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

        1.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장애의 본질은 손상이 있는 사람들에 대한 사회의 부적절한 대응에서 비롯 된다고 보아야 한다. 장애인도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헌법』이 보장하는 인간 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지고, 국가는 이를 보장할 의무가 있다. 그런데『장애인복지법』시행령 제2조 제1항 [별표1]은 위 법의 적 용을 받는 장애의 종류를 15가지로 나열하였다. 여기에 들어있지 않은 투렛 증후군 진단을 받은 사람의 장애인등록 신청이 거부 된 데 대하여 대상판결 은『장애인복지법』이나 위 법 시행령의 체제와 취지 등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위 조항을 한정적 열거가 아닌 예시적 열거로 보고, 나아가 적극적으로 인용 처분이 내려져야 한다는 전제에서 거부처분의 위법성을 논하면서 유추의 방 법까지 동원하였다. 장애의 종류가 아니라 장애의 경중에 따라 국가의 보호대 상에의 해당 여부를 정하는 것이 『헌법』이 정한 평등의 이념에 부합하며, 법 을 해석함에 있어서는 법적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체적 타당성 을 찾아야 하므로, 보다 적극적인 실효성 있는 구제책을 낸 대상판결은 장애 인복지의 지평을 넓히는 의미 있는 판결이다. 다만, 대상판결 후에도 개정된 시행령이나 보건복지부 고시 등을 통하여 새로운 유형의 장애 인정이 거의 제한되고 있는바, 하루빨리 시정되어야 할 것이다.
        2.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마약사범은 2022년 18,395명, 2023년 27,611명 등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정부는 권역별 마약범죄 특별수사본부 설치, 공항 마약 검색 강화 등 단 속과 수사를 강조하고 있다. 현재 해상에서 발생하는 마약 사건 비율이 높지는 않으나, 대한민국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점, 해양이 대체 마약 운송 루트로 활용될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리딩 판례를 토대로 향후 수사 과정에서 유의할 점을 점검하고 제도 개선 방향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2019년 태안 해상에 정박해 있는 외국 국적 선박에서 코카인 약 100kg을 압수하고 일등항해사를 기소한 사례”에서 법원은 1) 통역 내용을 신뢰하기 어 려운 점, 2) 소변, 모발, 압수한 휴대폰 등에서 마약 관련 증거가 발견되지 않는 점 등을 이유로 무죄를 선고하였다. 해상 마약 사건에서 유사한 문제가 반복되 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사기관과 법원에 산재되어 있는 통역인의 통합관 리, 통역 인증제 확대 등을 통해 통역 자원의 양과 질을 늘리고, 이온스캐너 등 현장에서 신속히 마약을 검출할 수 있는 도구 보급에 힘써야 한다. 또한, 선주 에 마약 반입 예방을 위한 보안 의무 부과, 선박 압수 규정 신설, 국제공조 활 성화 등 전방위적인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8,100원
        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ook Shuowen Jiezi Yizheng (说文解字翼徵) written by Piao Xuan-Shou, which is a book specializing in the study of Shuowen Jiezi (說文解字)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the first one to utilize materials of bronze inscriptions objects and stone inscriptions to make supplements and textual criticism of Shuowen Jiezi (說文解字). The article organizes the stone-carved material of Zuchu Wen (詛楚文), which is quoted in the book, and analyzes it from the aspects of the meaning of the quotation, the source of the quotation, the quotation and the copying. After that, this paper revises and supplies the situation of Shuowen Jiezi (說文解字) by quoting Zuchu wen (詛楚文) in the book,and combines with specific examples of characters to annotate and comment.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any interpretation, whether there is any new content in the interpretation, etc., it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nd under each word, the original content of Shuowen Jiezi (說文解字) quoted in the book, the supplementary ancient characters as well as the main content of the interpretation are cited firstly, and then explains Piao’s analysis of the words’ form and meaning appropriately, and Piao’s viewpoints are evaluated by making full use of ancient character materials and the results of the existing studies and interpretation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factual situation of Piao’s quotation of the Zuchu Wen (詛楚文) , evaluate the gains and losses of Piao’s textual criticism of the Shuowen Jiezi (說文解字) objectively, and supply the shortages of current research on Piao’s quotation of materials other than the bronze inscriptions.
