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한국어 학습을 위한 웹 기반 한자 사전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중국 문화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이 연구에서는 웹 기반 한자 사전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기존 사전의 한자 단어 학습의 문제점 을 분석하였다. 한자 단어 학습 시 한자 원어 형태소 인식이 중요하다고 보고 이를 반영한 별도의 팝오버 (popover) 창을 개발하였다. 한자 사전의 미시구조에는 항목, 단어 유형, 발음, 한-베트남어 단어(있는 경우), 한자의 어원, 한-베 소리(voice)가 포함되며, 이밖에 베트남어 어원에 대한 설명, 한자의 원래 형태소 와 관련된 한-베 단어, 번역, 설명, 예시 등이 포함되어야 함을 밝혔다. 그런 다음, 한자어 형태소와 한자- 베트남어의 발음을 포함하는 어원 틀, 베트남어 및 한자어의 한자 형태소 의미를 포함한 웹 사전을 구성하 고 그 활용 방안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한자어 형태소와 관련된 베트남 단어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고, 프로그래밍 기술,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과정, 300개 규모의 한자 사전 모델을 제시한 기초연구로써 이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웹 한자 사전 구축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본고는 표준 중국어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绕口令’ 자료를 활용하여 제3성과 제 2성에 중점을 둔 성조 교육 방안을 설계하고, 이를 직접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수업 설계 방 안을 제시하였고, 3장에서는 수업의 구체적인 운영 및 결과, 만족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마지막 4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성과를 종합하였다.
본고는 중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30개의 단어 연상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0대 대학생의 인지적인 측면의 특징을 살펴보고, 어휘 교육 방법에 적용하고자 하 였다. 사회가 변하면서 일부 단어 연상의 결과가 예전의 인식과 달라지고 있다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일부 추상적인 단어에서는 반응어 종류가 매우 다양한 것으로 나 타났다. 특히 형용사 ‘빨갛다’의 경우 예전의 설문조사에서는 출현하지 않았던 단어 들이 많이 출현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반응어 종류가 가장 많은 것은 품사별로 명사 ‘책’과 ‘영화’, 동사 ‘좋아하다’, 형용사 ‘기쁘다’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적용 할 수 있는 어휘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conducts a multidimensional quantitative data analysis of writing scores and related variables such as word frequency, stroke number, and the number of components in the corpus of Chinese character acquisition of primary Chinese learners from non-Chinese culture circles, and then analyzes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rules of Chinese character acquisition reflected in the data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psychology. Data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stroke number effect” and “component number effect” when learners write Chinese characters, and the influence of the stroke number and component number on writing depends on the level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whole book frequency, and the dividing line is about 200.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rule, frequency, stroke number and component number affect the whole process of perception, memory and extraction of Chinese character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methods of Chinese characters with different frequencies when writing. Learners use compressed and holistic recognition for high-frequency words (frequency>200), while partial and feature recognition for medium and low-frequency words (frequency≤200), and the basic units of feature recognition are strokes and components.The score of wrongly used characters i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requency, strokes and components, and the cognitive rules reflected by wrongly used characters need further study.
This article reports on an experimental study that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conditions of listener backchannels on the fluency of L2 speakers. The participants were 15 advanced Chinese learners of Korean who performed oral tasks in three different backchannel conditions: (1) verbal + nonverbal (V+NV), (2) nonverbal-only (NV), and (3) no backchannels (NB). The verbal backchannels included “[ŋ~] (Non lexical verbal form)”, “[ne]”, “[ɑ]”, “[ɨm]” while the nonverbal backchannels involved head nodding. Fluency was assessed via three temporal measures: Rate A, Rate B and MLR. The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5 package. The results showed that 15 Chinese participants in the NV condition were more fluent than in the V+NV or NB condition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V+NV and NB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nverbal backchannels may facilitate the fluency of advanced Chinese learners of Korean during oral tasks depending on the nature of backchannel use in their L1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s. The present research theoretically broadens the scope of both fluency and backchannel studies and provides valuable data and methods for empirical studies on backchannels to Korea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geminate consonant errors(안에 [an.ɛ] → *안네[an.nɛ]) produced by Chinese learners during their acquisition of Korean linking sounds within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The study was further intended to find possible constraints and causes applicable to the error. This paper argues that this error results from the interplay of the Align-R constraint, where the boundaries of a morpheme and syllable are aligned in the learner’s mother tongue, and the onset constraint, which is required for CV, a universal linguistic syllable. This study identifies the cause of the geminate consonant errors among Chinese leaners as the consequence of the simultaneous influences of interference from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and of linking sounds, which occur universally in linguistics.
