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감염병으로 인해 면회가 통제된 상황에서 재활요양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면회가 기능회복 영역 및 정신 사회적 영역의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재활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 52명의 기능회복 영역에 대하여 Mini Mental State Ezamination-K(MMSE-K), Global Deterioration Scale(GDS), K-Modified Barthel Index(K-MBI), Grooved Pegboard Test를 평가하였고, 정신 사회적 영역에 대하여 Quality of Life(QoL), Emotional aspects of Loneliness and Isolation(ESLI), General Self-Efficacy Scale(GSE),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를 평가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면회집단과 비면회집단으로 구분되었고, 초기와 재평가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대응표본 t-test, Spearman's 상관관계 분석, 단순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면회집단 20명, 비면회집단 32명이었으며, 면회집단의 K-Modified Barthel Index(K-MBI)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General Self-Efficacy scale(GSE) 점수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p < .05). 비면회집 단의 Mini Mental State Ezamination-K(MMSE-K), K-Modified Barthel Index(K-MBI) 점수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며, 정서평가의 Emotional aspects of Loneliness and Isolation(ESLI),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점수는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p < .05). 면회와 Global Deterioration Scale(GDS) 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Quality of Life(QoL)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 < .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감염병으로 인해 면회가 제한된 재활요양병원 입원환자를 위한 정서지지 프로그램과 면회 제한에 대한 작업치료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4,300원
        2.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상지운동장애를 가진 아동에게 상지재활로봇치료가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문 헌을 고찰하고 그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국외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는 ‘Upper extremity’, ‘Robotic’, ‘Rehabilitation’, ‘Child’ 등이 사용되었다. 201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게재된 연구 중 선정기준에 적합한 논문 22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의 질적 분석 및 계량적 메타분석, 상지 재활로봇의 종류와 로봇 치료 전·후로 사용된 측정도 구를 분석하였다. 상지운동장애를 가진 아동에게 상지재활로봇치료의 효과는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5). 결론 : 상지운동장애를 가진 아동에게 상지재활로봇의 치료는 로봇의 종류와 상관없이 기능회복에 효과적 임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임상에서 아동에게 상지 재활치료를 위한 치료방법으로 객관적인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900원
        3.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igh performance polydimethylsiloxane (PDMS) membranes for n-butanol recovery were fabricated using a tri-functional crosslinker containing the phenyl group.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functional group structure and cross-linking density in pervaporation performance, PDMS membranes were prepared using tri-functional crosslinker containing other functional groups (hexyl and cyclohexyl) and conventional tetra-functional crosslink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ymer structure-performance was discussed based on the sorption and diffusion properties of the membranes. As a result, the phenyl-based PDMS membrane exhibited the pervaporation performance owing to the strong hydrophobicity and chain rigidity of the phenyl group compared to other PDMS membranes even at high butanol concentration and high temperature conditions.
        4.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편마비 환자 24명으로 전통적 재활 치료를 받은 대조군과 이와 더불어 가상현실 게임을 추가로 훈련한 실험군에 각각 12명씩 무작위로 나누어 총 16 주간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기능회복을 알아보기 위해 상지기능, 균형능력, 시·지각 능력, 삶의 질을 훈련 전과 훈련 6주후, 훈련 12주후, 훈련종료 4주후 추적 조사를 통해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두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균형능력, 시·지각능력과 삶의 질의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실험군은 상지기능, 균형능력, 시·지각능력, 삶의 질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조군은 상지기능과 균형능력, 시·지각능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하여 훈련한 결과 균형능력, 시·지각능력, 삶의 질 영역에서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더 많은 영역에서 유의한 기능회복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한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한 훈련이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으며,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많은 수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초기부터 함께 가상현실 훈련을 실시하여 좀 더 많은 정보를 수집 한 후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을 위한 올바른 프로토콜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4,600원
