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

        1.
        2024.03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과 기존 교통수단의 융복합으로 수소자동차, 자율주행자동차 등과 같은 새로운 교통수단 등장으로 광역 이동과 같은 이동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보다 빠른 광역 이동성 확보를 위해 BRT 전용차로 도입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BRT 전용차로 구간에서 자율주행자동차의 혼입률 및 대중교통 전환율에 따른 시나리오를 설정해 서비스수준 분석을 기반으로 잉여차로 발생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미래교통량 증가와 자율주행 기술 의 발전이 BRT 전용차로 운영 구간에 미치는 변화를 분석해 도로의 자산가치 산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설정한 시나리오에서 도로 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일정한 서비스수준(Level of Service, LOS)를 유지하는 자율주행자동차 혼입률 수준을 파악하였으며, A~F 의 6단계로 구분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도로의 자산가치 산정방법은 국가회계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토지의 대체적 평가방법 4가 지 방법과 보다 객관성을 확보한 새로운 자산가치 평가방법을 준용하여 도로의 자산가치를 산정하였다. 분석 결과, 간선도로 서비스수 준을 통해 BRT 전용차로를 시행하면서 연속류 구간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 혼입률이 75%되는 경우 편도 3차로에서 편도 2차로로 1차 로 감소가 이루어져도 현재의 서비스수준을 유지할 수 있으며, 단속류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의 혼입률이 50%되는 시점에 편도 4차로 에서 편도3차로 1차로 감소 시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연속류 구간에서 자율주행자동차 비율이 75% 및 단 속류 구간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의 비율이 50%되는 시점에서 1차로에 대한 도로 자산가치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잉여차로는 보행약자를 위한 보행 공간 및 자전거도로, 개인형이동장치((Personal Mobility, PM)전용도로, 완충녹지 등의 완전도 로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is to initiated to estimate the impact of mixed traffic flow on expressway section according to the market penetration rate(MPR) of automated vehicles(AVs) using a enhanced intelligent driver model(EIDM). METHODS : To this end,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and EIDM were used to implement mixed traffic flow on basic expressway section and simulation network was calibrated to understand the change of impact in mixed traffic flow due to the MPR of AVs. Additionally, MOEs of mobility aspects such as average speed and travel time were extracted and analyzed. RESULTS : The result of the impact of mobility MOEs by MPR and level of service indicated that 100% MPR of AVs normally affect positive impact on expressway at all level of service.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improvements in the level of service from LOS A to C are minimal until the MPR of AVs reaches 75% or higher. CONCLUSIONS : This research shows that impact of MPR of AVs using EIDM of mixed traffic flow on basic expressway. Increasing MPR of AVs affects positive impact on expressway at all level of services. However, MPR from 25% to 75% of AVs in LOS A to C shows minimal impacts. Therefore,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AVs, appropriate traffic operation and management strategies are necessary.
        4,000원
        3.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ongestion mitigation strategy at lane drop bottleneck with low Connected and Automated Vehicle (CAV) penetration. METHODS : The proposed strategy is designed to assign a role of a moving bottleneck to CAVs to reduce low-speed lane changes at bottleneck locations, which are the main cause of bottleneck capacity drop. Through this, it aims to induce proactive upstream lane changes for Human-Driven Vehicles (HDVs,). Therefore, this study includes the control algorithm for CAVs, and the evaluation of the strategy assumes penetration rates of 5% and 10% in a Microsimulation VISSIM environment. The assessment is conducted by comparing the capacity drop and total travel time. Additionally, a sensitivity test for the parameter of the CAV control algorithm, reduced speed, is performed to find the optimal parameter. RESULTS : In this study, three scenarios, a) Base, b) CAV with no control, and c) CAV with control, are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CAV control strategy. Analysis of segment density and lane change distribution reveals that the control strategy effectively prevented vehicle congestion due to the bottleneck effect. Additionally, the analysis of capacity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bottleneck and total travel time shows the effectiveness of the control strategy. The sensitivity test on CAV control spee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electing an appropriate speed for maintaining efficient traffic flow. Lastly, as the CAV penetration rate increased, the control strategy exhibited greater effectiveness in mitigating capacity drop. CONCLUSIONS : The proposed strategy is intended for use at low CAV penetration rates and is expected to provide assistance in mitigating congestion at bottlenecks during the early stages of CAV commercialization. Furthermore, since the role of CAV in the strategy can be performed by CVs or even HDVs, it can be applied not only immediately but also in the near future.
        4,200원
        6.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내구성 및 낮은 인장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된 폴리비닐알콜(PVA) 혼입 시멘트 복합 체의 내약품성을 평가하였다. 시멘트 복합체에 대한 PVA 혼입률은 0%, 1.0%, 1.2%로 설계되었다. 각 혼입률에 따른 시멘트 복 합체의 압축강도, 인장강도, 휨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1.2% 혼입률에서 압축강도는 1.3배, 인장강도는 5.6배, 휨강도는 17.9배 증가하였다. 내약품성 실험을 위해 염화칼슘, 황산나트륨, 그리고 황산 용액에 시멘트 복합체를 침지시킨 후 30일, 40일, 50일 후 질량 소실률을 측정하여 내화학성을 평가하였다. 내화학성 실험 결과, PVA 혼입은 약품의 침투를 방지하여 시멘트 복 합체의 내화학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체적으로, PVA 혼입은 시멘트 복합체의 내화학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강도 특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10.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단위 바인더량을 400과 420으로 결정하였으며, 잔골재율 58%, W/B를 38%로 결정하였다. 혼화재료의 경우 현장 투입을 위해 추가 첨가하는 개념으로 실리카퓸을 중량대비 3% 첨가, 라텍스를 5% 첨가 하였고, 속경성 혼화재료의 경우 10∼40% 까지 첨가하여 첨가량에 따른 강도를 확인 하고자 하였다. 표1은 실험에 사용된 배합표이다. 기본적으로 속경성 혼화재료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강도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12시간 강도에서는 바인더량에 따라 강도 차이가 크지 않았다. 그러나 24시간 강도에서는 혼입률이 적은 변수(10∼20%)구간 보다 혼입률이 높은 변수(30∼40%)구간에서 강도 증진이 크게 나타났다. 그림1은 변수별 강도 시험 결과 이다.
