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3

        61.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bile games’ proportion in domestic game industry has been rising steadily every year and in next couple of years, it is likely to surpass online games. Considering that mobile games’ lifespan is very short compared to online games, recognizing the user’s needs at the beginning is important.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in such game field. This research is about mobile games’ initial experience importance in temporal viewpoint. Furthermore, it has verified whether this depends on user’s characteristic. I have conducted observation experiment on users of ‘Lineage M’, mobile MMORPG game, for one week starting from the game launch and deducted the importance of initial experience using AHP analysis. Moreover,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users’ proficiency, the research provides understanding of diverse user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provides basic data for improving satisfaction of initial game users and extending them to long-term game use.
        4,000원
        62.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reveals the components of college women’s shopping orientations and compares the attributes of shoes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needs of consumers in the target market of young women by comparing the importance of shoe attributes with their shopping orientation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marketing strategies which could increase sales. Data was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Of a total of 330 questionnaires, 319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July to August 2016. The 17 shopping orientation-related questions and 13 questions about shoe purchase attributes were measured using a five-point Likert Scale. SPSS 23 was used to carry out: descriptive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and Duncan’s test. Shopping orientations were divided between brand orientation, pleasure orientation, trend orientation and utilitarian orientation. Shoe attributes were categorized into ostentation value, product value, economic value and aesthetic value. College women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groups: active shopping, passive shopping, rational shopping and conforming shopping.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the importance of shoe attributes by consumer type among college women, a significant difference by group was found in ostentation value and aesthetic value only. Furthermore, the average scores on the importance of product value and economic value were very high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study results would be available as basic data to help improving the visual image of shoes and product quality for brands targeting young women in the fashion industry.
        4,800원
        63.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reveals the components of college women’s shopping orientations and compares the attributes of shoes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needs of consumers in the target market of young women by comparing the importance of shoe attributes with their shopping orientation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marketing strategies which could increase sales. Data was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Of a total of 330 questionnaires, 319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July to August 2016. The 17 shopping orientation-related questions and 13 questions about shoe purchase attributes were measured using a five-point Likert Scale. SPSS 23 was used to carry out: descriptive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and Duncan’s test. Shopping orientations were divided between brand orientation, pleasure orientation, trend orientation and utilitarian orientation. Shoe attributes were categorized into ostentation value, product value, economic value and aesthetic value. College women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groups: active shopping, passive shopping, rational shopping and conforming shopping.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the importance of shoe attributes by consumer type among college women, a significant difference by group was found in ostentation value and aesthetic value only. Furthermore, the average scores on the importance of product value and economic value were very high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study results would be available as basic data to help improving the visual image of shoes and product quality for brands targeting young women in the fashion industry.
        4,800원
        64.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subjects were 302 adult males and females aged more than 20 year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outh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eline data to establish proper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food-related lifestyles on the importance of diet, purchasing behavior towards diet lunch boxes, and their selected attributes such as menu, packaging, and services. With respect to food-related lifestyle, a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five factors such as convenience factor, health factor, safety factor, taste factor, and economy factor obtained from factor analysis to derive the economy type, the taste and economy type, the convenience type, the safety type, and the health type. As a result, the respondents regarded 'food hygiene (4.59)', 'freshness (4.47)', 'taste (4.28)', and 'nutrient balance (4.19)' as the selected attributes of diet lunch box menus. Moreover, the importance of diet lunch box menus (β=0.179)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safety orientation. 'Shelf life label (4.42)' was the most important selected attribute of diet lunch boxes, followed by 'ingredient label (4.19)', 'nutrition facts label (4.16)', and 'indication of origin (4.15)'.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packaging for diet lunch boxes (β=0.203)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safety orientation.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attributes of services in purchasing diet lunch boxes, 'provision of personalized menus (4.07)' was the most important, and the importance of services for diet lunch box (β=0.160)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aste and economy orient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respondents gave importance to the selected attributes related to food safety and health such as hygiene and, freshness. In addition, they also placed emphasis on hygiene and safe factors such as shelf life, ingredients, and nutrition facts labels.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develop diet lunch boxes by taking these factors into account. Furthermore, in services for diet lunch boxe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establish a service system capable of providing consumers with specialized menu or nutrition counseling according to the food-related lifestyle for their proper health management. Particularly, because consumers place emphasis on both food hygiene and safety, and health,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thoroughly manage hygiene, safety, and nutrition in menu or packag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by considering these selected attributes in greater detail.