This study reports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EFL students’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ward online and face-to-face English language learning modes during COVID-19. Few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how students thought of online and face-to-face learning experiences of subjects regarding new concept learning and delivery of new contents. Research gravitating around English courses showed students' mixed percep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302 Korean and 337 Chinese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communication-oriented English cours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qualitative data analysi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preferred face-to-face English learning with some specific indications of achieving a stronger help and quality for communicative competence in language. Online learning also benefited students with a sense of both flexibility and independence. Positive components of face-to-face learning for language education might be considered for online education while incorporation features such as flexibility and independence to enrich language education during COVID-19.
본 논문은 베트남 중국어 학습자의 중국어 학습 코퍼스를 이용하여, 베트남 학습자의 복합추 향보어 인신의의 습득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베트남 학습자들의 모델은 “U형 태의 행위모델”임을 알 수 있었다. 습득과정에서의 오류 유형은 다양한 형태로 분석되었으나, 복합추향보어 “冗余”의 인신의의 경우 모든 학습 단계에서 주요한 오류로 파악되었다. 이는 모어의 전이과정과 몾적어의 규칙의 변화로 인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화자들과 비교해 볼 때 베트남 중국어 학습자의 복합추향보어인신의를 더 적게 사용하 려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본고에서 보충적 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impoliteness strategies and impoliteness formulas in Korean learners’ interlanguage complaints, focusing primarily on advanced Chinese learners. Discourse Completion Test(DCT) was utilized to investigate interlanguage complaints, with each scenario provid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with information on publicness, familiarities between the interlocutors, and their social status levels. Impoliteness, as well as politeness, were examined. In the meantime, the effect of those three factors above on the selecting impoliteness strategies or politeness strategies were also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atterns of impoliteness strategies, learners were more inclined to use impoliteness strategies in private scenarios compared to those public scenarios, to hearers with equal or lower social status compared to those with higher social status, and to familiar hearers compared to those unfamiliar.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impoliteness formulas, learners showed a high proportion of bald-on impoliteness strategies in all the 12 scenarios. Secondly, some of the learners failed to use honorifics in certain scenarios, damaging decencies of their hearers and even in being regarded as interlocutors with improper manners. Lastly, most of the learners neglected negative politeness, which is by no means less important that its positive counterpart.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novations are taking place in the education field, with smart device-based Chinese educational applications drawing attention.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educational applications in Korea, China, and the U.S., and explores possible directions to design effective applications for Korean young learners. A total of 179 applications from three countries were investigated and classified based on educational application criteria. Among them, the top five applications were selected from each country using ratings and reviews. Each application was then evalua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pplications from the U.S. were the highest scoring overall and highest in terms of content, with applications from China highest in terms of function. The result also presented three common problems, which are limited types of applications, the absence of camera function utilization, and the lack of learning activities to experience Chinese culture. This study recommends further discussions on Chinese educational applications with the broadened scope of application types and target learners.