        11.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탄소섬유는 경량이면서 높은 기계적 특성 때문에 우주항공, 선박, 자동차, 토목 및 건축과 같은 산업분야에서 그 어느 때 보다 더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섬유혼입률 및 섬유길이 변화에 따른 탄소섬유 보강시멘트 복합재료( CFRC)의 역학적 특성과 휨 거동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자연 낙하시험에 의한 모르타르 시편에 대한 내충격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더불어, 탄소섬유(CF)의 혼입률은 0.5%, 1.0%, 2.0% 및 3.0%로 변화를 주었으며, 각각의 섬유길이는 6 mm와 12 mm를 사용 하였다. 실험결과, 플로우 값은 탄소섬유의 뭉침현상으로 인해 유동성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였으며, 단위용적질량은 다소 감소하였다. 특히, 압축강도는 탄소섬유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반면 휨 강도는 섬유 길이가 12 mm이고 2% 혼입한 것이 가장 높은 휨 강도를 보였다. 내충격성 시험결과, 보통 모르타르 시편은 완전파괴까지의 낙하횟수가 2∼3회 정도 걸리지만 반면 CFRC 시편은 섬유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섬유길이가 12 mm이고 섬유혼입량 2% 인 경우 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가장 높았다.
        12.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 광촉매 종류 및 혼입율에 따른 역학적 특성 및 질소산화물 제거 특성을 평가하였고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광촉매 콘크리트 제조를 위해 분할 타설하는 방법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광촉매 혼입률이 5%일 때 가장 높은 압축강도와 탄성계수가 측정되었다. 광촉매 반응에 의한 질소산화물 제거 성능평가 결과 광촉매 혼입률이 증가함에 따라 질소산화물 제거율이 증가하였다. 이때 광촉매 P-25의 질소산화물 제거성능은 NP-A보다 우수하였다. 경제성을 고려하여 콘크리트 표면의 일정 두께를 광촉매 콘크리트로 타설하는 분할 타설 방안을 제안하였고, 이때의 일체화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역학적 성능 및 내구성능이 Plain에 비해 동등 이상으로 나타나 일체화 거동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13.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cement composites incorporating Carbon Nanotube(CNT), Carbon Black(CB), and Carbon Fiber(CF) of 0.5, 1.0, and 1.5% of binder weight were evaluated to provide conductivity. In order to achieve this, compressive strength and electrical resistance were measured. As a result, the conductivity of cement composites incorporating CNTs was more sensitive than that of cement composites containing CB and CF.
        14.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s the effect of steel fiber volume fraction and aspect ratio on mechanical properties of SFRC with compressive strength of 40 MPa. In this study, The fiber volume fractions consist of 0.25%, 0.50% and 0.75% and aspect ratios are 64 and 80 used. The prisms with 150×150×550 mm were made and tested in accordance with EN-14651. Test results show that the superior flexural performance was observed in SFRC with higher fiber volume fraction and aspect ratio.
        15.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by using surfactant and synthetic foaming agent, lightweight aggregate. The effects of foaming agent types and replacing ratio of lightweight aggregate on the compressive strength, density and pore structure of the concrete were investigated. This study showed the improvement of important properties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Lower pore distribution and correspondingly higher compressive strength values were reached. Also, synthetic foaming agent had more positive effect on the strength of foamed concrete.
        16.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flowability of engineered cemetitious composite(ECC) Using blast furnace slag and fly ash as a binder in mixture. From the test result, flowability value of all ECC mixtures show good flowability and self compacting performance.
        17.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cording to the KCI 2012, it is presented that steel fiber can replace minimum shear reinforcement when beams are designed. However, there is no standard for columns, a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SFRC columns. Therefore, it is evaluated how much the capacity of columns increases according to the volume fraction of steel fiber through the cyclic lateral loading tests. Also, it is evaluated whether steel fiber can replace transverse reinforcements in concrete columns.
        18.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steel fiber volume fraction on compressive and flexural properties of high-strength concrete with compressive strength of 40 MPa. The fiber volume fractions used in this study consist of 0.5, 0.75 and 1.0%. The prisms with 150x150x550 mm were made and tested in accordance with EN-14651.
        19.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flowability of engineered cemetitious composite(ECC) Using blast furnace slag and fly ash as a binder in mixture. From the test result, flowability value of all ECC mixtures show good flowability and self compacting performance.
        20.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construction industry, large scales of construction waste has been produced with consumption of natural resources, but its efficient reutilization has not been sufficient yet. Therefore, this study has a main objective of using high volume of recycled aggregate by investigate the effect of replacement ratio of natural coarse aggregate by recycled one on the strength of concrete.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