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한국에 공공디자인이 도입되고 2016년 ‘공공디자인 진흥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 었다. 2018년 5월에는 정부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제1차 공공디자인 진흥종합계획 (2018~2022)을 수립하고 정부가 방향성을 가지고 공공디자인을 진흥할 수 있게 되었다. 제 1차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이 수립된 이후 지방자치단체들은 공공 디자인의 진흥 및 통 합관리를 위해 필요한 시책을 수립․시행하고, 필요한 재원의 확 충과 운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상위 행정구역인 8개도를 대상으로 각 도가 수립한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을 살펴보 고 공통된 진흥 방향과 각 지역의 특징에 따른 차이점을 분석해본 결과, 첫 번째는 제1차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의 전략 방향의 큰 틀을 따르면서도 각 지역의 특성에 맞게 전략 과 세부과제를 재배치하고 다른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지역의 지리적,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전략과 세부과제를 수립했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지역민과 행정에 관한 전략과 세부과제를 강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아직 공공다자인 진흥계획을 수립하지 않은 지자체나 진흥계획 수립 후 5년이 경과된 지자체에 공공디자인 진흥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고 2차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의 새로운 방향성과 시사점 그리고 개선 점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팅 FDM 방식의 적층 방향에 따라 기계적 물성이 달라지는 이방성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위상 최 적설계를 수행하였다. 벤치마크 문제인 자동차 현가장치 부품 중 하나인 로어 컨트롤 암에 대하여 밀도법 기반 위상 최적설계를 수행 하였으며, 외부 하중과 이방성 특성에 따라 위상 최적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최적화된 모델에 대하 여 3D 프린터로 적층 방향을 달리하여 2가지 시험품을 제작하였으며 인장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시 3D 비접촉 변형률 측정기를 이 용하여 변형률을 구하였으며 이를 CAE 응답해석으로 얻은 변형률과 비교한 결과가 정량 및 정성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3D 프린팅 적층 방향을 고려한 위상 최적모델의 인장 실험 결과를 통해 해당 최적설계 방법론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This study proposed a simplified finite element analysis procedure for designing the nonstructural masonry wall in the out-of-plane direction. The proposed method is a two-step elastic analysis procedure by bilinearizing the behavior of the masonry wall. The first step analysis was conducted with initial stiffness representing the behavior up to the effective-yield point, and the second step analysis was conducted with post-yield stiffness. In addition, the orthotropic material property of the masonry was considered in the FE analysis. The maximum load was estimated as the sum of the maximum loads in the first and second step analyses. The maximum load was converted into the moment coefficients and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yield line method applied in Eurocode 6. The moment coefficients calculated through the proposed procedure showed a good match with those from the yield line method with less than 6% differences.
본 연구는 고령에 접어들고 있는 베이비부머 집단의 보행 운동용 스마트 스포츠웨어 및 스포츠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수용태도를 분석하고 베이비부머 집단의 특성에 맞는 스마트 워킹웨어 및 연동 애플리케이션 개발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조사연구로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측정 도구는 기존 스마트 스포츠웨어와 스포츠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 기능성 사용성에 대한 수용태도를 묻는 문항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조사대상은 50세 이상 65세 미만의 베이비부머 집단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비부머 소비자들은 스 마트 스포츠웨어의 기능 및 성능안전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나 관리 및 내구성에 대한 우려가 있어 스마트 스포츠웨어의 내구성 및 편의성 개선방향 및 사후 처리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스포츠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교육적인 기능으로 인식하며, 인지용이성 및 접근성에 대해 젊은 세대에 비하여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베이비부머 소비자의 보행운동용 워킹웨어의 디자인 및 기획 방향으로는 ‘일반 스포츠웨어 디자인의 일상적 디자인’, ‘소비자의 선호가 반영된 기능’, ‘관리의 편의성 및 내구성을 높인 디자인’ 등을, 보행운동용 애플리케이션의 기획 방향으로는 ‘쉬운 스포츠 애플리케이션 구성’, ‘교육적 운동 콘텐츠 구성’ 등을 제시하였다.
