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7

        43.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is an increasing amount of discussion toward ODA as national status of Korea has greatly been increasing. Developing countries, especially, are highly appraising Korean case studies where education plays significant role as fundamental basis of economic development which, in turn, increases the scale and demand of cooperation with Korea. Despite growing international interest and scale of education ODA, there is not only limitation in domestic professional manpower engaged in development but also lack of plans to nurture experts and to proliferate participation of aid in education field . Thus, based on‘Competency’that has high feasibility, this study aims to theoretically examine overall capacity, talents, skills, and values etc, that are required for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experts. Approaching ways deduced from the following study would be of support to establish‘Competency’based nurturing system for the government, universities that are already practicing for promotion of the experts in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5,500원
        44.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전사체 연구를 통하여 비티 독소단백질의 수용 체인 캐드헤린(cadherin) 유전자의 염기서열이 밝혀졌다. 파밤나방의 캐드헤린 유 전자는 11개의 캐드헤린 반복부위(cadherin repeat: CR)과 1개의 막통과영역 (transmembrane domain: TM)으로 구성이 되어있으며, NCBI GenBank no. KC907716.1로 등록이 되어있다. 확보된 파밤나방의 캐드헤린 유전자를 대상으로 비티 독소단백질과의 살충력 상승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캐드헤린 유전자의 각 영 역별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을 시도하였다. 캐드헤린 유전자의 영역은 각각 CR1-5, CR6-11, TM-C terminal로 구성이 되었으며, 살충력 상승효과는 조사하기 위해 파 밤나방 유충 1령과 3령에 대한 LC20 농도의 Cry1Ac와 Cry1Ca 독소 단백질을 대 상으로 각 캐드헤린 재조합 단백질을 질량비율(1:0, 1:1, 1:10, 1:20)로 인공사료에 침지하여 파밤나방 1령과 3령에 섭식시킨 후 5일 뒤에 살충율을 조사하였다. 본 연 구 결과는 캐드헤린이 비티 독소단백질의 수용체이며, 이러한 수용체의 증가가 비 티 살충력을 높일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여 주고 있다.
        45.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국방 분야 핵심기술 공동연구개발관점에서 국제기술협력의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연구이다. 선행연구의 거래비용 이론, 지식기반관점과 기술성숙도 측면에서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국방기술품질원의 국제기술협력 대상기술 선정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국방기술의 중요도가 클수록 그 기술에 대한 국제기술협력의 필요성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방기술의 선진국대비 상대적 기술격차가 클수록 그 기술에 대한 국제기술협력 필요성도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국방기술의 기술성숙도가 높을수록 그 기술에 대한 국제기술협력의 필요성은 작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핵심기술 공동연구개발 국제기술협력이 성숙된 기술을 고도화하기 위해 협력하기 보다는 명확한 목표 없이 부족한 자원을 국제기술협력을 통해 확보하려는 인식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향후 무기체계의 핵심기술 공동연구개발 추진함에 있어 무기체계별 국내 기술수준 및 기술성숙도를 고려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고, 선택과 집중의 중점 협력별 국내 기술수준 및 기술성숙도를 고려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고, 선택과 집중의 중점 협력분야의 선정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5,400원
        46.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와 관련된 국내의 제도와 세계작업치료연맹에 회원으로 가입한 국가들 중에서 경제개발협력기구 회원 국가들의 제도를 비교, 분석 및 제도 개선에 대한 제언을 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이메일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경제개발협력기구 34개 국가 중 회신된 15개의 설문응답 가운데 답변내용이 부족한 2개 국가를 제외한 13개 국가의 자료만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13개 국가 모두에서 정규 학위과정을 통해 작업치료사를 양성하였고, 교육 기간은 평균 4년이었다. 학위는 대부분의 국가가 학사학위였다. 캐나다, 아일랜드와 미국은 석사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었다. 작업치료사 자격제도는 대부분의 국가들이 국가자격제도를 운영하고 있었고, 보수교육 실시에 대한 항목에서는 5개 국가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이 보수교육을 통한 자격관리를 하고 있었다. 2개 국가를 제외하고 11개 국가가 작업치료사와 관련된 법률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고, 이들 국가 중에서 호주, 체코, 한국과 뉴질랜드만 개별법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작업치료사의 독립적 치료행위 및 단독 개업 가능 여부를 묻는 항목에서는 벨기에, 에스토니아, 한국과 뉴질랜드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에서 독립적 치료행위가 가능하였고, 단독 개업에 관한 항목은 응답하지 않은 프랑스를 제외하고, 한국만 이 단독 개업이 불가능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다른 OECD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작업치료사 직종과 관련하여 한국은 비슷한 수준의 교육 및 자격 관리 제도를 갖고 있는데 반해, 관련 법률 제도는 빈약한 경향을 보였다. 한국의 보건의료 수준이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서는 작업치료사 직종과 관련된 현재의 제도가 개선될 필요가 있다.