        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되먹임 제공 및 차단으로 시행된 자세수직훈련의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시각되먹임을 차단한 자세수직훈련이 뇌졸중 밀기증후군 환자의 기능회복 및 일상생활동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개별사례 교차중재 연구설계 중 대상자간 다중기초선을 이용하였으며, 밀기증후군 환자 3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초선 측정은 대상자 1이 4회, 대상자 2가 7회 그리고 대상자 3이 10회였으며, 치료회기는 대상자 1이 14회, 대상자 2가 11회 그리고 대상자 3이 8회였다. 치료중재는 대상자 1이 14회, 대상자 2가 11회 그 리고 대상자 3이 8회였다. 밀기증상의 기능회복 평가는 밀기 증후 척도, 일상생활동작을 평가하기 위하여 바델지 수 및 실험 전∙후 대칭적인 서기자세를 평가하기 위하여 근전도기로 양측 중둔근에서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시각되먹임을 차단한 자세수직훈련이 적용되었을 때 대상자 1, 2, 3의 밀기 증후 척도는 각각 기초선과 비교 하여 52.4%(5.3점에서 2.8점), 36.4%(4.4점에서 1.6점) 및 23.6%(3.6점에서 0.9점) 향상되었다. 시각되먹임을 제공한 자세수직훈련은 42.9%(5.3점에서 2.3점), 26.1%(4.4점에서 1.2점) 및 13.2%(3.6점에서 0.5점) 향상되었다. 대상자 1, 2, 3의 바델지수는 각각 기초선과 비교하여 22.4%(44.3점에서 54.1점), 15.5%(44.7점에서 51.6 점) 및 15.8%(51.5점에서 59.6점) 향상되었다. 시각되먹임을 제공한 자세수직훈련은 17.0%(44.3점에서 51.8점), 11.4%(44.7점에서 49.8점) 및 14.8%(51.5점에서 59.1점) 향상되었다. 또한 실험 전과 비교하여 실험 후 환측의 중둔근 근활성도가 더 크게 향상되었다. 결론 : 교대로 적용된 치료중재 결과를 통하여 시각되먹임을 차단한 자세수직훈련이 시각되먹임을 제공한 자세수직훈련보다 밀기증후군 환자의 기능회복 및 일상생활동작능력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는 많은 대상자를 포함시키고 오랜 기간 동안 적용한 연구들이 계속 이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6.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rtality rates from stroke have been declining. Because of this, more people are living with residual disability. Rehabilit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functional recovery of stroke survivors. In stroke rehabilitation, early prediction of the obtainable level of functional recovery is desirable to deliver efficient care, set realistic goals, and provide appropriate discharge plan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ors of functional outcome after stroke using inpatient rehabilitation as measured by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total score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on data collected retrospectively from two-hundred thirty-five patients. More than moderat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IM total scores at the time of hospital admission and FIM total scores at the time of discharge from the hospital. Significant predictors of FIM at the time of discharge were FIM total scores at the time of hospital admission, age, and onset-admission interval. The equation was as follows: expected discharge FIM total score = 76.12+.62×(admission FIM total score)-.38×(age)-.15×(onset-admission interva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IM total scores at the time of hospital admission, age, and onset-admission interval are important determinants of functional outcome.
        4,000원
        7.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of low-intensity and moderate- intensity on the functional recovery and histological change in spinal cord injury (SCI) rats. SCI was induced by the spinal cord impactor dropped after laminectomy.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the Group I (normal control), Group II (non-treatment after SCI induction), Group III (low-intensity treadmill exercise after SCI induction), Group IV (moderate-intensity treadmill exercise after SCI induction). After operation, rats were tested at modified Tarlov scale at 2 days with divided into 4 groups, and motor behavior test (BBB locomotor rating scale, Grid walk test) was examined at 3, 7, 14, and 21 days. For the observation of damage change and size of the organized surface in spinal cord, histopathological studies were performed at 21 days by H & E, and BDNF(brain-derived neutrophic factor) & Trk-b immunohistochemistry studies were performed at 1, 3, 7, 14, 21 days. According to the results, treadmill exercise can play a role in facilitating recovery of locomotion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Specially, moderate-intensity treadmill exercise after SCI induction was most improvement in functional recovery and histological change.
        4,000원
        8.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시지각 치료 후 시지각 및 인지기능, 일상생활 활동의 회복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항목간의 관련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2003년 1월 2일부터 동년 10월 30일까지 전주 예수병원 작업치료실에서 시지각 치료를 받은 뇌졸중 환자 47명을 대상으로 1일 30분씩 6주 동안 총36회를 실시하였으며, 평가도구는 시지각 평가로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MVPT), 인지기능은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MMSE-K), 일상생활 활동은 Modified Barthel Index(MBI)를 사용하였다. 결과 : 시지각 치료 전․후 MVPT 원점수, MMSE-K, MBI 총점수의 변화는 모두 유의하였으며(p<0.01) 시지각 및 인지기능, 일상생활 활동의 변수간의 관계성에서 MVPT 원점수는 MMES-K와(p<0.01), MBI 총점수와(p<0.05)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MVPT 시지각 수행속도는 MMSE-K와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결론 : 시지각 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회복 및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회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되며, 이들 항목들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4,600원
        9.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추신경계는 일단 손상이 되면 손상된 세포의 재생, 손상된 수초의 회복, 신경계의 정상적인 연결 등의 제한성 때문에 그 회복이 매우 힘들다. 이러한 중추신경계의 중요한 손상으로는 다발성 경화증, 뇌졸중, 척수손상, 외상, 축삭의 탈수초화 등이 있다. 이전 연구들은 많은 발생빈도를 보이고 있는 척수손상에서 실질적인 척수의 기능적인 회복을 위해 손상된 척수신경의 재생과 축삭의 재수초화가 중요한 요인이라고 전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척수손상에 대한 치료적 접근으로서 세포이식 기술이 하나의 해결책을 열어주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척수손상의 특성을 살펴보고, 척수손상에 의한 기능장애에 대해 세포이식이 기능의 회복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증거를 논의하고자 한다.
