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paper, the basic and the extensional meaning of the Chinese word, shui (水), and the Korean word, mul (물), were compared for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ased on the different word meaning characteristics. Both words have the basic meaning of “water.” The extensional meaning and usage of these two words overlap semantically under certain conditions, but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two languages from the perspective of word formation, reflecting the differences in thinking and cognitive framework of th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The research also found that the words differ greatly in terms of semantic extension. Mul in particular had a far richer and more diverse extended semantic meaning than shui.
This paper mainly uses the Korean-Chinese text of “Ping Yi Jin Ren” as its corpus, examining the phenomenon of metaphor in Chinese text from three categories. Based on this, it analyzes the corresponding situation of these metaphors in Korean, focusing on the asymmetry of Korean-Chinese metaphor. The phenomenon of asymmetry of metaphor in Korean-Chinese text is divided into seven types and three situations. The seven types are objects, people, natural phenomena, events, medical, animals, and rivers and navigation. The three situations are: first, when the Chinese metaphor uses other images in Korean; second, when the Chinese metaphor uses explanatory language in Korean; and third, when the Chinese metaphor is directly omitted in Korean. This paper analyzes the process of metaphor formation in Chinese through the metaphor calculation model, and examines the asymmetrical situation in Korean text. It can be found that in addition to common factors such as cultural factors, living habits, and ways of thinking, the selection of intentionality and psychological field, the function of metaphor, the economy and appropriateness of language use, and context are also the main factors of asymmetrical metaphor.
목적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성인 남녀의 안면 크기와 동공 간 거리를 조사하고, 현재 착용하고 있는 안경테의 크기 및 디자인 형상에 대해 비교를 하고자 하였다.
방법 : 경북 경산에 위치한 안경원을 방문한 20~30대 성인 남녀 각각 100명, 중국 지린성에 위치한 안경원을 방문한 20~30대 성인 남녀 각각 100명, 총 400명에 자료를 전향적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대상자들의 안면 크기 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Eye measure 1.21, Dotty Digital 2018,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동공 간 거 리는 수동식 동공 간 거리계(PD-5, TOPCON, Japan)를 이용하여 원용과 근용 각각의 동공간 거리를 측정하였 다. 착용하고 있는 안경테에 대한 크기는 boxing system에 준하여 측정하였고, 안경테의 종류는 모양(원형, 타원 형, 직사각형), 림의 형태(온테, 반무테, 무테), 재질(플라스틱, 금속, 콤비)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결과 : 안면 크기 측정범위는 149.73±6.28 mm(중국 여성)~152.29±14.71 mm(한국 남성)이었으나, 그룹 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147). 원용 및 근용 동공 간 거리 측정에서는 모두 그룹 간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 다(p<0.001). 안경테의 크기 측정인 렌즈 삽입부의 크기(eye size), 연결부의 길이(bridge size) 그리고 수직 길이 (vertical height)에서 모두 그룹 간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01). 한국과 중국의 남녀 대상자들의 착용 중 인 안경테에서 콤비 재질을 제외하고(p=0.790),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성인 남녀 간의 안면 크기는 차이는 없었지만, 동공 간 거리는 차이가 있었다. 착용 중인 안경테의 크기는 한국과 중국 착용자 간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한국 성인은 상대적으로 원형 테를 많이 착용하고 있지만, 중국은 직사각형의 안경테를 더 많이 착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나라 간 선호도가 다 름을 이해하고, 기호에 맞는 제품을 추천할 수 있어야 하고, 수출을 위한 안경 디자인을 할 때 안면의 형상 및 현 지인의 기호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Chinese Idioms are important as a Part of Chinese Vocabulary, Korean learners who use Chinese as a second language understand and grasp the usage of the Chinese-Korean idiom,It will also play a significant role in learning Chinese for Korean learners. A Comparative Study on Chinese and Korean idiom of same patterns of synonyms provides many conveniences and references for Korean Chinese learners, Nevertheless, there are differences in Chinese and Korean of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functions of idiom of same patterns of synonyms. Therefore, Korean Chinese learners may have some troubles learning and using Chinese idioms. Dissertation takes between Chinese and Korean idiom of same patterns of synonyms from the new HSK level six Vocabulary Outline and two sets of the new HSK level six official test paper as the research subject, make Research and Analysis on Chinese and Korean synonym idioms differences between using frequency and usage of idioms in Chinese and Korean databases, in addition, mak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Chinese and Korean of syntactic and pragmatic functions of idiom of same patterns of synonyms, both Chinese and Korean idiom of same patterns of synonyms of the meanings are similar,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differences.
