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과체중과 정상체중의 비글견 사이에서 미네랄 소화율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중성화 된 건강한 비글견 11마리(47.7개월령 ±0.14)의 Body condition score (BCS)를 기준으로 Normal BCS 그룹(BCS≤5, n=5)과 High BCS 그룹(BCS ≥6, n=6)의 두 그룹에 배치하였다. 시험사료는 반려견의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하도록 제조하여 개체 별 에너지요구량에 맞춰 일일 2회에 나누어 14일 동안 급여하였다. 미네랄의 외관상 전장 소화율은 0.5% 산화크롬(Cr2O3)을 이용한 지시제법을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사료와 분변 내 Macro 미네랄(K, Mg, P, Na, Ca)과 Micro 미네랄(Se, Fe, Zn, Cu, Mn)의 함량은 유도결합플라즈마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체중과 BCS는 Normal BCS 그룹 보다 High BCS 그룹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시험기간 동안 두 그룹 내 각각의 체중과 BCS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미네랄 소화율을 평가한 결과, Macro 미네랄 중에서는 마그네슘, 인, 칼슘의 소화율이 High BCS 그룹에서 높은 경향으로 관찰되었으며(p<0.1), Micro 미네랄 중에서는 High BCS 그룹에서 망간의 소화율이 유의하게 높았고(p<0.05), 셀레늄과 아연의 소화율은 높은 경향(p<0.1)을 나타내었다. 또한, 통계적인 유의성과 관계없이 분석한 모든 미네랄 지표에서 High BCS 그룹이 Normal BCS 그룹보다 높은 소화율의 결과를 보여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글견에서 과체중 또는 비만이 미네랄 소화율의 변화를 유도할 잠재적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4,000원
        2.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ody condition score (BCS) is a useful management tool for distinguishing differences in nutritional needs of cows in the herd. Although it is not always possible to quantify the nutrient content of the feed supplied to the donor cow, the nutritional status can be determined by the BC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in vivo embryo production, return to estrous of donor and pregnancy rate of recipients following BCS in Hanwoo superovulation. Sixty nine Hanwoo donor cows were flushed on day 7 of estrus cycle with same FSH and artificial insemination by the same technicians. Embryos were recovered on 7 days after the third insemination by flushing the uterus with Embryo Collection Medium.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efficiency of superovulation rates regardless of BCS (≦2.0, 2.5 to 3.0, and ≧3.5). The mean number of total embryos was each 5.20±0.86, 11.56±1.04, and 6.23±1.07. The mean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 from ≦2.0, 2.5 to 3.0, and ≧3.5 of BCS was 2.60±0.87, 7.94±0.89, and 4.75±1.32, respectively (p<0.05). Return to estrous regardless of donor BCS was no difference. The pregnancy rates of recipient were BCS ≦2.0 11.76%, 2.5 to 3.0 40.79%, and ≧3.5 11.11%, following transfer of fresh embryos produced in vivo,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f the Hanwoo with BCS 2.5 to 3.3 are used for donor and recipient, the embryo production and the conception rate will be greater.
        4,000원
        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the transferable embryos and estrus expression rate, BCS (Body Condition Score), which affect the nutritional state of the cow, in Holstein donor cows. CIDRs were inserted into the vaginas of twenty two head of Holstein cows, regardless of estrous cycle. Superovulation was induced using folliclar stimulating hormone (FSH). For artificial insemination, donor cows were injected with and estrus was checked about 48 hours after the injection. Then they were treated with 4 straws of semen 3 times, with 12-hour intervals. Embryos were collected by a non-surgical method 7 days after the first artificial insemination. When BCS was 2.5, the total number of collected ova was 7.3 + 1.9, which is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he numbers 15.4 + 2.8 and 15.4 + 2.1 that were obtained when BCSs were 2.75 and 3.0, respectively. Whereas the numbers of transferable embryos were 5.2 + 1.4 when BCS was 2.5, which was smaller than the numbers 6.0 + 2.1 and 8.5 + 1.8 that were obtained when BCSs were 2.75 and 3.0, respectively;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As for estrus induction rate, the cow groups whose BCSs were 2.75 and 3.0 showed 100.0% and 95.0%, respectively. Whereas the cow group whose BCS was 2.5 showed 57.1%, and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p< 0.05). As for estrous expression rate, the cow groups whose BCSs were 2.5, 2.75 and 3.0 showed 100.0%, 100.0% and 85.7%, respectively;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considered that the total number of collected ova and the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will be affected by the nutritional state before and after in vivo embryo production and superovulation treatment, and that although the mechanism is not clear, poor stockbreeding management and nutritional level would cause the decrease of ovum recovery rate and the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in high-producing cows. On the other hand, diverse researches on the superovulation treatment method that is suitable for high-producing Holstein donor cows would contribute to preventing ovarian cyclicity disorder, as well as to the early multiplication of cows with superior genes 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value of donor cows.
