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0

        1.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Interventions for acute low back pain include exercise therapy such as stretching, aerobic exercise, and sling exercise. Another treatment method for back pain is soft tissue release. Soft tissue release is a relaxation method that improves balance while allowing tension tissues to relax as much as possible. Objectives: To investigated the effect of acute low back pain on the massage ball exercise.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e twenty-eight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Massage ball exercise with TENS group (MBETG, n=14) and the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group (TG, n=14). For MBETG, massage ball exercise (BALLance Dr. Tanja Kühne method) was applied for 25 minutes followed by TENS for 15 minutes. The TG group applied TENS for 40 minutes. Each group conducted the intervention three session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measuring the numeric pain rating scale (NPRS), surface electromyography (%MVIC),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each group. Results: Significant reduction was observed for NPRS and ODI in the MBETG (P<.05). And Significant higher was observed for %MVIC of the Erector spinae in the MBETG (P<.05). The NPRS and ODI in the MBETG were decreaed than the TG (P<.05). Conclusion: Massage ball exercise to patients with acute back pain will be effective in reducing pain, increasing muscle activity, and improving functional disability.
        4,000원
        2.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알츠하이머질환(Alzheimer’s disease: AD)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트레드밀 운 동(Treadmill exercise: TE)과 환경강화(environmental enrichment: EE) 처치가 인지기능, 근 기능, 및 밀 착연접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AD 동물 모델을 제작하기 위해 aluminum chloride(AlCl3)를 90일간(40mg/kg/하루) 투여 하였으며 동시에 TE(10-12m/min, 40-60min/day) 혹은 EE에 노출시켰다. 그 결과 AlCl3 투여에 의한 인지기능 저하와 근 기능 감소가 TE와 EE에 의해 완화된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TE와 EE는 AD 질환에서 나타나는 β-amyloid(Aβ), alpha-synuclein 및 tumor necrosis factor-α(TNF-α) 단백질의 발현 증가를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TE와 EE는 AlCl3 투여에 의해 감소된 밀착연접 단백질(Occludin, Claudin-5 및 ZO-1)의 발현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Aβ 단백질과 밀착연접 단백질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적 상 관관계(Occludin: r=-0.853, p=0.001; Claudin-5 : r=-0.352, p=0.915; ZO-1 : r=-0.424, p=0.0390) 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를 종합해 보면 TE 혹은 EE 처치는 AD에 나타나는 병리학적 특징들을 일부 완화 시켜 인지기능과 근 기능을 일부 개선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4,200원
        3.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Nordic hamstring exercise is a closed-chain exercise that effectively activates all lower extremity muscles, but there is a lack of consideration of ankle joint which affects exercise effectiveness. One of the major advantages of the Nordic exercise have been known as strengthening lower extremity extensors. This manifests the exercise increases activities of the ankle plantar flexors as well as hip extensors. Objectives: To investigated the impacts of changes in ankle position on the lower extremity musculature and subjective difficulties during the Nordic hip extension exercise.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Twenty the healthy mal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perform three variations of the Nordic exercises including three ankle positions. Each Nordic exercise was defined as ankle position (neutral, dorsiflexion and plantar flexion). During the Nordic exercise, erector spine (ES), gluteus maximus (GM), biceps femoris (BF), gastrocnemius (GCM) activities and subjective difficulties (Borg RPE score) were measured. Results: Muscular activities of the biceps femoris and gastrocnemiu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ankle conditions, which showed controversial results (P<.05). The biceps femoris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the dorsiflexion condition, compared to the others (P<.05). On the other hand, activity of the gastrocnemius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the plantarflexion position compared to the others (P<.05). Conclusion: Present study suggests the ankle positional changes could affect lower muscular activities during the Nordic exercise. Although it is difficult to affirm the causes due to limited data, selective activation of the biceps femoris might accomplish with ankle dorsi flexion and that of the gastrocnemius might accomplish with the ankle plantarflexion during the Nordic exercises.