        6,600원
        4.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이완의 작업, <메이드인>(2013)과 <고유시>(2017)를 중심으로, 포디즘 이후 등장한 네트워크 사회의 기술적 및 경제적 전환의 동기와 인과를 조명한다. 이 특정한 역사적 맥락에서 노동과 자본주의 가속도, 그리고 그 사회경제적 구조의 권력 역학이 행복의 개념과 이미 지를 개인적 이상에서 정량화된 기호의 척도로 전환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특히 1980년대 이후 디지털 네트워크의 융합은 물질적 상품을 넘 어 기호와 데이터의 생산 및 소비가 지배적인 환경을 조성하며, 글로벌 소비사회에서 개인 행복 담론이 노동의 추상화, 시간의 공간화, 그리고 계층적 구분과 동질화의 역학 속에서 재구성되는 방식을 드러낸다. 본 연구는 이완의 작업을 중심으로, 디지털 스펙터클이 초래하는 개인 행복 조건의 상품화 과정을 조명하며, 이를 통해 현대 소비사회에서 수직적 계층화와 수평적 동질화를 지속시키는 구조적 역학을 고찰한다.
        5,200원
        5.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i Shan’s commentary on the Selected Writings appears in 304 of his works, ranging from the Xidufu, an excerpt from the Zuo Zhuan, to the Ritual Essay, Ji Qu Yuan Wen. The Zuo Zhuan records a wide range of topics, from the evolution of history to various rituals, social customs, astronomy and geography, rhymes, proverbs, and a variety of literature. Li Shan’s commentary on the Zuo Zhuan is based on the main text and its content, with citations centered on its main historical events and the origin of its words. On the question of Li Shan’s citation of the Zuo Zhuan notes, we can see through examination that Li Shan was not influenced by the political advocacy of the unification of the Five Classics, and that he took Du’s notes as his main focus and did not exclude the other Zuo Zhuan notes, and in accordance with what is stated in the text of the Selected Works, he thought that it conformed to the wording of the text and made appropriate use of the Fu Qian’s service of the pianist’s notes on the Zuo Zhuan as well as the notes of the other annotators. Among them, the author suspects that Li Shan should have referred to the text of Fu Qian’s “Jie Yi” and Jia Kui’s “ChunQiu ZuoShi JieGu”, while Ma Rong’s words can hardly be said to be a comment from Ma Rong’s “ChunQiu SanZhuan YiTongShuo”, but rather a text quoted from other documents of the time. The contents of Ma Rong’s commentaries in the “Selected Writings” can be found in Kong Yingda’s commentary, which is more detailed than the “Selected Writings” commentary. However, in terms of the “Selected Writings” commentary, especially nowadays, it can be regarded that the commentaries of Li Shan’s commentaries are within the scope of his old commentaries, and it is quite possible that Li Shan cited his old commentaries as commentaries on other works in the case of the same words in his old commentaries in the later years.
        5,700원
        6.
        2023.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유르베다(Āyurveda)에서 장수는 단순히 오래 살기 위함이 아니라 건강한 몸 상태를 유 지하여 깨달음의 시간을 얻기 위함이다. 아유르베다는 노화과정을 이해하고 노화와 관련된 건강문제를 해결하여 몸의 활력을 유지하고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고자 한다. 이에 대 한 구체적인 방법이 아유르베다의 내과학에 속한 『짜라까 상히따』(Caraka-Saṃhitā) 제6 치 유론(Cikitsā-sthāna)에서 나타난다. 아유르베다에서 ‘위대한 세 가지’(bṛhat-trayi)로 꼽히는 문헌 가운데 하나인 『짜라까 상히따』의 제 6치유론에서는 노화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라사 야나(rasāyana)와 바지까라나(vājīkaraṇa)를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짜라까 상히따』에 서 술된 회춘요법 가운데 제 1장에서 서술된 라사야나를 산스끄리뜨(sanskrit) 원어를 그대로 번역하여 아유르베다 연구자들에게 이 내용을 알리고자 제6 치유론의 1장의 내용과 라사야 나의 목적을 알리고자 한다.