        4,000원
        6.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에서 BCS는 영양관리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BCS 조건에 따라 번식 성적에 영향을 주며 난소활동 재개 지연 등의 현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 라에서 수정란 이식기술은 우수종축의 우수한 유전능력을 단기간에 확대 보급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용하고 있다. 수정란 이식 기술은 단기간에 다수의 수정란을 확보 할 수 있고, 우수한 종축의 능력을 증식 · 보존할 수 있는 기술로 전 세계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기술이 다. 본 실험은 한우의 BCS별 체내수정란 회수율과 이식가능 수정란의 비율을 비교하였고, BCS별 채란일로부터 발정재귀까지의 기간을 비교 조사하였다. 본 실험은 국립 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에서 보유중인 한우 55마리를 공시하고, BCS 2.5 이하인 개체 8두, BCS 3.0인 개체 36두, BCS 3.5이상인 개체 11두, 세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발정주기에 관계없이 CIDR를 질 내에 삽입하고, 4일 후부터 FSH(안토린) 28 AU를 12시간 간격으로 주사하고, FSH(안토린) 주사 3일째 CIDR을 제거함과 동시에 PGF2α (Lutalyse) 3 ml을 주사해 과배란을 유기하였다. 인공수정은 PGF2α(Lutalyse) 주사한 뒤 발 정 확인 후 12시간 간격으로 3회 실시하였다. 1차 인공수정 전 GnRH 1.0 ml을 주사하고, 수정란 회수는 1차 인공수정 후 8일째에 3-Way Catheter를 이용해 실시하였다. 발정재귀 확인은 채란 후 발정확인일까지의 날짜 수로 계산하였다. BCS 2.5 이하, 3.0, 3.5 이상 그룹에서 회수된 총 수정란 개수는 각각 44개, 363개, 87개 였으며, 평균 회수란의 개수는 각각 6.29±1.91개, 12.96±1.50개, 7.91±1.68개였다. 평균 이 식가능한 수정란의 개수는 각각 5.43±1.67개, 8.50±1.41개, 4.82±1.79개로 BCS 3.0인 집단 이 다른 그룹에 비해 높은 수정란 회수율과 이식가능 수정란 회수율을 보였다. 발정재귀일 까지 걸리는 기간은 각각 평균 28.40±1.94일, 22.38±4.02일, 19.22±6.76일로 나타나 유의 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 적절한 BCS는 체내수정란 회수시 수정란 회수율과 이식가능한 수 정란의 비율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BCS와 채란 후 발정재귀일의 관 계는 집단 내 개체간의 차이가 큰 것으로 사료된다.
        7.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우 60두에 대하여 발정주기에 관계없이 CIDR를 질내에 삽입 후 4일째부터 성선자극 호르몬(안토린) 28AU를 4일간 12시간 간격으로 근육주사 하였다. 투여 3일째 CIDR를 제 거하였으며, 동시에 PGF2α 25 mg을 근육 주사하여 과배란을 유기하였다. 공란우의 인공 수정은 PGF2α 투여 후 발정을 확인하고 12시간 간격으로 2회 인공수정 하였으며, 1회 인공수정 전 GnRH 100 μg을 근육 주사하였다. 수정란 회수는 1차 인공수정 후 7 8일 째에 비외과적 방법으로 채란하였다. 총 60두를 공시하여 55두에서 발정이 유기되었으 며, 발정 및 승가는 유기된 55두 중 각각 2두, 34두 및 19두에서 발정 발현을 보였다. 발 정 유기율에서 BCS 2.25 2.75와 2.75 이상인 우군에서는 97.1% 및 95.0%인 반면 2.25 미만인 우군에서는 40.0%로 유의적인(p< 0.05) 차이를 보였으며, 승가율에서도 BCS 2.25 2.75인 우군에서 94.1%, 2.75 이상인 우군은 89.5%를 보인 반면 BCS 2.25 미만인 우 군에서는 50.00%로 BCS 2.25 이상인 우군에 비해 유의적(p< 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과배란 처리 우군의 발정 유기율, 승가율과 BUN 수준과의 관계에서는 10 mg/dl 이하 우 군, 11 18 mg/dl 사이 우군 및 19 mg/dl 이상인 우군에서 각각 77,8%, 95.1%, 90.0% 및 85.7 %, 92.3%, 88.9%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본 연구 결과 나타난 BUN 의 수준에 따라서는 발정 유기율 및 발현율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BUN 의 수준이 기준치 보다 낮을 경우는 대부분 사료섭취량의 부족한 것으로 판정을 하고 높 을 경우는 사료내 에너지의 부족에 기인한다고 해석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BCS가 2.25 이하일 때 총 회수된 난자 수는 11.5개로써 2.25 2.75와 2.75 이상일 때 보다 적게 회수됐다. 이식가능 수정란 수에서도 2.5 2.75와 2.75 이상 이상일 때에 비해 2.25 이하 일 때 4.5±0.7개로 5.9±1.8, 5.6±2.3개에 비해 적게 나타났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BCS 수준별 이식가능 수정란과의 관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 이지 않았지만 신체충실지수(BCS)는 소의 영양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 며, BCS의 저하는 번식성적에 나쁜 영향(Markusfeld 등, 1997)을 줄 것이다. 공란우의 과 배란 처리 전․후의 영양상태는 총 회수난자 수 및 이식가능 수정란 수에 영향을 미칠 것 이며, 기전과 요인에 대해서 명확하지 않지만 이러한 영양 수준 및 생화학 수준에 의해 난자 회수율 및 이식가능 수정란 수의 저하가 초래할 것으로 생각된다.
