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eongpungheukhyangchal' New aromatic, black pericarp and glutinous rice variety was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Chungbuk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n 2012. This cultivar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Shindongjin' as a grain quality source and 'Heugseonchal' as a black glutinous and aromatic source. The donor parent, 'Sindongjin' has been backcrossed one time with recurrent parent 'Heugseonchal' and selected by the pedigree breeding method, until F6 generation. As a result, a promising line, CBR11-2-4-3, was advanced and designated as the name of ‘CBR L3’ in 2009. The maturity period of this cultivar took approximately 168 days from seedling to heading. This cultivar has about 15 tillers per hill and 115 spikelet numbers per panicle. Ripening ratio is about 76.5% and 1000 grain weight is 27.2 g in brown rice. Milled rice of 'Cheongpungheukhyangchal' has trait of glutinous and aromatic endosperm. It has higher anthocyanin content compared to that of black pigmented check cultivar ‘Heugseonchal’. The yield performance of brown rice was 5.39 MT/ha in local adaptability test for three years. ‘Cheongpungheukhyangchal’ is adaptable to central plain and southern mid-mountainous area of Korea.
        2.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선향흑미는 밥쌀용 쌀에 현미 기능성 성분인 종피에 유색색소 C3G의 함량을 높이고 쌀에 구수한 향을 추가하여 식미 증진을 목적으로 종피가 흑자색인 수원477호(흑광)를 모본으로하고 C3G 성분이 많고 쌀에서 구수한 향이 있는 CG2- 2-75-4-1-22-3을 부본으로하여 2002년 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육성하여 2007~2008년 2년간 생산력검정시험 2009~2011년 3년간 지역적응시험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1년 12월 농촌진흥청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품종으로 선정되었다. 이 품종의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출수기는 8월 11일로 중부평야에서 흑진주벼 7월 24일보다 늦는 중생종 품종이다.2.간장은 89 cm로 흑진주보다 8 cm 정도 크고, 주당수수는 흑진주벼와 비슷한 14개이며 수당립수는 122개로 흑진주 100개보다 많다. 현미천립중은 17.0 g 이다.3.도열병에는 강하지는 않으나 흰잎마름병에 강하고 줄무늬잎마름병은 중정도로 강하다.4.불시출수는 없고 성숙기 하엽노화는 흑진주벼와 같이 늦으며, 수발아는 6.6%로 적은 편이다. 내냉성과 도복은 약한 편이다.5.전국 7개 장소의 평균 현미수량은 4.75 Mt/ha 이다.6.아밀로스 함량은 19.7%로 메벼이며 향이 흑진주벼에 비하여 강하다. 7.현미색은 진한 검정색으로 안토시안 함량은 136 mg/100g,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 함량은 529 mg/100g 이다.8.재배적응 지역은 중부평야 및 호남평야이다.
        3.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흑설'은 중생이며 흑색이며 연질 그리고 메벼인 가공용 품종육성을 위하여 1999년 메벼 연질인 '설갱'를 모본으로 하고 흑색 유색미인 '흑진주'를 부본으로 교배하고 SR25946-B-B-17-2을 선발하여 수원505호로 계통명을 부여한 후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년 동안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7년 12월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품종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흑설'로 명명하였다. '흑설'의 출수기는 보
        4.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석흑찰(수원512호)은 생리활성기능을 가지고 있는 안토시안 함량이 높고 중생이며 흑자색 찰벼 품종을 개발하고자 유색찰 우량계통 SR18638-B-B-B-18-2와 흑자색 유색미 유전자원 흑미 H31을 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육성한 신품종이다. 선발된 우량계통에 대해 2005년부터 2006년까지 2년간 생산력 검정시험을 수행한 결과, 중생이고 색소의 착색과 수량성이 양호한 SR24098-17-2-2-3-2-2 계통을 선발하여 '수원 512호'로 계통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