본 논문은 非目的语의 환경에서 베트남의 한어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지필 테스트(paperand- pencil test) 방식으로 그들의 한자 형방 인식의 발전 과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베트남 한어학습자들이 초·중급 단계에 있을 때 여전히 스스로 형방을 인식하지 못하였으나 고급 단계에 진입한 후 형방을 비교적 스스로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체계적인 한자 이론 지식 교육은 학습자들이 한자 형성자의 형방에 대한 인식과 그 발전에 도움이 되었다. 중국 유학생들과 비교 연구를 통하여 본 논문은 서로 다른 언어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형성자들을 인식하는 데 있어서도 서로 다른 발전 양상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독일 괴팅겐 대학교 동아시아 연구소 한학과 학생들은 첫 해에 번체자를 배우고, 다음 학년 학기에는 번체자를 계속 쓰거나 간체자로 전환하는 것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간체자를 선택한 학생은 이 때 쓰기에서 번체를 간체자로 전환하는 것을 학습하였는데, 이 때 이들만의 독특한 한자 오류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에 배운 번체자의 영향을 받아 여행을 뜻하는 간체자 旅游를 번체자인 旅遊로 쓰거나, 亲眼을 親見眼 으로 쓰는 것과 같은 예이다. 필자는 이 전환 시기에 출현한 한자 쓰기 오류가 외국 국적의 학습자가 범하는 오류와 상이함을 발견하였고, 이것이 필자의 연구 동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어를 학습한 독일 국적 학습자들이 번체자에서 간체자로 한자 사용이 전환되는 시기에 발생하는 다양한 한자 오류 현상을 위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은 독일 괴팅겐대학교 동아시아 연구소의 한학과 학생이었으며, 연구 자료는 대상 학습자가 매주 한 편씩 지은 글 총 42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이러한 과도기에 생긴 한자 오류 현상은 무엇?'이며, '먼저 번체자 학습을 완료한 학습자가 다시 간체자를 학습할 경우, 건의할 학습 방법이 어떤 것이 있는가?'이다. 연구 절차는 대상 학생이 간체자를 이용하여 한 달 내에 쓴 글을 수집하고 쓰기에서 나타난 한자 오류들을 분석하여 귀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이를 토대로 교학 건의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자 오류 유형은 필기오류, 부건 오류, 同音字와 音近字의 잘못된 대체 오류, 번체자의 잘못된 대체 오류, 그 외 다양한 종류의 기타 오류들이다.
본 연구는 중국어 말하기 교재의 사자성어를 살펴보고 사자성어에 대한 설문조사를 분석 하여 사자성어 선정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으로 한다. 1장에서는 서론을, 2장에서는 두 종류의 말하기 교재에 출현한 사자성어를 조사한 후 중국어 코퍼스를 활용하여 사용빈도와 특징을 알아보았다. 학습하는 사자성어의 수와 사용빈도의 차이가 매우 컸다. 3장에서는 중국 인을 대상으로 자주 사용하는 성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코퍼스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와 특징을 알아보았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용 사자성어 선정 기준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재 편찬 및 중국어 교육, 특히 어휘 교육의 사자성어 교육 방안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Chinese L2 learners of Japanese are identified as showing difficulties in the production of Japanese geminates. The idea of being difficult-to-listen is embodied in the concept Comprehensibility (Derwing & Munro 2015). This study first reviews the native pronunciation of Japanese singleton vs. geminate contrast. Then, we report findings based on the pronunciation by 20 Chinese learners of Japanese and discuss the issue of comprehensibility in geminate production. While the contrast in the closure duration between singleton and geminate consonants shows a similar pattern to reported Japanese speech, the learners show large differences in the vowel duration preceding and following consonants. We report findings from a linear mixed model that was run with speaker as a random effect. The results show that participants do not make differences in vowel duration, or the difference in vowel duration is reversed from L1 Japanese speakers. Identifying the locus of the source of an L2 accent should be accompanied with intelligibility and comprehensibility. Such identification is important in increasing comprehensibility in speech that is already intelligible.