        8.
        2011.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strous expression, body condition score (BCS), blood urea nitrogen (BUN) and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reproductive performance in blood of Hanwoo donors. Sixty, at random stages of the estrous cycle, received a CIDR. Four days later, the animals were superovulated with a total of 28AU FSH (Antorin, 2AU=1 ml) administered twice daily in constant doses over 4 days. On the 3th administration of FSH, CIDR was withdrawn and 25 mg PGF2α was administered. Cows were artificially inseminated twice after estrous detection at 12 hr intervals. The cows received 100 μg GnRH at the time of 1nd insemination. Embryos were recovered 7 or 8 days after the 1st insemination. The estrous inducement rate and estrous expression rate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cows with BCS below 2.25 than for cows with BCS above 2.25. There was 50.0% of rate of mounting in cows with BCS below 2.25 whereas the rate of mounting was markedly increased in cows with BCS above 2.25 (94.1% and 89.5% for BCS 2.25~2.75 and BCS above 2.75 cows, respectively). Cows with BCS <2.25, 2.25~2.75 and ≥2.75 had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of 4.5±0.7, 5.9±1.8 and 5.6±2.3 respectively.
        4,000원
        11.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번식 효율 증진을 위해 BCS, BUN과 발정 발현과의 관계를 조사하였으며, 공시된 홀스타인 젖소 51두 중 37두에서 배란 및 28두에서 발정 발현을 확인하였다. 발정 유기율에서 BCS 와 인 우군에서는 각각 78.9% 및 73.9%인 반면 2.0 미만인 우군에서는 55.6%로 유의적인(p<0.05)차이를 보였으며, 발정 발현율과 승가 허용율에서도 BCS 인 우군에서 각각 73.3% 및 46.7%이고 BCS 인 우군은 각각 88.2% 및 6
        4,000원
        13.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젖소에 있어서 분만후 난소 활동의 재개 및 분만후 40일째 BCS가 (PPC) program 적용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2년부터 2003년까지 2년간에 걸쳐 축산연구소 및 천안 소재 전문 경영체 젖소농 장에서 사육중인 홀스타인 착유우를 대상으로 분만 후 난소 활동의 재개를 조사하기 위한 착유우21두 및 분만후 40일째 BCS가 PPC program 적용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착유우 40두를 공시하여 수행한 결과 다음과
        4,000원
        15.
        200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능력 젖소와 보통능력 젖소의 번식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progesterone을 분석하여 분만후 초발정일을 추정하였고, 번식자료를 통하여 분만 후 번식성적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비유능력 및 Body condition score(BCS) 에 따른 program 투입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분만 후 40일째에 를 1차 처리한 후 발정이 발현되지 않은 개체에 대하여 1 차 처리후 14일째에 다시 2차 를 처리하였고 2차 처리후에도 발정이 발현되지 않은 개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