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23.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ncrete is the primary building material for nuclear facilities, making it one of the most common forms of radioactive waste generated when decommissioning a nuclear facility. Of the total waste generated at the Connecticut Yankee and Maine Yankee nuclear power plants in the United States, concrete waste accounts for 83.5% of the total for Connecticut Yankee and 52% for Maine Yankee. In order to dispose of the low- to medium-level radioactive concrete waste generated during the decommissioning of nuclear power plant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adioactivity concentration of gamma nuclides such as Co-58, Co-60, Cs-137, and Ce-144. Gamma-ray spectroscopy is commonly used method to measure the radioactivity concentration of gamma nuclides in the radioactive waste;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gamma detectors, gamma rays from sequentially decaying nuclides such as Co-60 or Y-88 are subject to True Coincidence Summing (TCS). TCS reduces the Full Energy Peak Efficiency (FEPE) of specific gamma ray and it can cause underestimation of radioactivity concentration. Therefor the TCS effect must be compensated for in order to accurately assess the radioactivity of the sample. In addition, samples with high density and large volume will experience a certain level of self-shielding effect of gamma rays, so this must also be compensated for. The Radioactive Waste Chemical Analysis Center at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performs nuclide analysis for the final disposal of low- and intermediate-level concrete waste. Since a large number of samples must be analyzed within the facility, the analytical method must simultaneously satisfy accuracy and speed. In this study, we report on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accuracy of the radioactivity concentration correction by applying an efficiency transfer method that appears to satisfy these requirements to concrete standard reference material.
        2.
        202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ny radionuclides emit two or more gamma rays in a cascade once they decay. At this time, gamma rays are detected at the same time, and the signals are overlapped and measured as one added signal. This is called the summing coincidence effect, and it causes an error of more than 10% depending on the detection efficiency, measurement conditions, and target nuclide. It is known to be greater as the efficiency of the detector increases an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source and the detector decreas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umming coincidence effect since the efficiency of the HPGe detector owned by the KHNP CRI is as high as 65%.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propose an appropriate gamma nuclide analysis method for radioactive waste generated from NPP by evaluating the influence on the summing coincidence effect.
        3.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on the Delivery of Low and Medium Level Radioactive Waste’, Notification No. 2021-26 of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a history of radioactive waste and a total amount of radioactivity in a drum are mandatory. At this time, the inventory of radionuclides that make up more than 95% of the total radioactivity contained in the waste drum should be identified, including the radioactivity of H-3, C-14, Fe-55, Co-58, Co-60, Ni-59, Ni-63, Sr- 90, Nb-94, Tc-99, I-129, Cs-137, Ce-144, and total alpha. Among nuclides to be identified, gamma-emitting nuclides are usually analyzed with a gamma ray spectrometer such as HPGe. When a specific gamma-ray is measured with a detector, several types of peaks generated by recombination or scattering of electrons are simultaneously detected in addition to the corresponding gamma-ray in gamma-ray spectroscopy. Among them, the full energy peak efficiency (FEPE) with the total gamma energy is used for equipment calibration. However, this total energy peak efficiency may not be accurately measured due to the coincidence summing effect. There are two types of coincidence summing: Random and True. The random coincidence summing occurs when two or more gamma particles emitted from multiple nuclides are simultaneously absorbed within the dead time of the detector, and this effect becomes stronger as the counting rate increases. The true coincidence summing is caused by simultaneous absorption of gamma particles emitted by two or more consecutive energy levels transitioning from single nuclide within the dead time of the detector. This effect is independent of the counting rate but affected by the geometry and absolute efficiency of the detector. The FEPE decreases and the peak count of region where the energy of gamma particles is combined increases when the coincidence summing occurs. At the Radioactive Waste Chemical Analysis Center, KAERI, samples with a dead time of 5% or more are diluted and re-measured in order to reduce the random coincidence summing when evaluating the gamma nuclide inventory of radioactive waste. In addition, a certain distance is placed between the sample and the detector during measurement to reduce the true coincidence summing.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coincidence summing effect in our apparatus for the measurement of radioactive waste samples.