        4,600원
        47.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캄보디아는 폴폿 정권에 의해 자행된 “킬링필드”라는 불리우는 대학살의 슬픈 역사를 간직한 나라이면서 풍부한 수자원과 농업활동에 필수적인 좋은 기상조건을 가지고 있는 농업국가이기도 하다. 낮은 농업생산성을 극복하고 경제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캄보디아 정부는 한국을 비롯한 여러 선진국에해외원조를 요청하고 있다. 한국도 캄보디아를 해외원조 중점투자국가로 선정하고 최근에 한국국제협력단(Korea InternationalCooperation Agency, KOICA)를 통한 해외 공적자금(OfficialDevelopment Aids, ODA)이 투입된 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ODA투자규모 또한 2004년부터 꾸준히 증가하여3.3만 불에서 2012년에는 17.7만 불까지 증가하였다. 하지만,농업분야에 대한 ODA사업의 규모는 여전히 작고 수행하고있는 사업분야도 제한적이어서 사업의 특성을 판단하는 것은쉽지가 않다. 이에, 현 시점에서 농업분야에서 이뤄지고 있는ODA사업의 현황을 점검하고 캄보디아 해외원조 지원국 중 가장 많은 ODA자금을 투입하는 일본국제협력단(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JICA)이 수행하고 있는 ODA사업과 비교를 통해 향 후, 한-캄 농업 및 농촌개발의 방향을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일본과의비교를 위해 캄보디아 ODA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양국의ODA사업의 투자금액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JICA사업과의 비교를 통해 제안하는 한-캄 농업 및 농촌개발의 향 후 방향은 다음과 같다.첫째, ODA사업의 투자규모의 확대이다. 양국의 경제수준을감안하더라도 2006년의 경우 투자규모는 약 44배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근에는 양국의 투자규모의 차이가 줄어들고 있는 것은 고무적이고 규모 격차를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규모를 늘려야 한다. 투자규모뿐만 아니라사업의 기간도 늘려야 한다. 농업의 특성상 단기간에 농업발전을 위한 효과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가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사업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일본의 농업분야 ODA사업은 관개수리와 농지확보를 위한 지뢰제거를 전국에 걸쳐 시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국의 ODA투자도 투 트랙(Two-track)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한 방향은 지역의 환경과 특징을 고려한 사업의 확장이고 또 다른 방향은 전국적으로 시행이 가능하고 가장 중요한 사업을 선정하여 집중투자를 하는 것이다. 셋째, 농업분야뿐만 아니라 어업분야의 투자확대이다. 캄보디아는 바다와 아시아에서 가장 큰 호수를 가지고 있는 나라이지만 현재 어업분야에 대한 한국의 ODA투자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넷째, 농민이 참여하고 주도하는 농촌개발과 다제간(multi-disciplinary) 학문 및 분야가 결합된 사업의 개발과 적용이다. 농민의 참여를 통해 해외원조로 건설된 저수지나 시설물을 관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보건·문화·교육과 연계하여 농업분야는 기아 또는 빈곤문제를 개선하고 다른 분야는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통합적인농업 및 농촌개발 사업모델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하지만, 본 연구는 양국의 원조기관에 의해 수행된 농촌개발투자에 관한 특징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는데 촛점을 두었기 때문에 계량화된 지표를 가지고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는데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업이 대부분이긴 하나, 향후 종료된 사업이 국가 및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 또는 사업의 효과성이나 효율성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실증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한국보다 훨씬이전에 ODA사업을 진행한 일본의 캄보디아 농촌개발전략의실패 및 성공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은 한국의 농촌개발전략을 수립하고 추진하는데 있어서 타산지석(他山之石)의 자료가 될것이며 농촌개발사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4,000원
        48.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식기반의 사회에서 ICT를 활용한 교육 체제의 변화에 대한 개발도상국의 요청이 늘어남에 따라 Holistic Educational Systemic Change Model의 필요성이 날로 대두되고있다.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연구로써 개발도상국의 교육정보화를 통한 교육체제의 변화에 대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정착과 확산을 위한 Holistic Educational Systemic ChangeModel의 개념화를 위한 방향이 무엇인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 분야에서 대표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체제적 변화에 대한 논의를 통해 교육정보화를 통한 개발도상국의교육 체제의 변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국제교육협력에서의 개발도상국의 교육정보화를 위해 고려되어야 할 요소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Holistic EducationalSystemic Change Model의 개념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분석 결과 관련 연구물들에서 나타나고 있는 교육체제의 변화는 사회 패러다임의 전환에 기인하며, 이를 위해서는 체제적 접근을 통한 교육 체제의 설계가 필요하다. 또한국제교육협력에서의 교육정보화에 관한 사업을 위해서는 교육정보화 관련 정책과 리더십, 그리고 전략뿐만 아니라 교육정보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인적자원의 개발 및 훈련등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고려해야만 한다.이를 토대로 Holistic Educational Systemic Change Model의 개념화를 위해 필요한방향과 원리가 도출되었다.