        4,600원
        65.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mprove the service tree analysis introduced recently by Geum et al. [15]. Service tree analysis structures the service based on the customer participation perspective and provides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categorizing the service elements on the basis of its impact to top service. This paper attempts to apply the concept of reliability importance to the service tree analysis as a perspective of quantitative analysis, which is considered little in Geum et al. [15]. Reliability importance is a measure of the structural impact of the components that make up the system on the system lifetime in reliability engineering field and often used in fault tree analysis. We transform the reliability importance into service importance in accordance with service tree analysis, so that the influence of service elements on the service can be judged and compared. The service importance is defined as the amount of change of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ervice element, therefore, it can be utilized as an index for determining a service element for service improvement. In addition, as an index for paired service elem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ervice components can be measured by joint service importance. This paper introduces conceptual changes in the process of applying reliability importance to service analysis, and shows how to use the service importance for identifying the priority of service element for the final service and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an example. By using the service importance and joint service importance in service tree analysis, it is possible to make efficient decision making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ervice elements for analyzing and improving the service.
        4,000원
        69.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11 basic attributes (fun, rules, goal, conflict, activity, decision making, spontaneity, artistry, system, network, fun, player).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importance of each attribute to 25 industry experts. The importance of each attribute was calculated through a pair comparison process according to the AHP theory, and the validity of each attributions was verified by calculating the consistency ratio.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ighest score was shown with fun (34.2%), with system (10.4%), goal (10.3%), art (8.8%), voluntary (6.8%), player (6.6%), rule (6.2%), decision making (5.0%), conflict (4.3%), activity (3.9%) and networks (3.7%). Finally, to verify the importance of the game attribution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importance of two successful games and two failed games to 50 game players.
        4,000원
        71.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광주광역시 안경사를 대상으로 계층화 의사결정방법(AHP)를 활용하여 안경원 경영향상 요인 중 요도 및 우선순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안경원 경영향상 요인 중 중요요인을 이원비교하기 위해 광주광역시 안경사를 대상으로 계층화 의사결정방법(AHP)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조사하였다. 안경원 경영향상 요인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은 일관성 확보를 위해 일관성 비율 0.1 미만일 때 분석하였다. 결 과: 계층화 의사결정방법 분석 결과 안경원 경영향상 요인 중 Level 2항목 중요도는 상품/서비스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Level 3항목별 중요도는 Level 3(01)은 전문안경사, Level 3(02)는 학교 에서 가까움, Level 3(03)은 홍보(전단지, 신문광고), Level 3(04)는 안경사의 신뢰성, Level 3(05)는 가격 의 적정성이 중요하다고 분석되었다. Level 3항목 우선순위는 안경사의 신뢰성(0.2552)으로 분석되었다. 결 론: 안경원 경영향상 요인 중요도 및 우선순위는 특정 관리자의 경험에 의존하던 안경원 경영을 좀 더 합리적이고 과학적 방법인 계층화 의사결정방법(AHP)을 적용함으로써 합리성을 높일 수 있으며, 그 결과 안경사의 신뢰성(0.2552)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4,300원
        72.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제주지역 안경사 특성에 따른 직무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를 분석하여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직무 능력을 갖춘 안경사 양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방 법: 2016년 4월 3일부터 2016년 5월 2일까지 제주지역 안경 관련 산업체에 근무하는 안경사 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응답자의 성별, 산업체 업종, 경력, 직위 및 사업장 주소지에 따라 직무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에 대한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결 론: 안경사의 특성에 따라 직무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따라서 산업 체에서 요구하는 직무분야별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특화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5,800원
        73.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changes depending on one’s lifestyle and personal inclination. Women want to show the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often through their clothing and makeup choices. Brand image includes those elements related to the brand. Advertising is the primary method for introducing bran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on emphasis of brand image and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targeting worki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e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was s sophisticated image. Preference for a sophisticated imag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phasis of brand image when selecting fashion products. Emphasis of brand image has a notable effect on the brand direct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brand’s direct and indirect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When selecting a fashion product (clothing and cosmetics), brand image importa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 brand’s direct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Therefore, fashion companies should take advantage of their brand logo. Companies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clothing and product containers used in advertising to show the brand. In addition, every company should create an advertising image that represents their overall brand, by using a combination of detailed advertising factor evaluation.
