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4.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vestigation for species composition and catch in the Korean deep-water of the East Sea (also known as Sea of Japan) was carried out with trammel nets of 7 mesh sizes (6.1~24.2cm) offshore Donghae (2006) and Yangyang (2007) of Korea. The catches were 1,268kg and composed of 37 species between 200m and 1,200m in depth. The principal species caught were Taknka's snailfish, salmon snailfish, red snow crab, hunchback sculpin, snow crab, spinyhead sculpin, Tanaka's eelpout, Alaska cod and so on. Those were target fish for commercial value except salmon snailfish. The mesh sizes for the largest catch were 10.6cm and 15.2cm in the fishing ground of Donghae and Yangyang, respectively. The habitat of snow crab was shallower than that of red snow crab in both areas. Trammel net enabled to investigate fish in deep-water with small fishing vessel and rather cheap expenses in contrast to bottom trawl that required too much of it. With increasing inner mesh size of trammel net the mean size of some principal species such as Taknka's snailfish, spinyhead sculpin, hunchback sculpin, Pacific cod, snow crab, red snow crab and hybrid between snow crab and red snow crab tended to be large in certain range of mesh size.
        5,100원
        5.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e and magnitude of scale effect occurring in the model experiments of fishing nets, five pairs of Nylon pyramid nets and one pair of PE ones in which all the two nets paired were equal each other in the factors determining their flow resistance, i. e., the ratio d/l of diameter d to length l of bars, the angle f between two adjacent bars, the attack angle q of nettings to the water flow, and the wall area S of nets, and different in the values of d and l were prepared. Then, the nets were attached to the circular steel frame alternately and their flow resistances with shapes in water were measured on the sea ascribing no turbulent flows by using the tension meter made of a block bearing for the experiment. All the Nylon nets were spreads out easily in water to form a circular cone at relatively low velocity of water and showed the resistance smaller a little in the nets with larger d and l than them with smaller d and l, because the filtration of water through meshes become easier in nets especially with larger l. But PE nettings were not spread out sufficiently on account of their small flexibility and showed higher resistance especially in them with thicker twines. Therefore, the difference in bar length or mesh size and flexibility of nettings between prototype and model nets are regarded to become factors ascribing scale effect. Especially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in mesh size may become large significantly in actual model experiments because the mesh size of model nets is decided at much larger value than that given by scale ratio and so the difference of mesh size between the two nets become much larger than that between nets used in this experiment.
        4,000원
        6.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an effective management of fisheries resources, we need fisheries informations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reasonable fishing effort and TAC distribution. We carried out fishing research using trammel nets in the coastal sea of Susan-port(Yangyang, Gangwondo, Korea) and Hupo-port(Uljin, Gyeongbukdo, Korea) and analyzed fishing power variation of the fishing gear in terms of species composition, condition and so on for both sites. A total of 29 species were caught with most dominant species of Hippoglossoides dubius followed by Pseudopleuronectes herzensteini, Lophius litulon and Alcichthys elongatus in Susan. The total number of species caught in Hupo was 37 species with most dominant species of Todarodes pacifius followed by Lophius litulon, Hexagrammos agrammus and Pseudopleuronectes herzensteini. CPUE of Susan fishing area per trammel net was 12.74 fish and 2.00kg on average, while it was 6.80 fish and 2.27kg on average for Hupo. The fishing power index for both sites was 1, placing the two fishing grounds in a same level.
        4,000원
        7.