        4,000원
        4.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a reduced graphene oxide-manganese dioxide (rGO-MnO2) composite material using a one-step hydrothermal method and used it as a transducer layer in solid-state ion-selective electrodes (ISEs) for monitoring potassium and sodium ions in sweat. The rGO-MnO2 composite was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X-ray diffraction (XRD), revealing its unique surface morphology and crystalline structures.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s, including cyclic voltammetry (CV) and potential response testing, demonstrated the excellent performance of the rGO-MnO2 composite material as a transducer layer in ISEs. The fabricated electrodes displayed good linear responses to potassium and sodium ions, with a voltage response of 36.4 mV and 47.6 mV per unit concentration change, respectively. The electrodes also exhibited improved resistance to gas interference, such as O2, N2, and CO2. We utilized these ISEs to measure changes in potassium and sodium ion concentrations in sweat samples collected over nine days of exercise, demonstrating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GO-MnO2-based ISEs. This work highlights the potential of using graphene/metal oxide composites as solid contact materials in ISEs for cost-effective and stable ion sensing applications.
        4,000원
        5.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ward head posture (FHP) is a musculoskeletal disorder that causes neck pain. Several exercise interventions have been used in South Korea to improve craniovertebral angle (CVA) and relieve neck pain. There has been no domestic literature review study over the past 5 years that has investigated trends and effects of exercise intervention methods for CVA with neck pain. This domestic literature review aimed to evaluate the trends and effects of exercise interventions on CVA and neck pain in persons with FHP. A review of domestic literature published in Korean or English language between 2018 and 2022 was performed.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on Google Scholar and Korea Citation Index by using the following keywords: “exercise,” “exercise therapy,” “exercise program,” “forward head posture,” and “neck pain.” Ten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All of the studies showed positive improvements after intervention programs that included exercises. Notably, four of these studie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ult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mong the 10 studies, nine measured visual analogue scale or numerical rating scale scores and reported significant reductions in pain following interventions, including exercise programs. Five of these stud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ult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urthermore, six studies that used neck disability index exhibi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symptoms after implementing intervention programs that included exercise,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ults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is domestic literature review provides consistent evidence to support the application of various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s to improve CVA and relieve neck pain from FHP.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review the effects of various exercise interventions on FHP reported not only in domestic but also in international literature.
        4,000원
        6.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일회성 발목가동성 운동프로그램이 만성적인 발목불안정성(CAI)에 나타나는 발목가 동범위와 통증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발목불안정성 설문지 검사에 서 좌, 우측 평균 점수가 24점 이하인 성인여성 20명을 선정 하였으며 집단은 일회성 발목 가동성 운동프 로그램 집단(Ankle mobility exercise program, AE, n=10)과 대조군(CON, n=10)으로 구분하였다. AE 처 치는 일회성 운동에 대한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좌·우측 발목을 각각 1회(20분) 실시하였으며 처치 전후 발목불안정성 검사, 통증 및 발목가동범위를 확인하였다. 먼저 AE 프로그램을 실시한 AE 집단의 통증 수 준은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또한 AE 프로그램 처치한 AE 집 단에서 배측굴곡이 사전과 비교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일회성 발목 가동성 운동 프로그램은 CAI에서 나타나는 발목 통증과 발목의 가동범위를 개선시켜 결과적으로 발 목 불안정성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 중재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4,000원
        7.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미세전류자극이 비만인의 체성분과 혈중지질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복합운동의 효과와 비교함으로써 효과적인 체형 관리 방안으로서 미세전류자극의 유용성을 밝히고자 하였 다. 체지방율 30% 이상인 여대생 30명을 통제집단, 복합운동집단, 미세전류자극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집단 별 4주간의 처치 전후 체중, 체지방율, 허리 둘레 등의 체성분 요인과 TG, TC, apolipoprotein 등의 혈중지질성분을 측정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통제집단에서는 모든 측정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복합운동 집단에서는 허리둘레와 TC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 으로 나타났고, 미세전류자극 집단에서는 체중, 체지방율, 허리둘레, apolipoprotein 등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미세전류 자극은 비만인의 체성분과 혈중지질성분을 개선 시켜 건강한 신체를 갖도록 하는데 효과적인 중재 방안으로 제안할 수 있다.