        4,300원
        75.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one of recent issues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internet of things has attracted attention to provide intelligent infrastructure services which connect and share data and information between real and virtual worl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se internet of things technologies, types of machines, telecommunication devices, and terminals are increasing tremendously. In this situation, connectivity and interoperability between internet of things components are important issues to build a hyper connected society. To visualize this society, it is important to set up and develop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tandards among stakeholders. However, under limited budget and human resources, it is essential to rank standardization work items for setting standards with respect to effici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method for setting standardization strategies within group decision making. As a multi-criteria group decision making tool,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is adopted and applied to determine the priorities of setting work items. The proposed method first defines decision making problem with objective, criteria, and alternatives which produces a hierarchy consisting of upper and lower criteria. Then, pairwise comparisons of academy and public sector experts are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ir relative meaning and importance. Individual surveys of expert groups are collected and summarized to determine relative criteria importance measures. Furthermore, to deliver reliable importance criteria measures, differences between academy and public sector expert groups are compared and tested using Mann-Whitney non-parametric test. The results are illustrated for useful guidelines to practical group decision making in standardization strategy establishments.
        4,000원
        7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탐방객 인식에 기반한 보다 분석적인 접근의 국립공원 시설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덕유산국립공 원과 태안해안국립공원 탐방객 대상 총 214매를 유효표본으로 기술분석과 중요도-성취도 분석 실시 결과 태안해안국립 공원은 지속적 관리노력 필요 항목이 4개, 저우선순위 항목이 3개, 과잉 노력 지양항목이 2개로 평가되었다. 덕유산국립 공원은 지속적 관리노력 필요 항목이 3개, 우선시정 필요 항목 1개, 저우선순위 항목이 4개로 나타났다. 관리상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2개소 모두 긍정적이며 국립공원 이용에 대한 종합적인 만족도 또한 3점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덕유산국립공원이 태안해안국립공원에 비해 두 분야 모두 더 높게 평가되었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은 세부 관리속성 모두에서 관리상의 미진한 점이 나타났다. 이는 산악형 국립공원과는 상이한 해상해안형 국립공원의 탐방특성에 기인 한 결과로 보이며 국립공원 유형별로 상이한 이용특성의 분석에 기초한 시설관리가 탐방만족 제고를 위한 필수요건으 로 판단된다.
        4,000원
        7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촌사회의 소득수준 및 생활수준 향상과 더불어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향상에 대한 요구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으며 이에따라 정부도 최근 다양한 방식의 농촌개발과 예산지원을 추진해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의 지원 시 시설의 종류 및 입지 선정이 적절하지 않아 시설의 중복투자, 이용부족으로 인한 시설방치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촌마을에 분포하고 있는 다양한 공공공간 및 시설의 분포를 분석하고 이들에 대한 농촌마을의 유형별 중요도를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방법으로는 100명을 대상으로 한 전문가 설문과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세 개의 농촌마을 유형 즉 거점면, 권역, 마을단위의 유형별로 주요 공공시설들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50개 마을을 분석한 결과 농촌마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공공시설은 마을회관, 쉼터, 체험센터, 마을진입부, 안내시설로 나타났다. AHP는 세 단계의 비교로 이루어졌는데 첫 번째 마을유형별간의 쌍대비교에서는 거점면, 권역, 마을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농촌 공공공간과 마을유형간의 쌍대비교에서는 모든 마을유형에서 기초생활시설, 문화 복지시설, 농촌관광시설, 소득시설의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마을유형과 공공공간, 공공시설 등 각각의 가중치를 종 합한 중요도에서는 거점면의 경우 공동주차장의 중요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상수도시설, 공동화장실, 마을회관 순으로 나타났다. 