In dieser Arbeit wurde versucht, die Perzeption der Studenten von dem Kulturlernen im Fremdsprachenunterricht(FU) zu erfassen und über Ausrichtung des Unterrichts für Kulturlernen inklusive Literacies zu diskutieren. Dabei ging ich davon aus, dass der Kulturunterricht an den koreanischen Hochschulen sogennate Multiliteracies einschließen sollen. Dazu habe ich Studenten befragt, um ihre Perzeption von Literacices beim Kulturunterricht zu erfassen. Davor habe ich ein paar Terminologie wie Literacies, Cultural Literacy, Intercultural Literacy, Critical Literacy, und Information Literacy neu definert. Nach der Analyse der Umfragenresultat habe ich die Aufsätze von den Unterrichtsführungen des Intercultural Literacy und Critical Literacy untersucht. Die Analyse hat es gezeigt, dass die meisten koreanischen Studenten Kulturelernen im FU als wichtig fanden. Dagegen glaubten die ähnlichen Zahl der Studenten, dass Critical Literacy im Kulturlernen weniger nötig als andere Literacies war. Das hängt von dem Schulsystem von Korea, weil Lernerinnen in der Schule Kritik nicht so einfach üben könnten. Daher soll man im Kulturlernen an den Hochschulen Critical Literacy behandeln. Außerdem soll man beim Kulturlernen Schwerpunkt an das Interculral Literacy legen, um Studentinnen bei der Vorbereitung auf die globale Welt zu helfen. Die Arbeit hat auf der Grundlage der vorherigen Untersuchungen darüber diskutiert, wie man Intercultural Litarcy und Critical Literacy ins Kulturlernen einführen kann.
교과내용 중심으로 설계되는 온라인 수업은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들 간의 직접적인 면대면 상호작 용과 소통, 문제해결 및 새로운 지식과 정보의 심도깊은 익힘과 숙달의 기회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B사이버대학은 학습자들의 학습실태 조사, 수업 및 학습상담에 대한 학습자들의 요구를 반영, 2015년 1 학기부터 교수자별 교과목 1개 이상을 블랜디드 러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의 온라인 수업체제에서 학습자들의 학습실태와 오프라인 수업에 대한 만 족도 및 요구사항에 대한 분석, 그리고 시범적으로 운영한 오프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견 등을 토대로 사이버대학의 수업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블랜디드 러닝을 위한 교수설계의 방향을 탐 색하는데 있다.
중진 지역에 있는 RC 골조의 횡하중에 대한 설계에서 저층부에 있는 보와 기둥의 강도는 상층부의 강도보다 커야만 한다. 그러나 횡하중에 대한 보의 설계 모멘트를 골조의 수평방향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으로 재분배 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모든 보의 강도를 같게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최대한 많은 층의 보 휨 강도를 동일하게 만들기 위한 수직방향 보 모멘트 재분배의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2경간-6층 RC 골조를 수직방향 모멘트 재분배를 고려한 경우와 고려치 않은 경우로 각각 설계하고 이들의 내진성능을 정적 비선형 한계하중 해석법과 동적 비선형 시간이력 해석법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해석결과 수직방향으로 보의 모멘트를 재분배하면 재분배 한 크기만큼 증가된 연성도를 요구하지만, 이 추가적인 요구는 상세설계가 잘된 RC 부재의 연성도 능력보다 작다.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소비자의 선호를 바탕으로 디자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디자인이 출시될 미래시점에서 소비자가 선호할 수 있는 디자인 컨셉을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있을 수 있겠지만 추세분석(trend analysis)은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방법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추세분석을 통하여 미래 소비자의 감성에 부합하는 MP3 플레이어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과 내용으로서 먼저, 소비자의 지속적인 선호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시점에서 소비자가 선호할 수 있는 디자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추세분석방법을 모색하였다. 실증연구로서 2000년부터 2007년 7월까지 출시된 MP3 플레이어 228개를 수집하여 디자인의 속성과 그 속성의 수준을 결정하고 SPSS프로그램의 동질성분석을 이용하여 추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래의 소비자 역시 감성경험을 중시하는 소비추세가 주류를 이룰 추세이다. 따라서 MP3 플레이어 디자인은 소비자의 감성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디자인 기반으로 작용할 추세이다. 이를 기반으로 MP3 플레이어디자인을 4가지 추세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것은 1. 고가격의 PMP기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의 MP3 플레이어디자인 개발 2. 기본기능의 MP3 플레이어디자인 개발 3. 새로운 컨버젼스 제품디자인 개발 4. 플래시 기반 제품디자인 개발이다. 디자이너들이 디자인의 추세결과를 바탕으로 미래 디자인을 추론할 수 있다면 경쟁에서 경쟁우위를 점할 수 있는 확률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 직무연수 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초등교사 전문성 향상을 꾀하는 직무 연수 프로그램 설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강원도 초등교사가 이수한 직무연수 자료를 전수조사하여 내용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교사 직무연수 유형은 [교직 발달과 전문성], [아동이해], [교사이해], [교육과정과 수업], [교사직무], [변화대응]의 6가지 대분류 항목, 그리고 하위 영역으로서 18개 중분류, 85개 소분류 항목이 도출되었다. 또, 해당 결과에 대한 교차분석과 빈도분석을 통해 초등교사 교직경력에 따른 각 관심 영역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러 한 결과에 근거한 초등교사 직무연수 설계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연수의 목적: 초등교사 전문성 향상, 둘째, 직무연수 내용 구성: 학급담임으로서 역량 강화, 셋째, 직무연수 적용 기준(방법): 의무성과 자율성의 균형이다. 지금까지 논의는 초등교직이 입직 이후 더는 추가 교육이 필요 하지 않은 완성형 직업이기보다, 지속적인 현직교육을 통해 끊임없이 전문성을 추구해야 하는 전문직임 보여준다.