        200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mprove the gill nets for croaker, Miichthys miiuy which is proper to the fishermen's income ans fisheries resource management, we had studied to the net height of present gill nets (mesh size 160mm, 50 mesh in depth), experimental gill nets-I(mesh size 150mm, 68 mesh in depth) and experimental gill nets-II(mesh size 142mm, 75 mesh in depth) in wter using the gill nets design ans analysis simulation system, and then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atch efficiency of each gill nets through the field fishing experiments. The net height of emperimental gill nets-I and experimental gill nets-II in water were estimated respectively about 1.5 times and 1.3 times higher than present gill nets which the net height is about 3.5m as the results of simulation considering the current of fishing fields. Total number of croakers which were caught by the persent gill nets was 62(body length 300~1,200mm), total catch weight was 398.7kg (mean 0.6kg/sheet). Total number of croakers which were caught by the experimental gill nets- I was 68(body length 600~1,100mm), total catch weight was 391.6kg (mean 1.2kg/sheet). Total number of croakers which were caught by the experimental gill nets-II was 28(body length 400~900mm), total catch weight was 99.2kg (mean 0.3kg/sheet).
        4,000원
        8.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피뿔고동(통칭 소라) 통발의 망목선택성 및 적정 망목을 추정하기 위하여 2003년 6월 27일~6월 29일까지 전북 군산시 말도 인근 해역에서 시험조업을 실시하였다. 시험어구는 망목 35mm, 50mm 및 65mm의 3종류의 그물감을 씌운 통발을 교호로 각각 70개씩 210개를 1개조로 구성하여 2개조를 사용하였으며, 망목선택성 곡선의 분석에는 Kitahara(1968)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피뿔고동 통발의 시험조업 결과 총어획미수는 1,682마리였으며, 피뿔고동 1,268마리 (75.4%), 배꼽고동 225마리 (13.4%), 쥐노래미 113마리 (6.7%), 기타 76마리 (4.5%) 등이었다. 2. 피뿔고동의 최대 각고/망목(max. 1/m)의 값은 1.79로 추정되었다. 3. 50% 선택구간에 대한 각고/망목(max. 1/m)의 값은 1.79로 추정되었다. 3. 50% 선택구간에 대한 각고/망목(1/m)의 값은 1.24~2.72으로 추정되었으며, 그 선택폭은 1.48이었다. 4. 피뿔고동의 어획금지체장(각고) 50mm에 대한 적정 망목은 40.3mm로 추정되었으며, 피뿔고동의 50% 선택각고 범위는 50.0~109.6mm로 나타났다.
        4,000원
        9.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민어 자망의 망목선택성 및 적정 망목을 추정하기 위하여 전남 신안구 임자도 인근의 해역에서 2002년 8월 10~8월 14일 및 2003년 8월 10일~8월 17일까지 시험조업을 실시하였다. 시험어구는 망목 129mm, 135mm, 144mm 및 150mm의 4종류의 자망을 각각 1폭씩 교호로 연결해서 12폭을 1조로 구성하여 2개조를 사용하였으며, 망목선택성 곡선의 분석에는 Kitahara(1968)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민어 자망의 시험조업 결과 총어획미수는 719마리였으며, 민어 526마리 (73.1%), 꽃게 168마리 (23.4%), 병어 17마리 (2.4%) 기타 8마리 (1.1%) 등이었다. 2. 망목선택성 곡선의 추정에서 최대 전장/망목(max. 1/m)의 값은 6.91으로 추정되었다. 3. 50% 선택구간에 대한 전장/망목(1/m)의 값은 5.62~8.03으로 추정되었으며, 그 선택폭은 2.41이었다. 4. 민어 자망의 적정 망목은 약 142mm로 추정되었으며, 민어의 50% 선택체장 범위는 798~1,140mm로 나타났다.
        4,000원
        10.