세계적인 침입해충 담배가루이 (Bemisia tabaci Gennadius)의 한국 계통과 중국 계통의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9년에 채집한 두 계통들의 biotype 분포, 살충제 반응, 바이러스 보독율을 조사하고 차이를 분석하였다. 미토콘드리아 COI 유전자 서열을 이용하여 집단 분석한 결과 국내는 모든 지역계통에서 Q biotype만 발견되었으며, 중국은 B biotype (14.3%)과 Q biotype (85.7%)이 동시에 발견되었다. 담배가루이 Q biotype의 haplotpye 구성도 중국은 모두 Q1 그룹만 관찰되었고 Q1H1 (79.8%), Q1H2 (20.2%)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한국은 Q1이 우세한 가운 데 Q2도 관찰되었으며 Q1 그룹의 구성도 Q1H1 (1.7%), Q1H2 (97.5%)로 중국과는 크게 달랐다. 15종 살충제에 대한 약제반응은 국내 계통은 일부 약제를 제외하고 대부분 약제에서 충분한 살충력 (mortality≥80%)을 보여주었으나 중국 계통은 40% 이하의 살충력을 보인 약제들이 다수 있었으며 한국보다는 높은 저항성을 갖고 있었다. 토마토 황화잎말림바이러스 (TYLCV)의 보독율은 국내 계통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중국의 경우 0∼60% (평균 21.4%) 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한국와 중국의 담배가루이 계통 간에는 유전적 조성과 살충제 반응, 바이러스 보독율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양국의 담배가루이가 서로 다른 유입 패턴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sed on the theories of word order typology, this study intends to establish the system of adpositionsfrom Chinese and Koreanin terms of typological parametersbyexamining and comparing their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s. Many Chinese prepositions and Koreangrammaticalauxiliaries areadposition universals in preposition-based argument structure for leveragingsubject and predicate relationship. Chinese has an increasing number of prepositions, postpositions and circumpositionsina semi-open state, but Korean has a relatively small and stable number of postpositions in a semi-closed form.Despite the discrepancy ofnumbers and types between the two languages, Chinese preposition and Korean postposition are congenial pairs from a typological perspective,indicating the contrast of adpositions between SVO and SOV languages,given that both languages havemore adpositionsof situational and relational functionsthan of comparative, causal,subjective and predicative functions.
Towards the 21st century, the whole world is regarded as one market. Globalization is spreading all over the world as many cosmetics companies pioneering new market abroad, overcoming relatively limited domestic markets. Korean cosmetics companies are not the exception and they are aiming Chinese consumer market, the largest one in Asia, which is growing steadily since government’s open door policy. So, the necessity to compare and figure out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cosmetics buying behavior is very high for those companies that have their eyes on the Chinese Marke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buying behavior between Korean and Chinese female consumers related to Korean cosmetics brand level. Cosmetics buying behavior is examined in 4 areas; purchasing motives, information sources, purchasing criteria,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a convenient sample technique an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in Korean and Chinese by translation and back translation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ample of 187 out of 233 in Beijing for Chinese female consumers, and 188 out of 200 in Pusan for Korean female consumers. Respondents’ age varied from 20’s to 50’s. Korean cosmetics brands were divided into high /low levels; low brand level included Micha, The face shop, and Laneige while high brand level included Sulhwasu, O’hui, and The history of who. Among many types of cosmetics, this study focused on the basic types of cosmetics product such as lotion, moisture cream, nutrition cream, mask pack with the exception of color based cosmetics products.
Data were analyzed by ANOVA and cluster analysis using SPSS 20.0.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Korean high brand purchasing consumers, Korean Low brand purchasing consumers, Chinese high brand purchasing consumers, and Chinese low brand purchasing consumers.
1. For purchase motives, Chinese consumers affected by Korean celebrities and had more motives to experience Korean cosmetics. To relax and to relieve from stress was the main reasons to buy Korean cosmetics for Chinese high brand consumers. Price was the main
reason to buy Korean cosmetics for both low brand purchasing groups.
2. For information sources, Chinese consumers had tendency to collect information from personal relations such as friends and family. Korean and Chinese low brand consumers used internet advertising. Chinese high brand consumers collected information from department salesman. Korean high brand consumers showed lowest use of any kinds of information sources.
3. Korean high brand group put on importance on color and scent as cosmetics purchase criteria. Chinese high brand consumers showed importance on brand image, ingredients, containers/packing, skin fit, and feeling. Korean and Chinese low brand groups have importance on brand image, ingredients, and skin fit.
4. Concerned satisfaction level, Korean high brand group showed lowest satisfaction level. Chinese consumers had satisfied with container design and feelings.