        4,300원
        8.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열정을 갖고 파크골프에 참여함으로써 느끼는 운동만족 및 행동의도의 인과 관계를 살펴보았다. 대상은 파크골프 참여자 18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 대상은 2023년 7월 20일 ~ 9월 14일 까지 세종시에 거주하면서 파크골프를 하고 있는 대상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을 활용하였다. 또한, 빈도분석과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요인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열정은 운동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열정은 행동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운동만족은 행동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 는 파크골프의 열적적 감정이 만족감과 행동의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는 의미로써 참여자의 열정이 저 하되지 않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면 파크골프 저변확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4,200원
        9.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PARα activator가 고지방 사료를 섭취한 운동하지 않은 쥐에 비해 고지방 사료를 섭취한 운 동 쥐에서 백색지방조직의 혈관신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수컷 쥐는 무작위로 PPARα activator인 fenofibrate와 운동을 모두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Con), fenofibrate 단독처리군(FF), 운동 단독처리군(Ex) 및 fenofibrate와 운동의 조합처리군(Ex+FF)으로 나누어 8주간 고지방 사료를 섭취시 켰다. 백색지방조직의 무게와 백색지방세포의 크기는 Con에 비해 FF, Ex 및 Ex+FF 모두 감소하였으며, Ex+FF는 FF에 비해 더욱 감소하였다. 백색지방조직에서 MMPs와 혈관신생 인자의 유전자 발현은 Con에 비해 FF, Ex 및 Ex+FF 모두 감소하였으며, Ex+FF는 FF에 비해 더욱 감소하였다. 그러나 혈관신생 억제인 자의 유전자 발현은 Con에 비해 FF, Ex 및 Ex+FF 모두 증가하였고, Ex+FF는 FF에 비해 더욱 증가하였 다. 따라서 본 연구는 fenofibrate 단독처리보다는 fenofibrate와 운동의 조합처리가 효과적으로 백색지방조 직의 혈관신생을 억제함으로써 백색지방조직의 증가를 감소시키고 복부비만을 억제한다는 것을 밝혔다.
        4,200원
        10.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두 이소플라본은 갱년기 증상에 대한 유익한 효과 때문에 폐경여성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본 연구는 난소절제 쥐에서 대두 이소플라본인 제니스테인과 수영운동의 동시처리(Gen+SE)가 제니스테인 단독처리(Gen)와 수영운동 단독처리(SE)에 비해 비만과 간 기능 개선에 유익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것 인지를 조사하였다. 난소절제 쥐는 무작위로 대조군(Con), Gen, SE 및 Gen+SE으로 나누어 8주 동안 고지 방식이를 섭취하였다. 몸무게, 백색지방조직의 무게, 간 조직의 지질추적 및 혈청 속 ALT와 AST 수치를 조사한 결과, Con에 비해 Gen과 SE는 감소하였고 Gen+SE는 Gen과 SE에 비해 더 효과적으로 감소하였 다. 간 조직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와 TNF-α 유전자의 발현은 Con에 비해 Gen과 SE 모두에서 감소하였고, Gen+SE는 Gen과 SE에 비해 더욱 감소하였다. 그러나 adiponectin 유전자의 발현은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간 조직에서 지방산 산화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은 Con에 비해 Gen과 SE에서 증가하 였고 Gen+SE는 Gen과 SE에 비해 더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두 이소플라본과 수영운동의 상호작 용은 난소절제 비만 쥐에서 비만 조절과 저하된 간 기능 개선에 매우 효과적이며, 이것은 난소절제 쥐에서 간의 지방산 산화를 촉진함으로써 발생한 것이라는 것을 제안한다.
        5,100원
        11.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A functional movement screen (FMS) can be used as an intervention method as well as a test method. Compensatory action due to a faulty functional movement result in imbalance of the body, and decrease in proprioceptive sensation and flexibility. However, the benefits of exercise using FMS on proprioceptive sensation and flexibility are unclea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 using FMS on the proprioceptive sensation and flexibility. Design: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experimental design. Methods: Fifty-two young adults in their 20s were divided into an FMS exercise group (FEG, n=26) and a control group (CG, n=26). The FEG conducted FMS exercise intervention for 12 days, and CG did not implement any intervention. Each group evaluated proprioceptive sensation and flexibility before and after exercise. To measure proprioceptive sensation, the angles were measured at both shoulder joints, elbow joints, hip joints, and knee joints using the active joint sensory position test method. To measure flexibility, situp forward bending evaluation was performed. Results: In the FEG, bilateral proprioceptive sensation and flexibility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intervention (all P<.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G (all P>.05).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both proprioceptive sensation and flexibility (all P<.05).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exercise using FMS can significantly improve proprioceptive sensation and flexibility.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consider exercise using FMS as an intervention to increase joint proprioceptive sensation and flexibility.