권역에서는 공동주차장의 중요성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상수도시설, 체험센터, 마을회관 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을단위에서는 버스정류장이 가장 중요한 시설로 평가되었으며 다음으로 저수지, 하수처리장, 체 험센터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록 마을의 독특한 사회문화적 환경을 고려한 공공시설의 중요도 평가에는 한계를 안고 있으나 농촌마을에서의 공공시설 계획 시 마을유형의 특성을 고려한 시설의 상대적 중요도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 로 적절한 시설을 선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7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유림 소유규모의 영세성과 분산성이 심각하여 합리적인 사유림경영이 어려워져 임업소득의 부진현 상이 계속됨에 따라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사유림경영규모화 모델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리경영제도에 계약한 임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사유림 산림경영에 관한 전반적인 현황파악 과 규모화 산림경영을 위한 중요도와 성취도를 파악하였다. 대규모 산림경영을 위해 요구되는 사항의 신뢰도 분석결과 크론바흐 알파계수(cronbach’s alpha coefficient)는 0.991로 나타났다. 중요도-성취 도 분석(IPA)결과 인력 및 임업장비의 보급체계 확립이 우선시정이 필요하고, 국고지원 확대에 따른 초 기 투자비용 절감이 지속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소득사업 활동의 신뢰도 분석결과 크론바흐 알파계수는 0.991로 나타났고, 중요도-성취도 분석(IPA)결과 수익간벌 등에 의한 우량 대경목 생산에 따른 소득과 단기소득 임산물을 통한 소득(산양삼, 더덕, 고사리 등)이 지속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분석 되었다. 소득분배 방안의 신뢰도 분석결과는 크론바흐 알파계수는 0.986으로 나타났고, 중요도 분석결 과 계약면적에 따른 소득분배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중요도-성취도 분석결과를 현재의 대리경영제도에 적용한다면 산주의 의견이 수렴된 보다 합리적인 산림경영이 가능할 것으로 판 단된다.
        4,000원
        80.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설원예 작물 재배 농가들을 대상으로 응답자들의 항목별 선호도를 분석하고, 농업현장에서 농민들이 체감하는 원예단지에 대한 만족도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평가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크게 생산관련 소모품 공동구입, 온실시설 기자재 공동구입, 공동 육묘 생산, 공동 냉난방시설 사용, 공동출하, 토양 검사 및 인증제도를 포함하는 공동 활동부분과 생산기술정보, 온실시설관리정보, 유통관련정보, 생산기술교육, 온실시설관리교육, 유통관련교육을 포함하는 정보교류 및 교육부분으로 나누었다. 공동활동 부분의 IPA분석결과 소모품 공동구입, 기자재 공동구입, 공동출하 항목이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아 지속적인 유지가 필요하며, 공동육묘 생산, 공동냉난방 시설 등 2개 항목은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아 우선순위를 낮추어도 될 것으로 판단된다. 소모품 및 기자재 공동구입에 대한 단지별 생산자 니즈를 파악하고, 원예전문생산단지가 수출집중형인 경우에는 공동출하 체계를 적극 활용해 수출대상국별 경쟁력 있는 교섭권을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한편, 육묘장과 냉난방시설의 경우, 정부지원을 받아 시설을 소유하고 있는 비율이 높기 때문에 중요도-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CO2 저감을 위한 환경친화적 신재생 에너지의 활용 및 지속가능한 농업의 관점에서 고찰해보면, 에너지 이용 효율성 제고 및 환경 친화적 원예단지 조성이 중요한 부분이라는 것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또한, 토양 검증 및 인증 항목은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높아 과잉관리가 개선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원예전문생산단지 평가 지표에서 가점을 주는 평가항목들이기 때문에 이미 잘 관리가 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정보교류 및 교육부문의 IPA분석결과 가장 집중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요인으로 생산기술 교육이었으며, 원예전문단지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생산기술 교육을 타 교육(온실관리 및 유통관련 교육) 보다 집중적으로 실시해야할 부분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생산기술 정보, 온실시설 관리정보, 유통관련 정보는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아 지속적으로 잘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는 요인들이다. 다양한 정보에 대한 응답자들의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기 때문에, 농가들의 적극적인 정보 교류를 활성화 시키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구성원들의 정보교류 어플리케이션, SNS 활동 혹은 홈페이지 활용, 공식적인 정기모임 및 정보교류 회의를 위한 협의체를 구성 등을 들 수 있겠다. 온실관리 교육, 유통관련 교육의 2개 요인에 대해서는 우선순위를 낮추어도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생산성 향상 및 시설원예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 주도의 시설원예단지 규모는 더욱 확대될 것이므로, 본 연구의 결과가 원예전문생산단지의 운영에 효율적으로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