우리사회의 경제적, 문화적 발전은 민간부문 중심의 산업디자인 분야만이 아닌 공공디자인 분야에서도 지속적인 수준향상과 발전을 가져왔다. 특히,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활발히 추진되어 온 공공디자인 사업은 기능적 편리함은 물론 공간의 아름다움과 지역의 정체성 확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발전을 거듭하여왔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사업 주체간의 경쟁적, 성과위주의 공공디자인 개발사업은 공공시설물의 지속가능한 사용 측면에서 가로경관을 해치거나 사용되지 못하고 방치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설치공간을 특성에 따라 도시공간, 자연공간, 문화공간으로 분류하고 각 설치공간에 따른 연구자의 실제 공공시설물 디자인 개발사례를 활용하여 공공시설물 디자인 개발에 있어 지속 가능한 사용 측면의 주요문제점을 발굴하여 이를 통해 문제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공공시설물의 주요문제점을 형태, 색채, 재질을 포함한 외관디자인 관점, 공공시설물의 생산성, 설치 및 철거용이성, 유지보수의 효율성 등을 포함하는 공급자 관점, 마지막으로 사용성과 유무형의 콘텐츠 등을 포함 하는 수요자 관점으로 나누어 사례와 함께 문제점의 원인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공공시설물의 문제점 및 원인 분석과정을 거쳐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공공시설물의 디자인 개발을 위해 첫째, 설치공간과의 조화를 위해 과도한 대상물의 상징, 직접적이고 사실적인 묘사가 아닌 은유적이고 절제된 표현이 외관디자인 관점에서 중요하며 둘째, 디자인 개발단계부터 시설물의 구조적 접근에 따른 부분별 디자인을 통한 생산, 조립, 설치 방식의 표준화 개발과 셋째, 모든 사용자를 위한 물리적, 감성적 사용성과 유무형 콘텐츠 측면의 가치 발굴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 및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공공시설물 디자인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 외관디자인, 공급자, 수요자 관점의 복합적인 디자인 접근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공공시설물디자인 개발에 가장 중요함을 연구의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미래사회와 미래교육의 변화에 따라 향후 미래학교가 어떠한 곳이어야 하는지, 그 공간은 어떻게 설계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미래학교의 개념과 미래학교 공간 설계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탐색하기 위해 우선 국내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미래학교의 개념과 미래학교 공간 설계의 원리, 이를 바탕으로 미래학교의 구체적인 공간 구성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구도 분석은 미래학교의 개념과 미래학교 공간 설계의 방향, 구체적인 공간 구성에 대해 교사와 학생, 학부모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와 보유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요구도의 수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미래학교의 교육목표로 다양성과 창의성을 가장 우선시해야 하며, 교육과정에서는 컴퓨터 및 스마트기기 활용교육을 강조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래학교 공간 구성의 원리로 는 친환경성과 안전성을 우선시해야 하며 공간 구성에서는 학생의 휴식 공간 확보를 우선시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터해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적인 측면에 서 미래학교 설계를 위한 학교시설․설비기준령의 개정이 필요하다. 둘째, 미래학교의 구체적인 공간 탐색에 대한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가로공공시설물은 사회 전반의 디자인에 대한 관심 증가와 디자인 역량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의미 있는 개선을 지속적으로 이루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특정한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복잡한 이해관계자 및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가 존재하는 공공디자인의 특성으로 인해 현재까지도 주변환경과 사용자를 고려하지 못한 공급자 중심의 가로공공시설물이 개발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가로공공시설물 디자인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디자인 관점 및 디자인 방향 변화의 필요성과 실질적 방안을 제시하여 가로공공시설물 디자인 개발을 위한 실질적인 활용이 가능하도록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형태, CMF,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관점을 재정의하여 설정하였으며 설치 장소에 따른 가로공공시설물 사례를 통해 주요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연구자의 실제 디자인 개발 사례와 함께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배경, 