        4,000원
        12.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만성요통을 가진 여성노인의 체형 및 요부안정화를 위해 12주간 필라테스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체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통증의 변화를 규명함으로써 노화를 늦추고 신체활 동 영역을 높일 수 있는 노인에게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3~5cm 중증도 통증범위의 만성요통을 가진 16명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통증척도지를 통해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을 단순무선표집(Simple Random Sampling)으로 선정하였다. 요부안정화 필라테스 운동 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12주간 50~60분간 실시하였으며, 1세트 종료 시 1분 휴식을 주는 방식으로 실시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체형 및 통증에서는 경추 기울기에서 요부안정화 운동그룹의 경우 운동 전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통제집단은 증가하였다. 둘째, 요부 통증의 결과 운동집단의 경우 운동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통제집단은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요부안정화 필라테스 운동은 만성요통을 가진 여성노인에게 있어서 통 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체형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13.
        2023.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논문의 목적은 연구 문헌 중 요통 환자에게 보행운동을 적용한 무작위 대조군 실험설계를 메타 분석을 하여 통증과 장애지수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논문은 다음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였다: Google scholar, PubMed, Sciencedirect, KISS, RISS, NDSL. 지난 10년간 영어나 한국어로 된 논문 중, 요통이 있는 환자들이 보행운동을 하였을 때, 통증과 장애지 수를 연구한 논문들을 검색하였다. 이 논문에는 (1) 요통이 있는 환자, (2) 중재에는 보행운동이 포함되며, (3) 평가 지표에는 통증과 장애지수가 포함되었다. 최종 결과로 35개의 논문을 확인하였고, 그중 15개의 논문이 충족되었다. 결과: 본 논문은 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보행운동을 중재로 주었을 경우의 논문 15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 였고 분석하였다. 통증과 장애지수와 관련되어 각각 12개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통증과 관련된 12개의 논문의 효과 크기는 중간의 효과 크기나 나타났고, 장애지수와 관련된 12개의 논문의 작은 효과 크기가 있었다. 결론: 보행운동은 요통 환자들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장애지수를 줄이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보 행운동은 요통을 지닌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4,600원
        14.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수컷 쥐에서 PPARα activator fenofibrate 단독처방(H/F)과 수영운동 단 독처방(H/S)에 비해 fenofibrate와 수영운동의 조합처방(H/F/S)이 백색지방조직의 염증 개선에 유익한 상 승효과를 나타낼 것인지를 조사하였다. 몸무게, 체내 백색지방조직의 무게 및 혈청 총 콜레스테롤 수치는 저지방식이를 섭취한 쥐(L)에 비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쥐(H)가 증가하였으며, H에 비해 H/F와 H/S 모 두 감소하였으며, fenofibrate에 의해 감소된 수치는 fenofibrate와 수영운동의 조합처방(H/F/S)에 의해 더 효과적으로 감소하였다. 체내 백색지방조직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유전자와 지방산 산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L에 비해 H는 증가하였으며, H에 비해 H/F와 H/S 모두 감소하였고, H/F/S는 H/F 에 비해 더욱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수컷 쥐에서 fenofibrate와 수영운동의 조합처방은 fenofibrate 단독처방에 비해 지방산 산화를 촉진하여 비만으로 발생한 백색지방조직의 염증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비만으로 발생하는 지방조직의 염증을 개선하는 실질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4,300원
        15.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CLBP) recommend therapeutic exercise, and recently, interventions for pain neuroscience education (PNE) are also recommended.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quatic exercise combined with PNE on pain, disability, and fear-avoidance beliefs in patients with CLBP. Design: Randomized control trial. Methods: The 27 participants recruited in this study were randomly allocated as pain neuroscience education combined with aquatic exercise group (PAEG, n=14) and aquatic exercise group (AEG, n=13). Both groups performed aquatic exercise for 50 minutes, 3 times a week for 6 weeks, and only PAEG received additional PNE. Numeric pain rating scale (NPRS), modified oswestry disability questionnaire (MODQ), and fear-avoidance beliefs questionnaire (FABQ) were used as evaluation method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NPRS, MODQ and FABQ (physical activity and work score)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PAEG. Howev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NPRS, MODQ and FABQ (physical activity score)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AEG. PAEG and AEG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DQ and FABQ (work score). Conclusion: Aquatic exercise combined with PNE improved disability (MODQ) and fear-avoidance beliefs (FABQ) has been shown to have additional benefits. Therefore, combining PNE as a clinical intervention for CLBP patients will enhance the therapeutic effect.