        200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해 연근해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타 통발의 주 어획대상이 되고 있는 꽃게 및 피뿔고둥과 혼획율이 비교적 높은 쥐노래미를 대상으로 수조실험을 통하여 통발의 사용 경과기간에 따른 입롱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제 어업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통발 중에서 사용 경과기간이 서로 다른 세 종류의 통발(새 통발, 6개월 사용한 통발 및 12개월 사용한 통발)을 선별하여 각각의 통발에 대한 입롱율을 조사하고, 통발의 망목선택성을 추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꽃게나 피뿔고둥에 비해 활동성이 높은 쥐노래미에 대하여 세 종류의 망목(망목 35mm, 50mm 및 65mm)의 통발에 대한 입롱행동을 각각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꽃게에 대한 통발의 사용 경과기간별 입롱율은 사용 경과기간이 6개월인 통발이 평균 4.4마리(44.0%)로서 가장 높았으며, 새 통발 2.8마리(평균 28.0%), 12개월 사용한 통발 평균 2.0마리(20.0%)의 순으로 나타났다. 2. 피뿔고둥에 대한 통발의 사용 경과기간별 입롱율은 새 통발이 평균 7.3마리(36.7%)로서 가장 높았으나, 6개월 사용한 통발이 평균 7.2마리(35.8%)로서 큰 차이가 없었으며, 12개월 사용한 통발이 평균 5.7마리(28.3%)로서 가장 낮았다. 3. 쥐노래미에 대한 통발의 사용 경과기간별 입롱율은 사용 경과기간이 6개월인 통발이 평균 3.4마리(34.0%)로서 가장 높았으며, 새 통발 평균 3.0마리(30.0%), 12개월 사용한 통발 평균 2.8마리(28.0%)의 순으로 나타났다. 4. 통발의 망목별 쥐노래미의 잔류율은 망목 35mm인 통발이 평균 2.4마리(24.0%)로서 가장 높았으며, 망목 50mm인 통발이 평균 2.2마리(22.0%), 망목 65mm인 통발이 평균 2.0마리(20.0%)의 순으로 나타났다.lly, I carried out calculation of sensitivity of control constants of autopilot with various conditions of ocean environments. 사별자의 개별성과 요구에 적합한 접근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앞으로 한국실정에 맞는 토착화된 사별관리를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시도되어야 하며 이를 실무에 적용시켜야 한다.ssumption, additional study is nee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microbes and excessive concentrations of EA, and borate at a high pH level.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국음식을 더 많이 해서 전통음식과 친밀한 장소로 발전시키자', '계절식품을 이용하고 비슷한 종류의 음식은 빼서 가격을 낮추자', '연령에 따라서, 또, 성인에서는 성별에 따라 가격 차이를 두자'는 의견 등이 있었다.이용한 배반포의 체외생산에 있어서 배양액내 항산화제의 첨가는 체외성숙단계에서만 효과적이었다. 이것은 아마도 항산화제가 체외성숙 시 난포란 내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생화학 반응의 처리시간과 관련하여 활성화시킴으로써 난포란의 생존력을 높인 것이라고 사료되기 때문에 앞으로는 돼지 난포란의 효율적인 체외성숙에 대해서 배양액내 첨가물질은 물론 나아가서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더욱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ed from Nusselt's film condensation theory on tilted plate. Using those two expressions, a correlation was formulated as a function of heat flux and tilt angle,
        4,000원
        11.
        200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원관리형 자망.통발 어구어법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서해구의 자망.통발어업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서해구의 대표적인 어종 중의 하나인 민어를 어획대상으로 하는 민어 연안 유자망어업과 피뿔고둥을 주 어획대상으로 하는 기타 통발어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현장조사 등을 통하여 조업실태와 대상어종의 체장조성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서해구의 연안어업 총 허가건수는 12,944건(조업건수 7,558건; 2001년 12월말 현재)이며, 그 중에서 자망어업이 5,154건(조업건수 3,724건)으로 39.8%, 통발어업이 1,025건(조업건수 662건)으로 7.6%를 차지하였으며, 서해구에서의 조업율은 연안 자망어업과 연안 통발어업이 각각 72.3%와 64.6%로서 타 업종에 비해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2. 민어 유자망어업의 주어기는 7월 중순부터 9월 초순까지이며, 주어장은 서해 남부 연안의 섬주변의 수심 약 15∼50m(주로 30m 이내)이고, 조업은 저질이 펄 또는 사니질인 해역에서 사리때를 전후하여 1일 1∼2회 1주일 정도 창조시 투망하여 1∼2시간 정도 어구가 조류에 표류하도록 한 후 양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민어 유자망어업의 현장조사 결과 어획된 139마리의 체장 범위는 43.0∼120cm이고, 모우드(mode)는 85cm였으며, 꽃게.병어.가오리 등이 소량 혼획되었다. 4. 서해구에서의 피뿔고둥을 주대상으로 하는 기타 통발어업은 꽃게 어기(9월 초순∼10월 중순)를 제외한 시기에 연중 조업하며, 서해 연안의 수심이 10∼20m이고 저질이 사니질인 해역에서 보통 전날 투망하여 다음 날 양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 기타 통발어업의 현장조사 결과 조사기간 중 어획된 피뿔고둥 5,372마리의 갑장 범위는 4.5∼8.5cm이고, 모우드(mode)는 7.5cm였으며, 피뿔고등 91.7%, 배꼽고등 4.8%, 민꽃게.쥐노래미.조피볼락 등이 3.5% 정도 혼획되었다.