        5,400원
        7.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IFA world cup is one of the most popular and widely viewed sporting event, where millions of viewers across the globe tune in to support their country every four years for the chance to win the ultimate football tournament. According to FIFA, the FIFA World Cup Qatar 2022 recorded over 5 billion cumulative views, with the final match estimated to have been watched by more than 1.5 billion viewers live on television. In South Korea, a total of 11.14 million viewers watched the opening match against Uruguay, which was estimated to be a 97% increase in Korean viewership compared to the previous World Cup.
        8.
        202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Commentary provides a detailed analysis of the US-DPRK Peace Treaty, a proposed bilateral peace treat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e., North Korea). The US-DPRK Peace Treaty was conceived as the first in a series of legal instruments to be executed in furtherance of the establishment of “peace as a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monograph, the authors envision that such a peace treaty would serve as a basis for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ultimately, a peaceful, non-volatil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The Commentary offers an in-depth explanation of each provision of the US-DPRK Peace Treaty, including the meaning, background, rationale and legal implications of individual provisions of the Peace Treaty. Additionally, it provides insight into relevant international law issues and the history of negotiations and engagement among interested parties in the context of the inter-Korean conflict.
        4,000원
        9.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개신교 선교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시도된 ‘아빙돈 『단권 성경주석』’ 번역사업은 감리교와 장로교의 일부 외국 선교사와 다수의 한국인 목회자들이 함께 참여한 매우 의미 있는 일이었고, 이 일을 주도한 사람은 감리교의 류형기 목사였다. 그러나 장로교 총회에서는 『단권 성경주석』이 자신들이 추구하는 성경무오설과 축자영감설을 부정한다는 이유로 이를 금서(禁書)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장로교 번역자들에게 자신들의 글을 이후에 재판(再版)이 될 때 『단권 성경주 석』에서 빼도록 강요하였다. 이런 논란에도 불구하고 『단권 성경주석』 이 매우 많이 판매되었다는 점에서 당시에 한국교회에 미치는 파장이 그리 크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 결과는 본격적인 신학 논쟁 야기와 교회 분열이라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1930 년대 있었던 한국개신교 선교 시작 시점에 관한 논란과 50주년 기념사업 으로 진행된 『단권 성경주석』이 초래한 여러 가지 논쟁 과정과 결과를 선교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있다.
        6,300원
        11.
        201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actice of International Investment Agreements (IIAs) has developed immensly during the past 15 years. In particular, China has gained significant experience in concluding IIAs, adapting to concerns raised following an overflow of investor state disputes. This article analyzes an interesting case-study: an investment promotion agreement signed and negotiated between China and Israel (CIBIT) during the 1990s, however ratified more than a decade later, in 2009, without modifying or updating its contents. This commentary identifies major gaps in the CIBIT, including those concerning its preamble, key definitions of ‘Investment’ and ‘Investor’, standard of protection: FET, MFN, NT, and ISDS provisions, vis-à-vis the wider transformation of international investment law. Special emphasis is given to China’s change in approach to investment and IIAs. The growing economic ties between China and Israel, including recent discussions about a free trade agreement, requires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risks and benefits of the CIBIT. Therefore, the commentary concludes with an outline of a strategic roadmap for the future revision of the CIBIT.
        8,400원
        1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cess of how Chinese students practice collaborative writing and to figure out whether collaborative writing is useful to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In total, 15 Chinese students of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nd they were divided into Groups A and B, respectively. Five participants of Group A were individually assigned with writing tasks while ten participants of Group B conducted collaborative writing tasks in pairs. Groups A and B conducted both tasks of a data commentary and an argumentative essay. The result was that fluency and complex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A and B. However, accuracy was higher in Group B. Accordingly, for students of Korean language in an advanced level, collaborative writing activities did not result in longer texts or more complex linguistic practices but led to more accurate texts. Whether this accuracy will strengthen grammatical knowledge of language students in an advanced level in the long-term is unknown, so follow-up studies are needed.