연구목표 및 방법 등의 과정을 거쳐 첫째, 형태적 관점에 있어서는 조형의 직접적인 묘사가 아닌 은유적이고 절제된 표현과 시설물 본연의 기능을 저해하는 과도한 상징을 지양하는것이 필요하며 둘째, 단순히 시각적인 요소로써의 색채와 재질의 적용이 아닌 설치환경과 시설물의 전체, 부분의 구조적인 특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색채 및 재질의 계획이 중요하고 마지막으로, 공공시설물을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일반 시민만이 아닌 설치, 관리를 위한 다양한 사용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본 연구의 결과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반적으로 반복해왔던 획일화된 디자인 관점의 접근에서 벗어나 형태, CMF, 사용자중심 디자인 관점의 복합적인 접근이 가로공공시설물 디자인에 가장 중요함을 전체적인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사물인터넷은 최근 가장 뜨겁게 정보통신업계를 흔들고 있는 트랜드이다. 수많은 사람이 사물인터넷을 말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들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질적인 전략과 국/내외 디자인 사례들을 통하여 사물인터넷이 우리의 문화생활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으며, 앞으로 산업과 사회를 새롭게 변화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기술적인 측면의 사물인터넷 예시들을 분석하여 한국의 수준과 방향성을 개인과 기업이 대비할 수 있도록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범위와 방법으로는 사물인터넷에 관한 이론적인 고찰을 시작으로 영역 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스마트 제조사들의 사물인터넷 영역 및 방향성에 관하여 분석하고 연구한다. 이에 따른 한국의 준비 수준과 방향성에 관하여 분석하고 연구한다. 블루오션을 창출하는 기업들의 활동을 조사하여 사물인터넷에 관하여 앞으로 준비해야 하는 것을 연구하는 것이다. 사물인터넷은 어떠한 의미를 담고 있으며, 기업들이 사물인터넷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연구한다. 그중에서 특히 다양한 디자인 제조기업들을 분석하여 결과적인 한국의 수준과 방향성을 연구해본다.
청소기 제품을 구매하는데 중요한 요소는 디자인이다. 시각적인 매력과 흥미를 유발해야 관심을 끌게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양한 계층의 소비자를 하나의 디자인으로 대체할 수는 없다. 따라서, 많은 소비자에게 다양한 청소기 디자인제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청소기 제품의 인식구조분석을 통한 청소기 시장의 세분화를 분석한다. 그리고 전략을 연구하여 소비자의 계층별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 연구의 방향과 목적이다. 연구범위 및 방법은 우선 소비자의 다양한 계층에 따른 행 동 및 청소기 제품에 관한 환경을 연구한다. 제품 구매과정을 탐색하고 제품 보유 및 사용실태를 연구한다. 이에 따른 제품의 인식구조를 분석한다. 청소기에 대한 이미지와 청소기 제품의 속성 및 소비자의 지각을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장의 세분화 전략을 세우는 것이다. 시장의 세분화 방법과 군집성향을 분석하여 연구한다. 청소기 디자인에 대한 인식구조를 통 한 소비자의 세분화 계층을 분석, 연구하여 디자인의 개선된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대부분, 청소기 디자인제품을 구매하려고 하면, 다양한 청소기 제품들의 색상과 기능 그리고 가격을 비교한다. 그리고 마음에 드는 제품을 선택하게 된다. 색상에 대한 인지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기호와 생활방식에 부합이 되는 색상이 선택된다. 그리고 가벼우면서도 흡입력이 강한 제품이 선호도에 맞추어 선택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성의 편리함도 중요한 역할을 보여주고 있다. 소비자들의 생활문화와 습관 패턴들을 분석하여 프리미엄 청소기 디자인 이미지 및 속성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구입/사용 형태 및 니즈(Needs)를 충족하기 위한 청소기 구입과 사용성을 탐색하였다. 청소기 컨셉의 속성을 연구한 것이다. 또한 USP(Unique Selling Proposition) 발굴을 위하여 청소기 관련 소비자행태 파악 및 소비자 니즈를 연구하는 것이다. 신제품청소기 시장 활성화를 위한 콘셉트(Concept) 및 USP(Unique Selling Proposition) 연구를 통하여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고 프리미엄 청소기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주요 사회/문화 Trend 및 생활방식 등의 포괄적 이해/분석을 통해 성공적인 신제품청소기 개념(Concept)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제품구매과정 및 보유사용형태 분석을 통한 소비자의 행동 및 시장환경을 연구하고 다양한 계층의 소비자를 분석한다. 그리고 제품 인식구조를 분석하여 신제품청소기 콘셉트 방향을 제안하는 것으로 범위를 선정하였다. 청소기 디자인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여 앞으로 디자인되는 청소기 제품의 발전된 방향성과 소비자가 원하는 디자인과 기능이 함께 첨부될 수 있도록 연구하는 것이다.
