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피섬유만을 사용하여 한지를 제조함에 따라 폐기되어지는 닥나무 목질부로 세라믹을 제조하여 기능성 한지의 첨가제로 이용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양한 조건에서 제조된 닥나무 세라믹을 첨가한 한지의 원적외선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는 수지함침율과 탄화온도가 높을수록 저하되었고 세라믹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상승하였으며, 세라믹의 첨가로 90% 이상의 비교적 높은 방사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세라믹 한지의 포름알데히드에 대한 탈취율은 수지 함침율과 탄화온도가 높을수록 점차 감소하였지만 세라믹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상승하여 전체적으로 70% 이상의 의미 있는 탈취율을 나타내었다.
        4,000원
        2.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인 한지의 다양한 용도를 개발하고, 인피섬유를 주원료로 하는 한지의 특성상 폐기되어져 왔던 닥나무 목질부를 이용하여 기능성 재료인 세라믹의 제조 및 한지벽지에 이용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다양한 조건에서 제조된 닥나무 세라믹을 첨가한 수초지는 세라믹 제조 시의 수지함침율, 탄화온도 및 세라믹의 첨가량에 따라 전반적인 물리적 성질은 감소하였으나 인열지수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또한 투기도의 경우에서는 세라믹이 닥섬유의 섬유결합을 저해하여 크게 증가하였다. 한편, 한지벽지로서 습윤인장강도, 일광견뢰도, 습윤마찰견뢰도, 은폐성 등은 KS 벽지 규격을 만족시켰으나 건조마찰견뢰도는 규격에 미달되어 이에 대한 보완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폐기성 닥나무 목질부를 활용하여 세라믹을 제조 및 한지벽지에 이용함으로서 닥나무 목질부의 다양한 활용도 개발과 양호한 품질의 한지벽지를 제조하는데 충분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3.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피섬유로 한지를 제조하고 남은 닥나무 목질부를 고부가치화 하기 위하여 닥나무 목질부로 제조된 파티클보드를 이용하여 탄화온도 변화에 따른 닥나무재료 우드세라믹을 제조하여 물성을 검토하였다. 밀 도, 휨강도성능, 브리넬 경도, 압축강도 등은 탄화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밀도와 휨강도성능, 경도, 압축강도사이에는 유의성이 인정되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000원
        4.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xidative DNA damage negatively affects humans and the research is currently ongoing to find ways to reduce oxidative stress. Oxidative stress has been identified as a key factor in triggering various diseases. Thus, its alleviation is important for human health. Broussonetia kazinoki (B. kazinoki)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s a dermatological therapy to treat burns, pruritus, and acne. B. kazinoki is generally segregated into peeled root (PR), root bark (RB), peeled stem (PS), and stem bark (SB). To assess these components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on against DNA damage, their ethyl acetate fractions were examined by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factors involved in attenuating DNA damage, the protective effect of SB on oxidative stress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p-p53 and γ-H2AX. Additionally, the levels of p53 and H2AX mRNA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B component of B. kazinoki had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n effective natural antioxidant compared to the other parts of the plant.
        5.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Phenolic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twig of Broussoneita Kazinoki. Their structures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extensive spectroscopic (MS, 1D , and 2D NMR) data analysis and by comparison with the spectroscopic data reported in the literature. Methods and Results : The twig of B. Kazinoki were extracted 60% aqueous ethanol for 3 days at room temperature. The extract was filtered and concentrated by vacuum evaporator. And then, extract was partitioned using hexane, methylene chloride (MC), ethyl acetate (EtOAc), n-butyl alcohol (BuOH) and H2O, successively. The extraction was separated by using prep-HPLC, and the structure was analyzed by Mass spectrometry (MS) and 1H-, 13C-, 1H-1H COSY, HSQC, HMBC NMR data. Conclusion :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chlorogenic acid (1), ferulic acid (2), p-coumaric acid (3), taxifolin (4), marmesin (5), 5-methoxy marmesin (6), pinoresinol (7), syringaresinol (8), quercetin (9), broussonin A (10), broussonin B (11), broussoflavonol A (12), broussoflavonol B (13), kazinol A (14), and 5,7,3',4'-tetrahydroxy-3-methoxy-8,5'-diprenylflavone (15).
        10.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고분자 마이크로입자에 닥나무 뿌리 추출물을 함유시켜 닥나무 뿌리 추출물의 안정도와 상용성을 성공적으로 향상시켰다. 마이크로입자를 구성하는 고분자의 비율에 따라 마이크로입자에 함유된 닥나무 뿌리 추출물의 장기안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마이크로입자의 물리적 강도를 높여주기 위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도입 하였으며, 이는 마이크로입자에 안정화시킨 닥나무 뿌리 추출물의 안정도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광학현미경, 편광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고분자 마이크로입자의 물리적 안정도를 관찰하였고, in vitro 실험을 통하여 고분자 마이크로입자로 안정화된 닥나무 뿌리 추출물의 미백 효과도 잘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