Chungbu' and western part of 'Nambu' regions. Different species of Crustacea used in each different regions ; sea crab and sea shrimp in the western coastal area, fresh water crab in the field area, fresh water shrimp in 'Chollado', mantis crab at 'Shihung-gun' in 'Kyonggi-do', Holothuroidea and Echinoidea are used in 'Nambu' regions. Chotkal are not used at all in six local districts which are located in inland areas where the transportation is inconven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