        6.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의 영문 주제어 분석을 통해 MeSH 용어와의 일치도를 알아보고 다빈도 영문 주제어와 MeSH 용어와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MeSH 용어의 이해도와 활용도를 높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의 창간호인 1993년 1권 1호에서부터 2010년 18권 4호까지의 논문 346편의 영문 주제어 1,225개를 대상으로 영문 주제어의 특성과 MeSH 용어와의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일치도는 완전일치, 부분일치(입력용어, 단복수 오류, 전후방일치, 약어사용), 불일치로 분류하였다. 결과 : 본 연구결과 MeSH 용어와 완전히 일치한 영문 주제어는 평균 20.8%, 부분일치한 경우는 30.8%, MeSH 용어와 불일치한 영문 주제어는 48.4%로 나타났다. MeSH 용어 중 가장 많이 사용된 영문 주제어는‘Stroke’, ‘Occupational therapy’,‘ Cerebral palsy’순으로나타났으며, 부분일치의한형태인입력용어(entry term) 중가 장 많이 사용한 주제어는 Dysphagia와 Assistive technology였다. MeSH 용어와 완전 불일치 영문 주제어 중 가장많이사용된것은‘Occupational therapist’‘, Hand function’‘, Unilateral neglect’로나타났다. 결론 : 대한작업치료학회지가 유명 MEDLINE에서 검색될 수 있도록 하며, 근거중심의 체계적 논문고찰을 위해서도 영문 주제어를 선택할 때 MeSH 용어의 사용을 권장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논문 투고시 논문저자들이 MeSH 용어를 사용하여 영문 주제어를 선택, 확인하도록 투고규정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추후 연구를 통하여 MeSH 용어를 기본으로 한 작업치료 용어들에 대한 주제어집을 발간할 필요가 있다.
        4,900원
        9.
        200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present results of the VLBA observation toward the radio continuum and water maser emissions in a nearby LINER galaxy NGC 1052. The jet structure observed in 2000 is similar to that in 1998, and the two jet structures in 1998 and 2000 support the sub-luminal motion with apparent velocity of 0.26c. Distribution of water maser spots are located ~0.05 pc shifted to southwest from the component which is supported to be the nucleus, and no rapid positional change of the water maser ga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engine is seen from 1995 to 2000. The maser gas is positionally coincident with a plasma torus, and the position of the maser gas relative to the nucleus is stable from 1995 to 2000. The maser gas in NGC 1052 could be explained to be associated with the nuclear circumnuclear torus or disk like the situation found in the nucleus of NGC 4258.
        3,000원
        10.
        200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IPS 시스템은 중성자 핵반응 결과 방출되는 즉발 감마선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장치이며 고체 및 액체 폐기물 중 존재하는 다양한 원소를 비파괴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NIPS 시스템에 이용된 고순도반도체 검출기의 계측효율을 Ba 및 Eu 방사성 동위원소 선원과 Cl(n, ) Cl 핵반응 시 발생되는 즉발감마선을 이용하여 80 keV에서 8 MeV까지 넓은 영역에 대하여 구하였다. Cl(n, ) Cl 핵반응을 이용한 고에너지 감마선의 계측효율은 즉발감마선의 방사능 값을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저 에너지 영역에서 정확히 알고 있는 검출기 효율곡선에 규격화시켜 전 에너지 영역에서의 효율보정곡선을 구하였다. 또한 KCl 표준용액에 Cf 중성자 선원을 조사시켜 표준용액으로부터 방출되는 즉발 감마선을 고순도반도체 검출기로 측정하고 광대역 계측효율 곡선을 이용하여 수용액 시료에서의 평균 열중성자 속을 예측하였다. NIPS 측정시스템은 주변 재료 물질의 핵반응으로 방출되는 감마선 background를 줄이기 위해 두 개의 고순도반도체 검출기를 이용한 동시계수 장치가 고안되었으며, 동시계수 모드에서의 계측효율도 함께 고려되었으며, 표준선원을 이용하여 전 계수 또는 동시계수모드에서의 background에 대한 측정감도를 비교하였다.다.