        5,400원
        49.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개방화, 세계화의 심화로 국제사회 및 국가간의 상호의존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제개발협력의 역할과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또한 글로벌 시장의 개방과 경쟁이날로 심화되고 선진국 위주의 시장확대, 성장이 한계에 다다름은 물론 OECD DAC 가입등 외교적 국격향상에 따라 대개도국 국제개발협력 확대에 대한 내외부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이러한 대외환경의 빠른 변화는 정책 및 국제공조의 강화 등 거시적 수준의 변화뿐만 아니라 국제개발협력의 방법론의 미시적 수준의 변화를 동시에 요구한다. 이에본 연구는 국제개발협력의 방법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으로서 오픈 이노베이션의 가치를 검토 하였고, 특히 교육분야에서 오픈 이노베이션의 운영사례인 ALCoB을 분석하여 향후 국제개발협력 방법론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4,600원
        51.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全球化时代的东北振兴不仅具有重要的中国国内经济发展意义, 还有重 大的国际和地区战略意义, "韩中"双边物流合作, 对于从东北振兴迈向东北 亚大同, 具有举足轻重的作用。自上个世纪90年代以来, 朝核问题成为影响 东北亚和平稳定的主要因素, 在六方会谈框架下, 韩中双方在维护朝鲜半岛 以及东北亚局势的稳定方面积累了合作的经验, 两国的经济联系也日益密 切。在2008年金融危机背景下, 韩中经济均受到不同程度的冲击, 中国需要 通过拉动内需防止经济发展势头中断, 韩国和中国也需要寻找新的增长空间, 而东北振兴计划能够为解决上述矛盾找到出路。中国东部跨越、中部崛起、 西部开发都离不开东西和谐、南北合作。"韩中"在振兴东北问题上的物流合 作如果奏效, 有利于吸引更多的国际资本流向该地区, 而且韩国企业在安定 进军该市场,从而为该地区的稳定繁荣打下进一步的基础, 为通向东北亚大 同创造必要的条件。
        5,100원
        52.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식기반관점(KBV)에서 산학연 연구개발(R&D) 협력은 기업의 부족한 기술 및 지식을 획득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학연 연구개발(R&D) 협력에 따른 기업 성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협력 연구가 과연 기업 성과에 실제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협력 유형에 따라 기업 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한 2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R&D) 협력 비율 및 유형과 기업 성과와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기업 성과는 특허 출원 건수로 측정한 기술적 성과와 총자산수익률(ROA)로 측정한 경제적 성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개발(R&D) 협력 비율과 기술적 성과는 역U자형(inverted U-shape)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개발(R&D) 협력 유형 중에서 산산 협력 연구는 기술 적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산학연 협력 연구는 기술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제적 성과의 경우에는 연구개발(R&D) 협력 비율 및 유형과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소기업의 산학연 연구개발(R&D) 협력과 관련된 정부의 정책이나 기업의 전략을 수립하는데 큰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6,400원
        5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in objective of the present paper is to conduct a depth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operation of manufacturing corporations, their development of new products and performance in view of an empirical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from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on of manufacturing corporations and development of new products, it was found out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among such factors of new product development as development process, organizational culture and substructure when cooperation among corporations becomes intensive. Second,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of new products and financial outcomes showed that the factors of new product development like organizational culture and substructure do influence financial performance, while the development process don't. Third, in terms of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of new product development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it was analyzed that non-financial performance can be affected by such factors of new product development as development process, organizational culture and substructure.