        4,000원
        16.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 수중걷기운동이 비만 노인 여성의 신체조성, hs-CRP, HOMAIR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체지방률 30% 이상인 비만 노인 여성 중 운 동군(10명), 대조군(10명)으로 총 20명으로 실시하였으며, 모든 검사항목은 동일한 방법과 조건으로 신 체조성, hs-CRP, HOMA-IR 및 혈압을 사전, 사후 총 2회 측정하였다. 수중걷기운동은 12주간, 주 3 회, 1회 50분, RPE 11-14 강도로 실시하였다. 측정변인에 대해 평균값과 표준편차(M±SD)를 산출한 후 사전 운동군과 대조군의 신체적 특성과 각 측정변인에 대한 동질성 검정을 위하여 독립 t-test를, 집 단 내의 사전·사후 평균치 변화에 대한 차이 검증은 종속 t-test를, 집단 간 차이에 대한 주효과 검정 및 집단 간 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는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운동군에서 신체조성, 체지방률(p<.05), 인슐린(p<.01), HOMA-IR(p<.01) 및 수축기 혈압(p<.05)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따 라서 수중걷기운동이 비만 노인 여성의 비만 및 심혈관질환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4,000원
        17.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Inspiratory muscle training can improve inspiratory strength and endurance through threshold loading. In addition, trunk stabilization exercises can improve trunk strength and respiratory function.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inspiratory muscle training and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on pulmonary function and inspiratory muscle activation in college students.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Methods: In this study, 24 college stud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inspiratory muscle training and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experimental group, n=12), and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control group, n=12). Inspiratory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using a surface electromyography. Pulmonary function was measured using a spirometer and a peak expiratory flow meter. Res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muscle activity of both upper trapezius and latissimus dorsi muscle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interven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both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all the pulmonary fun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 In this study, when the inspiratory muscle training was additionally applied to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in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y, it was possible to improve the inspiratory muscle activity and pulmonary function.
        4,000원
        18.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Changes in foot sole shape can result in plantar muscle weakness, lack of proprioception, increased ankle instability, and an inability to balance. Objectives: To investigated whether different floor surfaces influenced the effect that short-foot exercises have on the foot core system of healthy individuals. Design: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experimental design. Methods: This exercise shortens the length of the foot by raising the medial longitudinal arch, strengthening the intrinsic muscle of the sole, and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medial longitudinal arch.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gle of the medial longitudinal arch in the mat exercise group (MEG) and vibration exercise group (VEG)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P<.05). As the arch angle decreased, the arch height increased. Post hoc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floor exercise group (FEG) and MEG or between the MEG and VEG (P>.05). In terms of the weight distribution index (WDI,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G and VEG (P<.05) but not in the FEG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P>.05). The post hoc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FEG and MEG (P>.05). Conclusion: Various methods to improve the strength of intrinsic muscles of the sole are more effective than no stimulation, and that short-foot exercise combined with sensory stimulation can be recommended for maintaining and increasing the medial longitudinal arch.
        4,000원
        19.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A spinal extension and intensive rehabilitation program reduced the symptoms and pain of kyphosis, and improved function. Objects: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a spine extension device on the degree of thoracic kyphosis and extension angles, confirm reduction of the kyphosis angle and an increase in flexibility. Methods: Thirteen adults were enrolled in the experiment, using the spine extension device, which was set to passively extend the spine. The angle between the spinous process of the first thoracic vertebra and the spinous process of the twelfth thoracic vertebra was measured by dual inclinometer before and after using the spine extension device. Results: In the static posture, the thoracic kyphosis decreased after using the spine extension device in the thoracic extension postur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thoracic extension angle increas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5).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thoracic kyphosis angle and thoracic extension angle of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using spine extension device was compared and analyzed, which proved that the spine extension device can effectively improve the mobility of spinal extension.
        4,000원
        20.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improving the spinal stability could be more effectiv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recurrenc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is known to strengthen the lumbar extension muscles and enhanc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unctions. Objectives: To investigated the effect of lumbar spiral stenosis on the kinetic link training and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Desig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Study was preformed by randomly allocated 28 LSS participants into a kinetic link training group (KLT, n=14) and a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LSE, n=14). Kinetic link training and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were performed to subjects in both groups 5 times a week for 6 weeks. To verify the effect of LSS, changes in VAS, ODI, and propriocepti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were observed. Results: In KLT,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VAS, ODI, and Propriocepti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LSE,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VAS and ODI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KLT and LSE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prioception. Conclusion: KLT and LSE are applied to LSS, there are effects of pain decrease, lumbar recovery and proprioception improvement.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