        4,000원
        11.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애꽃노린재를 이용한 총채벌레의 방제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하우스 가지에서 천적방사구(NRT), 농약살포구(PAT)와 천적제거구(RNT)의 세처리를 하여 처리구별 총채벌레와 애꽃노린재의 밀도변동 및 가지 열매의 피해고 조사를 실시하였다. NRT에서 애꽃노린재의 약충은 최초방사후 21일부터 상위엽에서 조사되었으며. 총채벌레의 밀도는 정식 42일 후부터 낮아지기 시작하여 RNT보다 매우 낮은 밀도로 유지되었다. NRT, PAT와 RNT에서 가지 열매의 피해도 지수는 각각 1.35. 1.21과 2.90이었으며. 피해과율은 각각 70.3,78.6 99.0%로 NRT의 피해도 지수와 피해과율은 PAT보다는 높았으나, RNT에 비해서는 낮았다. 총채벌레와 애꽃노린재의 공간분포 양상은 Tailor의 b와 Iwao의 값이 모두 1보다 커 집중분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꽃노린재의 공존지수는 총채벌레와 애꽃노린재의 밀도에 관계없이 매우 높았으며, 총채벌레의 도피지수는 애꽃노린재의 밀도에 따라 변동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하우스가지에서 총채벌레를 방제하는데 천적으로 애꽃노린재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2.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시 합성 보정 효과는 검출기의 효율이 향상할 때 그리고 선원과 검출기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점 선원(60Co)을 사용하여 검출기 중심축 방향 및 방사상 방향에서 거리에 따른 변화를 주어 P/T 비를 구하여 동시합성 보정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심축 및 방사상 방향에서 동시합성 보정한 값들을 혼합부피선원(450 mL CRM source)에 적용하여 P/T에 따른 전체 피크효율 변화를 Geant4과 비교하였다. 또한 검출기와 시료가 아주 밀착된 상태에서 맵핑법에서 구한 효율을 환경시료 중에서 해양 시료인 미역에 적용하여 P/T 비의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500 keV 이상의 효율의 영향을 받는 에너지 영역에 1,836 keV로 보정한 효율을 적용한 결과 측정값과 보정값의 상대오차는 3.2 % peak 효율이 보정되어 잘 일치하였다. 450 mL CRM source처럼 부피가 커질수록 P/T 비는 ± 5%까지 감소하였다. 이것은 검출기로부터 선원이 멀어짐에 따라 방출된 감마선의 산란이 많아지기 때문이며, 이처럼 P/T 변화는 동시합성 보정 피크 효율에 영향을 줌을 확인하였다.
        13.
        200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 시-지각, 개방-기술 경험, 과제의 유형, 시각적 자극 속도가 동시적-예측 타이밍에 미치는 효과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15명의 남성과 여성이 바이옵터 시-지각 검사를 이용한 6가지 시-지각 검사와 개방기술 활동 검사지를 작성한 후에 베이신 예측 타이머를 이용하여 3가지의 서로 다른 시각적 자극 속도 조건에서 단추누르기 과제와 타격 과제에 대한 50회의 동시적 예측 타이밍 과제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시-지각 능력과 개방기술 경험에서 남성과 여성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어, 이러한 변수들은 동시적 예측 타이밍 과제의 수행에서의 남녀차이를 설명하지 못하였다. 단추누르기 과제보다 타격 과제의 수행에서 정확성과 일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한 이론적 설명이 논의되었다.
        14.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양한 속도 조건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타이밍의 시간 정확성과 타이밍 일관성의 발달적 변화 경향을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축구의 패스 과제와 버튼 누르기 과제를 본 연구 과제로 설정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9세, 11세, 13세, 15세의 4개 연령별로 15명씩 총 60명으로 하였다. 자극의 속도는 시속 1마일, 4마일, 7마일, 10마일 네 가지 속도 조건을 무선적으로 제시하였으며 버튼 과제는 각 속도별 5회씩 총 20회, 패스과제는 각 속도별 9회씩 총 36회를 실시하였다. 예측 반응 측정기(Bassin Anticipation Timer)를 이용해 자체 제작한 타이밍 정확성 검사 도구를 통하여 타이밍 정확성의 시간 오차를 산출하였고 산출된 오차를 절대오차, 항상오차, 가변오차로 분류하여 연령과 속도 조건별로 이원 변량 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한 결과, 유소년의 패스 과제 수행 시 타이밍의 시간 정확성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향상을 나타냈으며 시간 타이밍이 가장 정확하게 나타나는 속도 조건은 시속 4마일이었다. 버튼 과제 수행 시 타이밍의 시간 정확성은 패스 과제와 마찬가지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패스 과제 수행 시 타이밍의 일관성은 11세 이후 연령이 증가할수록 향상되었으며 이때의 타이밍 일관성은 시속 10마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버튼 과제 수행 시 타이밍 일관성은 빠른 속도 조건(시속 7마일과 10마일)일 때만 연령이 증가할수록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