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Deoxynojirimycin (DNJ), an alpha-glucosidase inhibitor, has been used to prevent or treat type 2 diabetes. Low amounts of DNJ are found in mulberry leaf; however, a methodology is necessary to enhance the DNJ content of mulberry leaf extract (MLE) since increasing the amounts of DNJ is require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In this study, the DNJ content of MLE was increased through the optimization of the conditions for MLE fermentation by Lactobacillus plantarum SG-053,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By single factor testing, the optimal conditions were identified as an inoculum concentration of 1%(v/v), an MLE concentration of 3°Bx, and no agitation. Based on a Plackett-Burman design, the following factors were considered to majorly affect the DNJ content in the MLE fermentation product: the initial pH,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fermentation time.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optimal conditions for MLE fermentation was found to have an initial pH of 5.5, a fermentation temperature of 31.9oC, and a fermentation time of 34 h. Under these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s, the DNJ content in MLE increased 3.59 times, or from 23.85 to 85.54 μg/mL.
동해안 산불피해지역에서 참나무 잎 생산량의 시공간적 변이가 초식자의 밀도, 종풍부도 및 초식 피해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하였다. 본 조사지역에서 참나무 잎의 주요 초식자는 나방 유충이었다. 초식곤충의 유충의 종풍부도와 밀도가 가장 높아지는 시기는 8월 중순이었다. 연간 출현한 초식곤충 유충의 60.5%가 8~9월에 집중적으로 출현하였다. 참나무 잎 생산량이 가장 많은 시기는 7~8월이었고, 초식곤충에 의한 피해가 가장 많은 시기는 8~9월이었다. 조사시기와 장소에 따라 참나무 잎 생산량, 초식곤충의 유충밀도 및 종풍 부도는 큰 변이를 나타내었다. 본 조사지역에서 7~8월에 평균 참나무 잎 생산량은 0.96 ton ha-1로 추정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 참나무 잎의 생산량은 0.34~1.89 ton ha-1의 공간적 인 변이를 나타내었다. 8월에 초식자에 의한 참나무 잎의 소비량은 0.15~1.51 ton ha-1의 공간적인 변이를 나타내었다. 참나무 잎의 생산량이 많은 곳일수록 초식자의 종풍부도와 밀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참나무 잎 생산량의 증가에 따라 초식자에 의한 소비량과 소비비율도 증가하였다. 이 것은 참나무 잎의 생산이 많은 시기와 공간으로 초식자들이 모이는 집중화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산불피해 지역에서 먹이자원의 시공간적인 이질성과 그로 인한 먹이망의 상위단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산불지역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정량적으로 이해하고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쌈채소 수경재배 시 문제가 되는 체내 질산염 함량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 폐쇄형 생산시스템에서 1) 저광도(100μmol·m-2·s-1내외) 조건에서의 수확 7일 전 양액조성 방법과 2) 질산염 저감을 위한 적정 광도 및 수확 전 적정 양액결제시기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청치마상추에서 수확 7일 전 양액조성 방법 중 양액결제(양액공급 중단) 처리와 양액내 질소 공급원으로 탄산 암모늄[(NH4)2CO3]을 사용한 처리는 처리기간 동안 체내 질산염 함량을 감소시켰으나, 생체중, 엽면적 등의 생육량도 감소되었다. 하지만 100μmol·m-2·s-1조건에서 수확 7일전 양액내 NO3-N 비료를 결제하여 조성하거나 배양액 농도를 1/2배액으로 낮추어 공급함으로써 외적 품질 및 생육량의 저하없이 질산염 함량은 감소되었다. 