        4,000원
        55.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은 ICT 활용교육 및 e-러닝 분야에서 개발도상국의 계속적인 관심을 받고있고, 이 분야와 관련하여 국제 사회로부터 적극적인 ODA(Official DevelopmentAssistance, 공적 개발 원조) 참여를 요구받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의 학자들과연구 기관에서는 ODA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본 연구는 국제학 및 국제교육협력 분야의 한국 전문가들의 연구보고서들을 분석하여 현재 한국 ODA의 제한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1) 수혜국에 대한요구분석 미흡, 2) 프로젝트 수행과정의 불명확성, 3) 원조국 및 수혜국의 전문가부족, 4) 프로젝트 수행 후 평가 및 관리 미흡, 5) 지속적인 프로젝트 발굴 결여로 나타났다. 각 제한점에 대해, 한국의 ODA를 개선하기 위한 원리들을 연결하여제시하였다: 1) 교육 분야에 초점을 맞춘다, 2) 컨설팅 과정 모형을 개발한다, 3)사업타당성 연구를 시행한다, 4) 프로젝트 관리체제를 구축한다, 5) ODA 프로젝트 보고서를 저장․관리한다.이러한 일반적인 원리들을 기반으로, ICT활용교육 분야에 초점을 맞춘 국제협력의 이슈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1)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인적자원개발에 더욱 집중해야 한다, 2) e-러닝을 통하여 보다 많은 세계의 사람들과조화롭게 살아갈 방법들을 고려해야 한다, 3)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보다많은 사람들이 미래교육을 위한 비전을 구성하고 공유해야 한다.
        4,300원
        56.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1 세기의 사회변화는 인류 구성원들에게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테크놀로지 활용 능력 등과 같이 새로운 핵심역량을 요구하고 있다.APEC 회원국의 교육관련 전문가들은 21 세기 핵심역량으로서 평생학습(life longlearning), 문제 해 결 력 (problem solving), 자기 관리 (self-management) , 팀 워 크(teamwork) 등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는 회원국의 차세대들이 성공적인 삶을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적인 능력이 무엇이고 또 그 능력을 어떻게 개발할 수있는가에 대한 교육공동체 차원의 고민과 논의를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특히 교육협력체로서의 회원국들이 교육과제들을 함께 해결하고 협력하는 방안에 대해고찰하였다. 21 세기 접어들면서 APEC 교육협력사업을 통해 선도적 역할을 수행해 온 우리나라의 활동 현황과 21 세기 핵심역량 개발을 위해 회원국과 협력하고또 이에 대한 국내의 대응 전략 등을 탐색해 보았다.
        6,400원
        57.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echnology growth and globalization of the market bring the age of knowledge based economy. These competitive environment require that the firms should cooperate among industry, academia, and institute. Cooperation between firms and universitie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business strategy in improving their business competences. This paper studied the factors of the firm involvement in the cooperation between firms and universities for technology development. To analyze the involvement factors, the data of 'R&D activity survey' of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MOST) were used. Based on results of the analysis, 6 factors such as firm size, the years of firms, ratio of the researchers, the ratio of collaborative investments, the ratio of new product development, and the number of property right were significant. As the technology cooperation get flourish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lay a meaningful role as an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academia policy for technology development.
