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 the knowledge based society is demanding for competent subjects who can create new knowledge and apply it as well as posses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Even when it comes to instructing underachievers, changes in the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is being required. Underachievers show difference in learning ability with other students as their grade level increases and this leads to a decline in understanding about what is learned during class. Accordingly, this results in the loss of the desire to learn and is causing underachievement to become more serious. In this paper, arithmetic section was selected amongst all the other sections in 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In order to minimize the learning deficit of underachievers, recomposition was made with contents and stages appropriate for the instruction of underachievers to develop a self-directed learning model and implement the Scratch game program.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ogram of this study on underachievers who are in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it was analyzed that their competence of arithmetic operation was enhanced and that it also increased their level of interest about learning.
        4,000원
        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trategies-based English reading programs on reading proficiency and affective domains of underachie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Eight fifth-grade students were selected and assigned to either the phonics/vocabulary learning group or the vocabulary/sentence learning group for two hours a week for 16 weeks.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four main sources: English reading tests, questionnaire surveys, students’ learning log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English reading programs had positive impact on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tters and sounds, word recognition ability, and sentence reading. As students accumulated successful reading experiences, their self-confidence, interest in reading, and class participation increased while anxiety decreased.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using strategies among students in each group, with higher level students tending to use higher-dimensional strategies with more variety than less able students. In conclusion, the leveled English reading programs customized for underachievers appear to be effective in assisting underachievers in their English reading skills.
        6,700원
        3.
        2013.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escribe and analyze the English education process of underachie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this e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sed. The analyses produce two themes: positive and negative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Students are motivated when teachers are friendly and give them positive responses. Teaching materials including interesting games give more motivation to students. Content coverage for one period should be moderate for students to achieve. Students are disengaged in the classes when they come to supplementary classes against their will, and the content is above their level. Environmentally, parental indifference is translated into student’s indifference to the study. A rushing environment to cover too many units of materials makes them frustrated moving on without grasping what’s being taught. In conclusion, a careful understanding about managing time, learning environment, teaching materials and rapport forma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re found to be necessary in the underachie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education.
        5,700원
        6.
        2020.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부진아의 실태를 파악하고 뇌선호도 조사를 통해 학습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범위는 2019년 부산지역 대학교 한 부설 한국어교육기관에서 봄 학기 과정 중인 학습자들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방법 으로는 먼저 한국어 학습부진아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1급에서 5급 까지 수준별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그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학습부진아 수가 가장 많은 급을 선정하여 좌ㆍ우뇌의 인지유형을 분석하는 뇌선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습부진아 실태조사 결과, 한국어 학습부진아수는 2급이 가장 많으며, 학습부진아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이 4급으로 나타났다. 좌ㆍ우뇌 뇌선호도 검사에서는 좌뇌 형이 8.3%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으며 우 뇌형과 양 뇌형의 45.8%의 5배가 낮은 수치이다. 이와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다양한 특성에 맞은 수업지도와 맞춤형 지도를 하게 된다면 학습에 대한 부담이 줄게 되고 오히려 수업에 대한 자신감까지 느끼게 된다. 결국, 현장에서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는 이러한 요인들을 파악하여 수업에 적용하는 것이 교사의 역할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부진아를 지도함에 있어 학습부진아 실태를 파악하여 학교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의의가 있다.
        8.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표상전략교수와 직접교수가 수학학습부진아의 문장제 해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제주도 A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학년 297명 중에서 수학학습부진아 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5명씩 배정하고, 실험집단에 주 3회씩 5주 동안 총 15회기의 표상전략 교수를 시행하고, 통제집단에 같은 회기 동안 직접교수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표상전략교수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직접교수를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문장제 해결력과 자기효능감이 더 많이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 표상전략교수는 직접교수보다 수학학습부진아들로 하여금 문장제를 해결하는데 더욱 효과적인 교수전략임과 동시에 수학학습부진아들이 문장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는 경험을 통해 수학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도 적합한 교수전략이라 할 수 있다.
        9.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학교 학생들 중에는 일차방정식, 특히 계수가 분수 또는 소수인 일차 방정식을 푸는 과정에서 학습 부진을 보이는 학생이 많이 있다. 학습 부진아에게 수학적 개념을 이해시키고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며 그 대안 중의 하나가 CAS 계산기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방정식에서 학습 부진을 보이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CAS 계산기를 활용한 일차방정식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과정의 특징과 성취도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일차방정식의 수업 현장에서 학습부진아에 대한 적절하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1.
        200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학습부진아는 학습의 실패를 많이 경험하여 자신감 및 학습 동기가 부족하다. 이들이 학습에서 적절한 성취감을 갖는다면 자신감 및 학습 동기를 높이고 학습 성과도 높아질 것이다. 본 연구는 학습 부진아들에게 학습을 진행시키면서, 각 학습부진아들의 학습 진척도와 성취도 맞는 단계를 자동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특히, 학습자의 흥미를 높이기 위하여 말판형 게임을 도입하였으며, 학습 문제가 무작위로 추출되도록 하였고, 학습자의 학습 만족감을 높이기 위하여 학습부진아가 게임에서 적절한 승리를 하도록 승률을 조절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시스템을 학습 부진아들에게 적용한 결과 학습 흥미도 및 학습 효과에서 긍정적인 성과가 있었다.
        12.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effects that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the self-concept of underachiever child. The study was performed on six underachiever child of the general classes of P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wice a week, from September 19 to December 16, 2003, total in 22 times. The examination on self-concept before and after the execution of horticultural therapy was utilized by dividing general self-concept from self-concept on learning for each lower-level area. The program also evaluated the degree of emotional and sociable developments by horticultural therapy evaluation chart(KHY type) and performed comprehensive evaluation through direct observation by horticultural therapists and the class teachers. The evaluation results on self-concept for all subject student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fter horticultural therapy. This is thought to promote learning motive and learning desire through various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using plants. It has shown on the change of attitude for solving problems. As explained above, it has shown that the horticultural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formation of self-concept for underachiever chi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