        6,100원
        14.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글 創製이후 방대한 한문전적에 대한 諺解작업은 가속화되어, 四書三經으로 대변되는 經書의 諺解뿐 아니라, 『杜詩諺解』를 비롯하여 『武藝圖譜通志諺解』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 걸쳐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文勢와 語脈을 파악해서 句讀를 떼고, 文義를 고려하여 口訣을 사용하여 懸吐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한문전 적을 제대로 읽고 감상할 수 있다. 그럼에도 句讀와 懸吐, 口訣에 대한 연구는 별다른 진척이 없었던 상황이다. 최근 새로 발굴된 李森煥의 『句讀指南』, 任圭直의 『句讀解法』, 朴文鎬의 『俚讀解』는 句讀와 懸吐, 口訣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자료로서, 당시 이와 관련한 學派혹은 學脈을 대변한다. 우리의 句讀는 중국과는 다르며, 특히 懸吐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따라서 句讀를 구분하더라도 어떠한 吐(口訣)를 붙이느냐에 따라 그 내용과 의미는 전혀 달라진다. 새로 발굴된 자료를 바탕으로 句讀와 懸吐, 口訣의 내용과 특징을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1. 文義을 중시하며, 文勢와 語脈을 고려한다. 2. 행위의 주체, 서술의 주체, 時制, 態, 문장구조 등을 고려한다. 3. 虛字, 助辭등을 주목하고 우리의 언어표현(尊稱)을 고려한다. 4. 특정 學派혹은 學脈의 句讀와 懸吐, 口訣에 대한 인식을 대표한다. 李森煥의 『句讀指南』은 懸吐와 口訣을 개괄적으로 설명하고 助辭의 용법을 특기하여 간략하게 정리한다. 한편, 任圭直의 『句讀解法』은 그 내용과 체제가 상 세하고 체계적이며, 懸吐와 口訣은 그 사례가 다양하고 상세하다. 특히, 句讀와 懸吐, 口訣에서 文義를 중시하고 文勢와 語脈을 고려하였음을 보여준다. 끝으로 朴文鎬의 『俚讀解』는 문법이나 구조에 따른 기계적 설명과는 달리, 文勢와 語脈 을 십분 고려하여 축약한 형태이다. 이러한 자료들은 현대 국어의 문법과 그 연관 성을 조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판단된다. 더욱이 19세기 무렵 다방면에 걸쳐 문헌전적에 대한 수집· 정리 작업이 진행되었던 상황과도 일정정도 관련이 있다 고 하겠다.
        8,700원
        20.
        2008.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商標法과 􂸝正競爭防止法은 상표보호요건으로 識別力을 요구하고 그 보호범위도 識別力의 범위와 비례한다.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 판례를 보면 식별력의 개념과 그 判斷基準은 아직 명확하게 정리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식별력 여부의 문제는 상표 그 자체의 관념뿐만 아니라 지정상품이나 서비스와의 관계 그리고 수요자의 인식과 거래계의 수요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면밀한 분석과 진지한 고민을 해야한다. 그런데“, 우리은행”에 관한 특허법원의 판결을 보면, 피상적으로는 거래계와 수요자의 인식을 기준으로 전체적 관찰을 한다고 하면서도 실제로는 문제된 등록서비스표의 문자와 도형을 관념적이고 분석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현실의 수요자 인식과는 거리가 있는 판단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 표장의 식별력을 판단할 때, 표장 자체의 관념에 비중을 많이 둔 소위“觀念的識別力의 强弱(Conceptual Strength)”에만 매달릴 것이 아니라, 수요자와 거래계의 인식에 의해서 형성된 소위 “商業的識別力의 强弱(Commercial Strength)”도 충분히 고려되어서 판단되어야 한다. 외국의 경험을 보면, 경제발전과 시장성숙에 따라서 수요자의 출처혼동방지가 중요해지고 식별력의 기준이 낮아지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다. 이제 대법원은 식별력의 개념에 관해서 보다 선진화된 기준을 확립해가면서 하급심판결을 리뷰해볼 때가 되었다.
        6,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