또한 수확 전 양액결제시기 및 적정 광도를 구명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한 결과, 100, 200, 및 300μmol·m-2·s-1 의 3수준의 광조건 모두 수확 7일 전 양액결제시에 체내 질산염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300μmol·m-2·s- 1의 광도와 수확 7일 전 양액결제 처리시 식물체내 질산염의 빠른 저감효과를 볼 수 있었으나 생육량의 감소를 가져왔다. 수확 3일 전 양액결제 처리에 의해 300μmol·m- 2·s-1 광도에서 체내 질산염 함량은 2,021ppm에서 480ppm로, 200μmol·m-2·s-1 광도에서 3,018ppm에서 1,035ppm로 감소되었으며, 외적 품질의 저하 없이 생육량이 높으면서 동시에 짧은 시간 동안 식물체내 질산염의 저감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수확 7일 전 양액결제 처리는 체내 질산염의 저감효과가 컸던 반면 엽중, 엽면적 등의 생육 감소를 가져왔는데, 200과 300μmol·m-2·s-1의 광조건에서 수확7일 전 양액결제시 수확 3일 전 양액결제보다 엽중은 20~35%, 엽면적은 16~31%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광도 및 양액결제시기에 따른 비타민 C 함량을 분석한 결과 100, 200보다 300μmol·m-2·s-1 에서 수확 3일과 5일전 양액결제 처리시 비타민 C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잎마늘 생산을 위한 마늘 주아의 최적 주아 크기와 재식밀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첫번째 실험에서 0.2g 이상의 주아를 대주아로, 이하를 소주아로 나눈 후 대주아는 13,680bulbils/m2와 18,240bulbils/m2, 소주아는 18,240bulbils/m2와 22,800bulbils/m2의 재식밀도로 치상하였다. 발아율, 초장과 총 수확량을 측정하였다. 두번채 실험에서, 200립의 박피된 주아의 길이, 폭, 생체중과 건물중는 발아시, 발아기와 발아율의 상관를 분석하기 위해 측정되었다. 첫번째 실험에서, 발아율은 대주아에서 가장 높았다. 잎마늘 재배를 위해 재식밀도18,240bulbils/ m2가 가장 높은 발아율 때문에 가장 적당한 재식밀도였다. 수확량의 경우 생체중과 건물중 모두 대주아가 소주아에 비해 2.8배 가량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주아의 형태적 특성과 생체중과 건물중 및 폭간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또한 발아율은 생체중과 폭간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발아시와 발아기는 생체중과 폭간의 부의 상관을 보였다. 그럼으로, 결론적으로, 적정 재식밀도는 18,240bulbils/m2의 재식 밀도와 0.2g 이상의 주아 크기였다. 그러나, 더 두껍고 두 무거운 주아가 더 높은 더 빠른 발아율을 이끌 수 있다.
본 연구는 고추냉이 수경재배시 유리온실내 무차광, 10, 30, 70% 차광률이 고추냉이 생육 및 광합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광도가 증가할수록 엽록소 형광특성 ETR은 함께 증가하였으며, 무차광, 10%, 30%차광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70%차광 처리구는 다른 처리구에 비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Yield와 qP는 광도 증가와 함께 감소하였으며, 70% 차광 처리구에서 감소폭이 컸다. 광합성과 기공전도도는 10%차광에서 가장 높았으며, 증산율은 무차광 처리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고추냉이 엽면적과 생장량은 10%차광에서 가장 높았으며, 엽수는 무차광에서 가장 많고 차광률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엽장, 엽폭은 무차광, 10-30% 차광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엽병장은 무차광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뿌리의 생장은 70% 차광을 제외하고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70% 차광에서 고추냉이 잎과 뿌리의 생장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고추냉이를 11월에 정식하여 순환식 담액수경 방식으로 5개월간 재배한 결과 시설내의 차광률은 엽중, 엽병중, 엽면적과 광합성 특성 등을 고려할 때 10% 차광(700μmolm-2s-1)이 잎 생산에 적합하였다.
수경재배 시스템에서의 고추냉이 잎 생산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분무수경, 마사, Coir등의 배지경 시스템에서 60일 재배하였을 때 고추냉이 잎 광합성 속도가 높고, 상품 가능 잎(엽폭 11~13cm)이 주당 11.2~11.7매, 생체중 52~53.8g으로 높았다. Yamasaki 배양액을 급액한 담액 수경 방식에서 130일 재배하였을 때 고추냉이의 주 당 수확 잎 수가 25.7매로 가장 높았다 봄과 가을 재배 고추냉이 수경재배를 통해 고추냉이 상품 가능 수확 잎 수는 주 당 평균 2~4일에 1매를 수확함으로써 재배 환경 조절이 가능한 수경재배 방식에서의 고추냉이 잎 생산이 가능하였다.