        4,000원
        59.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n society has experienced a significant change during the last couple of decades. The importance of community life to the well-beings of the inhabitants has increased. A community is an area where inhabitants get together with other peoples. A community development is a process by which the inhabitants improve their leaderships to solve problems which are imminent to the people in the same area. The central government entrusts much of its job related to the social welfare to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has to draw abundant resources from its community for the well-beings of the inhabitants. Korean churches are required to be involved in the process of community development. During last couple of decades, Korean churches have not been active in contributing to their communities. Nowadays people do not have positive opinions towards the Church. The younger generation especially has an anti-Christian attitude towards the Church. It tends to be very hard to evangelize the non-believers because of such bad reputation. To change this situation, Korean churches have to reconsider their responsibilities concerning their participation in their communities. Seoul Jangsin University is located in Kwang-ju, which is nearby Seoul. In comparison to neighboring cities around Seoul, Kwang-ju city is underdeveloped. That is because the government put many regulations to preserve drinking water for the people of Seoul area. When churches located in Kwang-ju city try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development ministry, they have to understand the situations related to the welfare system. If they can cooperate with the local government, their services will be more effective and their influence more broad. CHE mission, a mission agency which has lots of experiences related to community development in an international scale, can help the local churches obtain much information and skill related to community development. The churches can cooperate with CHE Mission. In cooperation with CHE Mission, Seoul Jangsin University held a seminar for community development named “Salt and Light Training.” It is to prepare the leaders of the local churches with the necessary concepts and methods needed for community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e seminar is to facilitate the participation of the local churches in the process of community development in Kwang-ju. When the leaders of the local churches cooperate with the three sectors mentioned above, which are the local government, CHE Mission and Seoul Jangsin University, the resources of the churches can be utilized more effectively and strategically. In Kwang-ju city, local churches have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that way, even small churches can discover what the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city. CHE Mission has developed a strategy called “the Seed Project.” It is an implementation project starting from small deeds like cleaning the streets or helping chirldren cross the sidewalks. The Seed Project begins with examining the conditions of the inhabitants in the community. When Christians planning a seed project find the need of the inhabitants, they try to satisfy the need. With God‘s help, they can expect great results from small efforts. In the process of community development, it is important to cooperate with the people of the community. Community development has to be operated in cooperation with the inhabitants. Without their participation, developing the community can not persist. To bring about the long-term effects, the leadership of the inhabitants have to be developed. Community development is one of God’s plan of recovering the world. When the people of God participate in obeyance to God’s command, “love thy neighbors,” they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well-beings of their communities. At the same time, their beliefs will be confirmed to be cor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their beliefs.
        6,700원
        60.
        2008.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라인을 통해 세계는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으며 모든 영역에서 세계화 정보회는 국제적인 흐름이 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 속에 국내외적으로 시대적 흐름에 부합하는 인적역량 개발을 위한 국가 간 교육협력활동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다양한 형태의 교류활동 모형이 등장하고 있다. 시공간을 초월하여 누구나 접근이 가능하게 하는 온라인 기반 활동들은 이미 다국적 기 업들의 교육 훈련을 위해 오래전부터 활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학교 현장에도 도입되어 우리의 전통적 교육현장의 모습도 시공간을넘어서서 다양하게 바꾸어가고 있다.온라인 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국제교육협력과제활동을 수행하는 구성원들은 어느 한사람의 일방적인 지식 공여로 타자들의 지식 습득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와 배경을 가진 참여자들이 때로는 교수자가 되기도 하고 때로는 학습자가 되는 위치 순환적 과정을 통해 지식을 공유하고 의미를 형성해 나간다. 또한 그 과정에서 참여지들은 협력적으로 지식을 구축하는 사회적 학습과정을 경험한다.본 연구는 이러한 온라인 학습공동제 활동 과정에서 참여자들이 협력과제 수행활동을 통해 아이디어를공유하고 자신의 생각을 팀의 목표에 부합하도록 조율하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수행모델을개발하고 개발된 모텔을 과제 수행사례에 적용하였다. 수행모댈은 첫째 전체 과제 활동의 관리와 수행측면을 총괄하는 원리 둘째 원리를 토대로 구성된 수행단계와 단계별 활동 셋째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온라인 작업공간(웹 지원체제)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모델을 국제교육협력과제에 적용하여, 참여자들의 활동과정과 및 반응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향후 필요한 몇 가지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5,7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