한국 어린이들이 중국어를 배우면서 접하는 한자의 학습에 대해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경험에 근 거한 교수법과 방법론 위주로 논의가 이루어지며, 무엇을, 언제, 어떻게 도입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 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즉 학습자의 연령 요소와 그에 따른 인지 발달과 관련된 고려가 부족한 편이다. 본고는 이에 중국 어린이의 한자 읽기에 대한 실증적 연구들을 검토함으로써 한국 어린이의 한자 교육에 어떤 시사점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알파벳 등 표 음문자를 사용하는 어린이가 발달적 읽기 장애가 있는 경우, 이들의 기억력 장애는 시각적-공간적 자극 처리 능력보다는 음운 인식 능력과 관계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중국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많은 연구들이 중국어 읽기 능력의 습득에서 작업 기억의 중요성을 조사하여, 중국어 한자 읽기 에서 음운 인식과 시각적 자극에 대한 처리의 기능을 다각도로 관찰, 조사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 지는 어느 한쪽을 지지하는 유력하고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 않는다. 다만 중국 어린이 학습자가 언 어적 환경과 인지 발달 단계에 따라 한자 읽기 습득에 있어 음운과 시각적 정보, 두 유형의 인지적 처리 기술이 서로 다른 처리 기제를 가질 수 있으며 두 가지 모두 한자 변별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을 시사한다. 따라서 한국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 및 학습에서도 한자 읽기의 교수와 학습은 학습자의 인지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적절한 교수요목과 교수방식을 선택해 야 하며, 이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Yang, Myung-hee & Kim, Bo-hyeon. 2017. “A Study on Korean Language Anxiety in the Classrooms of Advanced-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With Chinese Students in Graduate School in Korea”.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5(1). 119~14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and the factors for Korean language anxiety in the classrooms of advanced-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To this end, 60 Chinese students attending graduate school participated in the survey with the questionnaires: i.e., PRCA and FLCAS. The results suggest as follows. First, the Korean language anxiety level in the classrooms of the Chinese students is likely to be high. Also, it is not because of the participants’ traits, but because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Second, there are 5 factors for Korean language anxiety in the classrooms; communication anxiety with native speakers, communication anxiety, fears of negative evaluation and failing in class, Korean proficiency anxiety,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class. Especially, the forth factor suggests that Korean learners needs an educational intervention of Korean, even after they enter undergraduate or graduate institutions. Third,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anxiety in the classroom and a residence period in Korea. That is, it is necessary to give them as many opportunities as possible for being exposed to Korean by a Korean educational intervention.
本稿는 安養市의 一般系 D高等學校 2학년 3개학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漢詩授業의 認識 및 그 敎育的 含意를 분석했다.
학습자들의 본문풀이 결과, 학습지에서 신습한자를 漢字辭典처럼 구성하면 학습자들의 독해력과 창의력 신장에 도움이 되었고, 교사의 설명과 시범은 학습자들의 문제해결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六色思考帽 技法을 적용한 한시의 감상활동 결과, 작품의 분석과 표현기교에 대한 감상의 수준이 높아서, 한시감상에 六色思考帽 技法이 적절했다. 諺文風月은 漢詩의 形式美와 作家의 力量을 체험 할 수 있는 심화활동이었다.
학습자들의 漢詩授業 認識을 I-STATistic을 활용하여 統計分析했는데, 性別이나 授業前 成就 度는 한시수업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변수가 아니었다. 두 번째로 授業前 漢文敎科와 漢詩授業에 대한 關心度는 漢詩授業의 滿足度와 상관도는 낮고 인과관계는 없었지만, 수업후 한시수업에 대한 관심도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기 때문에, 한시수업은 수업전 인식과 수업후 인식의 변화가 뚜렷했다. 세 번째로 협동학습법이 학습자들의 선호모형으로 판단되지만, 適用授業模型에 따른 漢 詩授業 滿足度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수업후에는 感受性 涵養에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 다. 따라서 교육과정상 한시단원은 반드시 수업에 적용해야 될 當爲性이 높았다.
This paper attempts to stress the importance of teaching Chinese proverbs by comparing proverbs of Korea and China. The study divides the proverbs into two broad categories: equivalent switch and non-equivalent switch. The equivalent switch refers to the proverbs with various forms but the same meaning. Accordingly, they are divided into four types: 1) the same form and the same meaning, 2) similar form and the same meaning, 3) different form but the same meaning, and 4) those with local names but the same meaning. Likewise, non-equivalent switch, the proverbs with different meanings,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5) the same form but different meaning, 6) those with strong influence of local names, and finally 7) those with strong influence of food cultures. The paper suggests that Korean leaners should improve their understandings about Chinese proverbs and their abilities to use those proverbs appropriately in real situations of communication.
This study examined whether learning context and language aptitude affected the use of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ies and pronunciation proficiency. One hundred thirty-eight Chinese learners (88 KFL Ss & 50 KSL Ss) learners were investigate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context(KSL, KFL), language aptitude (high/low),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y and pronunciation proficiency. Participants' sound discrimination ability was measured by PLAB and then they were divided into high group (upper 30%) and low group (lower 30%) by scores. SPLS and personal information survey were also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i)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ronunciation proficiency pursuant to learning context and language aptitude, (ii) use of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y differed significantly pursuant to learning context and language aptitude, and (ⅲ) use of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y could predict pronunciation proficiency. The findings suggest that effective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y should be investigated and taught in L2 Korean classroom.