머위 유엽의 조기생산 가능성을 구명코자 근주의 정식시기, ABA 함량과 휴면과의 관계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연환경 조건하에서 근주의 휴면은 10월 상순경부터 시작되어 11월 중순경에 가장 깊었으며, 그 후 서서히 타파되기 시작하여 12월 하순경 이후에는 안전히 각성됨을 알 수 있었고, 이 기간의 5℃ 이하 저온누적시간은 900시간 정도이다. 이는 근주의 휴면이 타파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저온이 요구됨을 의미한다. 근주의 생육시기별 ABA 함량은 머위의 생육성기인 4월부터 9월까지는 ABA가 전혀 존재하지 않았는데 이는 휴면기간 동안 다른 저장양분과 함께 근주내에 존재하던 ABA가 맹아와 함께 지상부로 이동되었기 때문이며, 반대로 10월부터 ABA가 근주내에 존재하기 시작한 것은 외기기온의 하강과 더불어 지상부가 고사되면서 지상부에 존재하던 ABA가 근주로 이동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식물체내에서 생육을 억제하고 휴면을 유도하는 물질로 알려진 ABA는 머위 근주의 휴면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methods to high quality food ramie rice cake, thereby increasing farm incom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Split Application and Adapted Fertilizer Culture for Stable Production with Edible Leaf in Ramie (Boehmeria nivea L.). Methods and Results : Method of fertilizer application were conducted under three condition compose to standard application (N-P-K-Compost applied at 27-9-27-1,500 ㎏․ 10 a−1), 25% increased application (N-P-K-Compost applied at 34-11-34-1,500 ㎏․10 a−1), 50% increased application (N-P-K-Compost applied at 41-14-41-1,500 ㎏․ 10 a−1) cultivation. Compost and fused phosphate applied at 100% of basal fertilizer in March 25. The split application level of standard application (N-K) applied at 50% of basal fertilizer in March 25, 50% of top dressing were five times application (N-K) in May 4, July 5, September 5, October 5, 20% respectively. Transplanting with Yeongkwang varieties in April 12 by growing pot seedling for 35 days in 2011. Planting density were spaced 60 ㎝ apart in rows 25 ㎝ apart with rice straw cutting covered open cultivation. Plot design randomized block 3 repetition. Conclusion :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ate, K2O, CaO, and MgO of soil increased in all plots with the addition of fertilizers culture, specifically in 25% and 50% increased application. Growth characteristics by 50% of top dressing were five times application (N-K) in May 4, July 5, September 5, October 5, compared to standard application (N-K) applied at 100% basal fertilizer, aerial part as a result were so many such amount of growth as number of branch and leaf per plant, etc., Length, width of leaf and leaf colorimetry of aboveground part growth increment rising highest. Green leaf yields compared to standard fertilizer 100% application (1,344 kg․ 10 a−1). 25% and 50% increased application (N-K) applied at 50% basal fertilizer, 50% of top dressing were five times application increased by 9%, 17%. respectively.
GABA는 glutamic acid decarboxylase에 의해서 L-glutamic acid가 탈탄산화되어 생합성된 비단백질 아미노산이다. GABA는 식물에서 스트레스에 대항한 대응반응으로 생성된다. 사 람의 중추신경계에서는 주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로 항고혈압, 항당뇨 효능이 있 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보리 잎과 옥수수 수염을 유산균과 함께 발효함으 로써 GABA 생성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보리 잎과 옥수수 수염을 다양한 무게 비율로 조 합하여 혼합하였고, 30℃에서 48시간 동안 배양기 안에서 L. plantarium과 함께 발효시켰다. 발효된 혼합물을 열수 추출한 후, thin layer chromatography와 GABase assay를 이용하여 GABA의 생산을 분석하였다. 우리는 9:1 혼합발효추출물이 다른 비율의 추출물 보다 GABA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것은 혼합과 발효기술이 보리 잎과 옥수수 수염 내 GABA 양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몇 가지 생리활성을 분석한 결과 혼합 발효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이 비발효 추출물에 비하여 증진되었고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 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보리 잎과 옥수수 수염의 조합과 이것을 유산균과 함께 발효시키는 방법이 고함량의 GABA와 증진된 생리 활성을 지닌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무제초제 친환경 작물 재배 시 봄 리빙멀치용 맥류의 사용을 위해 품종 및 파종기에 따른 출수반응 및 잎의 생산량을 2007년, 2008년 및 2009년 3년에 걸쳐 조사하였는데, 조사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호밀은 품종간 출수반응이 뚜렷이 나타나 리빙멀치용품종의 선택이 중요하였는데, 파성이 높은 Frima 및 윈트그린 품종은 지온이 낮은 3월 파종에도 출수되는 개체가 없어 리빙멀치 용으로 가능하였고, 파성이 낮은 Koolgrazer, 곡우 등 조생품종은 지온이 높은 5월 상순파종까지 출수가 되어 리빙멀치 용으로 부적합하였다. 2. 보리와 밀은 지온이 낮은 3월 파종에서 모두 출수하였지만 4월 초중순 이후에는 대부분 출수하지 않는 뚜렷한 출수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엽중에서는 밀보다 보리가, 보리 품종에서는 미락이 올보다 많았다. 3. 4월 초 중순 파종에서는 엽중이 품종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엽중이 감소하는 4월하순 이후 파종에서는 품종간 엽중의 차이가 나타나, 맥류의 파성이 크게 문제되지 않는 4월 하순 이후 파종에서는 출수반응보다는 엽중의 확보가 더욱 중요하였다. 4. 호밀 품종 두루는 4월 초순부터 리빙멀치 용으로 파종이 가능하였고 다른 품종보다 엽중이 많아 리빙멀치용으로 유망한 품종으로 생각되었다.