        4,000원
        12.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멸치초망용 챗대의 유압 권양장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모형 챗대와 그물을 실물의 1/5크기로 제작하여 챗대를 권양할 때의 장력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권양기 3종을 설계 제작하여 그 성능을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챗대를 건양하는데 가장 큰 장력이 작용할 때는 챗대 끝이 수면 하 4m에 있을 때이었고, 이 때 챗대줄에 작용하는 장력은 187.5kgf이었다. 2. 멸치초망 어업에 적합한 권양기의 조건은 어탐중 챗대가 움직이지 않아야 하며, 그 방법으로 감속기나 전자브레이크를 장치하는 것보다 시간 경과에 따른 누수량이 적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3. 시험에 사용된 권양기 중 최적의 권양기에 있어서 압력차 δP를 130kgf/ cm2으로 고정하였을 때, 권양기에 감겨지는 챗대줄의 권양속도는 2m/sec로서 재래식 방법보다 0.48m/sec 빠르게 나타났으며, 양망당 약 1.6톤의 멸치를 어획할 수 있다. 4. 권양기 2대를 설치함으로써 조업인원 2명을 절감할 수 있었다.
        4,000원
        13.
        199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ow-net is originally spreaded with a lifting beam and a depressing beam. The net is improved by using canvas-made spreading devices by Mr. Han and his colleagues in the beginning of 1980's. The net is improved again by changing the partial shape of netting and arrangement of net pendants so as to be fitting with the actual performance of the net by Dr. Lee and his colleagues since 1988. The author studied to compare the fishing efficiency of those two kinds of nets(The former which was improve by Mr. Han is expressed as a traditional net and the latter improved again by Dr. Lee is expressed as an improved net in the present study). Twenty-one stow-netters concerned with the present study were selected among those based on the Port of Inchon, and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eleven of them are a traditional net used group and ten are an improved net used group. The data on the fishing operation from August 1992 to March 1993, including the catch, the price of sell, the fishing operated times in every cruise and the fished position noticed by every stow-netter were offered by concerned stow-netters. From the data the times of operation, catch and value in every cruise were extra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imes of operation in cruise were 13.7 by the traditional net used group and 12.7 by the improved net used group. 2. The mean catch per cruise showed 10.1M/T in the traditional net used group and 12.2M/T in the improved net used group, so the latter showed 21% better. 3. The mean catch per operation showed 0.7M/T in the traditional net used group and 0.9M/T in the improved net used group, so the latter showed 28% better. 4. The rate of three important species(starks, hair tail and croakers) in the total catch showed 83%, and the catch showed greater by the improved net used group at the rate of starks 141%, hair tail 110%, croakers 107%. 5. The rate of three important species in the total price showed 82%, but the price of starks which occupied the biggest in catch showed merely 5%, then the economical efficiency appeared low. 6. The mean price per stow-netter and per operation showed about 20%, greater respectively by the improved net used group and the mean price per operation by two important species(hair tail and croakers) showed greater about 30% by the improved net used group.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