쾌적한 주거환경과 올바른 공기정화에 관심이 깊어지면서 생활용품 디자인(Living Design) 전자제품의 관심도가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가전제품들 안에서 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청소기라고 볼 수 있다. 여러가지의 청소기들을 살펴보면 독창성이 부족하며 구매에 대한 선택의 폭을 좁혀주는데 어려움을 가져오게 된다. 그것은 뚜렷한 제품의 기능과 디자인 포인트 차별화가 감소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실내 주거환경 안에서 생활하는데 가장 밀접한 제품 중에서 하나로서 청소기의 역할은 중요한 부분이면서 동시에 위생(Hygienic)을 생각해주는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의 목적으로는 위생 개념의 극대화 및 가시화된 기능적인 디자인 컨셉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위생적인(Hygienic) 개념의 도입을 통한 공간 사용성의 확장과 디자인 기술력을 가시화하는 것이다. 독자적인 차별화 USP(Unique Selling Proposition)/ERRC전략(Eliminate, Reduce, Raise, Create), SWOT(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hreat) 분석을 통하여 가치 있는 목표를 설정하고 시장에서 이슈(Issue)화할 수 있는 감성디자인 확보 및 프리미엄 디자인을 위한 컨셉 제안을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청소기 실내사용 환경과 다양한 청소기의 경쟁사/ USP(Unique Selling Proposition) /ERRC(Eliminate, Reduce, Raise, Create) /SWOT(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hreat)들을 분석하고, 고객 니즈를 사용자 중심에서의 연구를 통한 제품 사용에 관한 편리성을 분석하여 프리미엄 신제품 청소기 콘셉트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로는 첫 번째 디자인 컨셉 도출의 결과로는 신뢰감을 느낄 수 있는 필터 디자인을 통하여 위생적인 아이디어를 컨셉으로 보여준다. 이에 미세먼지에 대한 시각적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독창적인 편리성(Unique Convenience)을 강조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프리미엄 아이덴티티(Premium Identity)를 추구하는 것이다. 기술적이며 기능적인 위생기능(New System)을 적용한 다른 경쟁사와 다른 나만의 Look을 가진 제품 정체성(P.I)을 제시하는 것이다.
최근 의료 소비자들은 건강에 많은 수요를 보이며 이에 의료산업 분야는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특히 병원에서는 고객의 의견을 반영하며 시대의 트렌드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시각적 환경 이미지 형성에서도 내·외부 환경에 변화를 고려하는 등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꾀하고 있다. 하지만 의료기기 디자인은 의료진의 효율적인 진료와 환자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소외당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자에게 있어 내원하기 싫은 병원 1순위인 치과에서 꼭 사용될 수밖에 없는 유니트체어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우선 FGI를 실시하여 유니트체어의 이미지를 결정짓는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조사 실험단계에서 디자인만족도 평가항목을 요인분석하여 대표평가 요인으로 압축하였다. 그 후 선정된 대표요인으로 디자인만족도 조사를 하였다. 만족도 조사결과에서 나온 불만족스러운 디자인 구성요소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형용사 어휘를 이용하여 출시된 제품들의 이미지를 평가했다. 그리고 설문 조사를 통해 나온 선호하는 제품 이미지 영역과 비교, 대조하여 관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교 분석을 통해 나온 내용을 동일한 지각도에서 서로의 영역이 어떻게 위치하는지 알아보고 향후 출시될 유니트체어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