        4,000원
        10.
        200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ransfer of training approach on cognitive function and functional recovery and the difference in the stroke patterns of adult stroke patients with affected cognitive function. Twenty stroke patients were participated ; 8 males and 12 females, the age ranged from 34 to 73. By the classification of diagnosis, 10 subjects were cerebral infarction and 10 subjects were cerebral hemorrhage, by the classification of affected side, 11 Rt hemiplegic patients, 9 Lt hemiplegic patients who were above at least post onset 2 month to a year. It was evaluated and analyzed pre and post treatment with MMSE and FIM, and the method of transfer of training approach was practiced every 30 min a day for a month.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one 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transfer of training approach on cognitive function of stroke patinets. 2. There was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transfer of training approach on functional recovery of stroke patients.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f treatment in the group of cerebral infarction.
        4,600원
        11.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upper limb nerve mobilization (ULNM) on functional recovery of upper extremity in hemiplegic patients following stroke. Twenty patients who had functional impairment on upper extremity were participated.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 (n=10) received traditional physical therapy only for 4 weeks; Experimental group (n=10) received ULNM treatment along with traditional physical therapy for the same period. Upper extremity functions were assessed by manual muscle test (MMT), modified Ashworth scale (MAS), and Fugl-Meyer assessment (FMA)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I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upper extremity function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MMT (p<.01) and FMA (p<.01), however only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FMA after the treatment (p<.05). Moreover,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than control group in MMT (p<.05), MAS (p<.05), and FMA (p<.05). We conclude that the upper extremity functions is a useful additional therapeutic technique for the effective treatment of upper extremity deficits in hemiplegic patients.
        4,200원
        12.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effect of therapeutic exercise and to offer an approach to the physical therapy and rehabilitation procedur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following surgery. In this research, 42 patients with TMJ surgery were assigned one of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d 21 patients who performed therapeutic exercise, and the control group included 21 patients who did not perform therapeutic exercise. Conservative therapy such as an ice pack, a hot pack, and pulsed ultrasound was applied to both groups. Treatment was applied twice a day during the admission period and, after discharge, everyday for six weeks. Visual analogue scale (VAS), incisal biting force, and joint ROM were measured before surgery and at 30 days after surge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VAS (p<0.05), mouth opening (p<0.01), lateral excursion to unaffected side (p<0.05), and protrusion (p<0.05)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cisal biting force and lateral excursion to affected sid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4,900원
        13.
        199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otor and mental status and functional status, and to determine appropriate test times. Using the Modified Motor Assessment Scale(motor status) and the Modified Barthel Index(functiona1 status), the Glasgow Coma Scale(menta1 status), we tested 9 stroke patients. 1 week. 1 month after their stroke. Three measures are reliable and valid. We used the Sperman correlation coefficient(r)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to analyze the data. MMAS scores at 1 month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MBI scores at 1 month(r=0.89). But GCS scores at 1 month did not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MBI scores at 1 month. All data of MMAS at 1 month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MBI scores at 1 month. But only verbal response score among GCS scores at 1 month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MBI scores at 1 month(r=0.86). The difference of MMAS, GCS. MBI scores between 1 week and 1 month after stroke onse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ental status had more impact on functional recovery than motor status at 1 week after their stroke. Also, the motor status had more impact on functional recovery than mental status at 1 month after their stroke. But the mental and motor statu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in predicting the functional recovery status of stroke patients.
        4,000원
        14.
        201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ody perception image training on functional recovery of upper limb in stroke patients, not image training with visual stimulation for specific task. Methods: Thirty inpatients(15males, 15females) who were diagnosed as stroke participated with agreement in this study, also they were divided randomly by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efore traditional therapeutic exercise, body perception image training was performed in experimental group, as well as control group took a rest, respectively. Body perception image training program was modified using body scan part of Mindfulness Based on Stress Reduction(MBSR) for present study, then it was spplied individually for 4weeks, 5days a week for 10 min.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is training program, data of muscle activit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biceps brachii, upper trapezius and deltoid muscles through electromyogram(EMG). Results: By comparison of changes in muscle activities,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muscle activities from all theree of muscles after therapeutic intervention(p<.001). In particular, increment of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in experimental group was markedly higher than control group(p<.05). Conclusion: These results may indicate that traditional therapeutic exercise combined with body perception image training result in increase of muscle activity of upper limb, suggesting it is beneficial for functional recovery in stroke patients.
        15.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수중 운동, 균형 훈련과 복합 운동이 파킨슨 유발 흰쥐 모델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수산화도파민(6-hydroxydopamine)을 흰쥐의 좌측 내측전뇌다발에 주사하여 파킨슨 모델을 제작하였다. 실험동물은 수중 운동을 적용한 실험군 I, 균형 훈련을 적용한 실험군 II, 복합 운동(수중 운동+균형 훈련)을 적용한 실험군 III, 수술 후 표준사육장에서 운동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배치하였다. 수술 후 7일, 14일, 21일에 실험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