학습자가 특정 언어를 이해하는 과정은 언어 교육 연구의 핵심 과제였다. 언어 학자들은 크게 세 가지 모형을 개발했다. 학습자는 작은 언어 단위로부터 시작해 서 보다 큰 언어 단위로 확대하면서 의미를 파악한다고 보았다. 綴字, 音節, 單語, 句, 文段, 그리고 글 전체로 의미를 수용한다고 하였다. 글에 초점을 둔 모형이었 다. 이에 대해, 다른 의견이 제시되었다. 의미의 출처는 독자에게 있으며 독자의 선행 지식이나 경험에 의해 글의 의미가 구성, 예측, 결정된다고 보는 관점이 바로 그것이다. 이후, 통합적 관점이 제기 되었는데, 학습자가 한 편의 글을 읽는 데에 는 문자 해독과 독자의 사전 지식이나 경험이 계속적으로 상호 작용하면서 글의 의미를 파악, 구성, 수용한다는 것이다. 한문 학습자는 ‘어떻게’ 한문을 이해하고 의미를 파악하는가, 라는 질문을 해 보 자. 전통적으로 우리는 한문 문장을 제시하고, 문장에 사용된 한자의 음과 뜻을 가르쳤다. 개별 한자의 대표적인 음과 뜻을 먼저 가르치고, 문맥에 적합한 뜻을 더하여 지도했다. 한자의 뜻을 고려하고, 문장의 구조나 형식을 참고하여, 문장을 풀이했다. 그리고 문장의 중심 내용, 화자의 의도, 글의 주제 등을 확인하고 강조했 다. 곧, 개별 한자에서, 한자 어휘로, 어구로, 그리고 문장 전체로 의미를 파악했다. 근래의 언어 교육 연구자들은 언어 학습의 주체로서의 ‘학습자’에 주목했다. 학 습자에 주목할 때, 우리는 글에 사용된 철자, 어휘, 구절의 의미나 구조의 파악에 유의하는 한편, 글의 주제나 소재, 글의 특성, 핵심 단어나 어휘에 대한 독자의 사 전 지식이나 배경 지식의 활성화에 주목하게 된다. 한문 학습자의 경우, 일차적으로 글에 사용된 개별 한자의 해독을 통해 글의 풀 이를 시도한다. 이와 함께 글의 구조, 허사의 쓰임, 문장의 형식 등 한문 지식을 활용하여 2차 풀이를 수행한다. 한자의 해독, 글의 구조와 형식, 허사의 쓰임 등은 글 요인이다. 문장의 독해에 글 요인은 중요 배경 요인이다. 그러나 한문 학습의 주체는 글도 아니고, 한문 교수자도 아니다. 바로 한문 학습자이다. 한문 학습자의 글에 대한 배경 지식의 정도와 배경 지식의 활성화 정도가 글의 독해에 많은 영향 을 끼친다. 글의 독해 과정은 글에 대한 독자의 의미 구성 과정인데, 그 과정은 글 요인과 독자 요인이 끊임없이 상호 작용하면서 진행된다. 이 점에 주목할 때, 한문 독해 교육에서 한자 해독, 한문 지식과 함께 독자의 배경 지식의 활성화 전 략을 기획할 수 있다. 이 주제와 연관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를 生成할 수 있다. 첫째, 텍스트의 분량 과 문종을 다양하게 도입하여 논의를 전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수․학습 방안 의 효과는 질적 연구로 입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다 정치한 질적 연구 설계를 요한다. 셋째, 교수․학습 방안 및 수업 지도안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자료를 수집 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의 한문 독해의 경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한자 교육 혹은 識字 교육의 접근 경로로 이른바 ‘集中 識字’와 ‘分散 識字’ 방법이 학 계에 보고된 바, 식자 교육과 연계된 한문 독해 교육 연구가 요청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