한국어 정도부사 ‘좀’은 피수식어의 정도를 약화시킨다는 점에서 대표적이며 중국어 정도부사 ‘有點兒’과 통사적으로 비슷한 점이 많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좀’을 기준으로 중국어 ‘有點兒’과 대조하여 그 통사적 특성을 피수식어의 범주에 따라 피수식어와 공기할 때의 수식제약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차이를 밝히고자 했다. 그 결과를 종합하면 ① ‘좀’은 형용사와 제약 없이 공기할 수 있지만 ‘有點兒’은 상태 형용사를 수식할 수 없다. ② ‘좀’은 일반적으로 일부 성상 관형사만을 수식하며 이런 성상 관형사는 중국어에서는 형용사로 표현된다. ③ 정도부사 ‘좀’은 일부 부사만 수식할 수 있으나 ‘有點兒’은 부정부사와 제한된 시간부사를 빼고 다른 부사와 거의 공기할 수 없다. ④ 체언의 수식에서 정도성을 나타내는 명사일 경우 ‘좀’은 ‘명사구+이다’의 형식과 같은 지정사 구를 수식할 수 있다. 중국어에서 원칙적으로 정도부사는 직접 명사를 수식할 수 없지만 어휘 의미가 전환된 결과로 ‘정도부사+명사’의 구조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⑤ 일부 동사도 ‘좀’의 수식대상이 된다. 이럴 경우 중국어에서 ‘동사+得+有點兒+형용사’의 형식으로 표현되면 더 자연스럽다.
본 연구는 빨간색 셔츠의 시각적 감성을 비교 분석하여 소비자 감성을 반영한 셔츠의 색채기획에 도움을 주고자, 한국과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상에서 시각적 평가방법으로 7가지 톤의 빨간색 색지와 빨간색 셔츠에 대한 시각적 감성과 선호도를 평가하였다. 평가된 자료는 빈도 분석, 평균, 요인 분석,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빨간색 셔츠의 시각적 감성은 스포티, 로맨틱, 클래식 등 3개의 감성요인이 추출되었는데, 이 요인들은 톤, 성과 국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국 대학생은 한국 대학생에 비해 strong톤의 빨간색 셔츠가 더 스포티하고, dark톤이 더 클래식하다고 지각하였다. 또한 한국 대학생은 deep톤의 빨간색 셔츠를 로맨틱하다고 평가하였으나, 중국 대학생은 light톤과 pale톤의 셔츠를 로맨틱하다고 평가하였다. 한편, 7가지 톤의 빨간색 셔츠에 대한 선호도는 국적 및 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중국 대학생은 한국 대학생보다 dark톤과 pale톤의 빨간색 셔츠를 더 구매하고 싶어 하였으나, 한국 대학생은 strong톤의 셔츠를 더 선호하였다. 또한 남자 대학생이 dark와 dull톤의 빨간색 셔츠를 더 선호하는 반면, 여자 대학생은 light톤의 빨간색 셔츠를 더 선호하였다.
중도입국 학생의 교과학습 부적응 현상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가 주목한 것 은 이주배경 출신 국가와 교육과정의 차이로 인해 겪고 있는 어려움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는 점이다. 이를 위해 중도입국 학생의 비율이 높은 중국의 초등 수학을 대상으로 한국의 초등 수학 교육과정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중도입국 학생의 수학 교과학습 부적응의 원인 은 한국어 학습 어휘에 대한 소통능력이 부족한 점과 교과과정의 단원 구성 차이와 학년별 영역별 내용 체계의 차이로 인한 교수 학습의 방법 차이가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 로 초등 수학 교과의 학습 부적응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한국과 중국의 수학 교육과정과 교 과 분석을 바탕으로 각 학년별 단원에 제시된 학습 어휘 이해를 통해 학습 문제에 대한 적 응을 도울 수 있도록 어휘 학습지를 개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각 단원별 내용 체계에 맞게 한국 수학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을 도달할 수 있도록 중국의 해당 교과 내용 을 비교하여 수준별 문제 학습지를 개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외에도 한국어 의사 소통능력의 부족으로 인해 생기는 학교생활 적응의 어려움과 교육환경의 차이, 심리적 불 안정은 학교와 지역사회가 연계하여 학습 클리닉과 멘토링 시스템을 활용하고 다문화 가정 출신의 교육 전문가 집단과의 네트워크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cross-cultural examination of behavioral activation/inhibition in physical educ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Korean participants were 494 students and Chinese participants were 447 students. We surveyed the BAS/BIS questionnaire for physical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reliability analysis and independent t-test with confidence interval. Result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the students’ BAS/BIS score were differentiated by country, gender and grade variable. Second, generally, Korean males tended to have higher positive teachers’ action-attitude scores than Chinese male students. Third, Korean female and male students showed higher BIS score including incompetence and negative teachers’ action than Chinese students. Fourth, there were also grade difference on positive teachers’ action-attitude and negative teachers’ action in both countries. Conclusion: We found some of the cultural background between Korean and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and its psychological properties and suggested the cross cultural research in Nothern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China, Korea and Japan.
This paper has a aim at comparison of ways of thinking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rough analysing especially deictic words in two languages.Deictic words are appropriate materials for comparison of way of thinking, because they are extremely context-sensitive and reflect well human life.
They were divided into 3 categories in this study, which are personal deixis, time deixis and place deixis. After this study we can say that there are more consideration for hearer in Korean than in Chinese. That characteristic is a important evidence to understand Korean and Korean's way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