Maize (Zeae mays L.) is a second important crop in the country and it is first staple food in high land region. The national average yield is 2.2 t/ha. About 80% maize areas falls in this region. An introduced fungus Gray Leaf Spot (GLS) caused by Cercospora zeae-maydis has caused yield loss an average of 75%. Genetic resistance has been effective control strategy to manage this disease. The main objectives of this work were to develop, evaluate and identify high yielding cultivars tolerant to GLS. Three sets of trials were conducted in Nepal and Korea. GLS evaluation trial-I consisted of 73 genotypes, GLS evaluation trial-II composed of 38 genotypes and mid altitude hybrid evaluation trial-III consisted of 12 genotypes. Exotic, semi exotic and local germplasm of different origins were used. Among these tested genotypes, tolerant genotypes were Thai 717S31-21-3×[TZMi407 × TZMi211-11- 2-1-1-B-B-B-B-B (5.2t/ha), Pioneer12 × MASynVAR-5 F2 (5.0 t/ha) and MA SynVAR-5 F2 × Thai 919 S3 4-5-4 (4.7t/ha) with GLS mean score 2.7, 1.5 and 1 respectively in trial-I. In trial-II, superior genotypes were KYM33 × TZi3 (7.6t/ha), KYM33 × TZi18 (7.5 t/ha) and KYM33 × P45 (7.4 t/ha) with GLS scores 1.4, 2.4 and 2.5 respectively. Similarly in trial-III, high yielding genotypes were MASynVAR-5 (11.0t/ha), and TZMi407×87036- 9-1-1-1-B-B-B/TZMi102×90113-5-3-2-2-B-B-B-B (9.8t/ha). These hybrids and their parents will use to introgress resistant genes to breed better tolerant maize cultivars for Nepa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feasibility of production system of Perilla frutescens leaf-stem by fertilizing of Sta-Green in pots. Germination rate of Perilla frutescens seeds collected in 2002 was 7%, also germination rate of seeds collected in 2003 was 62%, while germination rate of seeds collected in 2004 was above 93%. Seed germination rate of Perilla frutescens collected in 2004 were higher than seed gathering in 2002. Especially, plant growth and yield of Perilla frutescens grown in pot(The pots was filled with soil mixtures of Sta-Green and Peat Moss mixed with 40:60 ratio.) was the highes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eaf and stem production of Perilla frutescens can be improved by fertilizing of Sta-Green in pots.
Activated carbon(AC) can be utilized as a soil conditioner in agricultural crop area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 on Leaf and Stem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as affected by different amounts of AC.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Growth characteristics including plant height and leaf length were the highest when activated carbon added with 10, suggesting that optimum amount of activated carbon was ranged from 10 to 20%. Growth and enlargement of the root were improved by 10% AC.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effectively more leaves of Angelica acutiloba through year-round production system by using various mulching materials. Soil temperature by covering treatment was the highest in P.E.(Polyethylene Film) mulching and followed by rice straw mulching, especially showing highest temperature in Tr. PE(Transparent Polyethylene Film) from April through May. Water content of soil was higher in P.E. mulching than in non-mulching. Leaf and stem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through year-round production showed the highest in PE mulching also root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showed the highest in P.E. mulch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af and stem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can be maximized through P.E. mulching cultivation 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effective production system in greenhouse for leaves and stems of Angelica acutiloba by fertilizing of Sta-Green in pot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Germination rate of Angelica acutiloba seeds collected in 2003 was 13%, while germination rate of seeds Collected in 2004 was above 91%. Seed germination rate and plant biomass of Angelica acutiloba collected in 2004 were higher than seed gathering in 2003. Especially, plant growth and yield of Angelica acutiloba grown in pot(The pots was filled with soil mixtures of Sta-Green and Peat Moss mixed with 45:55 ratio.) was the highes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eaf and stem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can be improved by fertilizing of Sta-Green in pots and optimizing seed collecting time in greenhouse.
The deep irrigation of rice plants brings about some beneficial effects such as reduced tiller production which results in the formation of bigger panicles, prevention of chilling injury, reduced weed growth, etc.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involvement of ethylene in the suppression of tiller production due to deep water irrigation in rice (cv. Dongjinbyeo). The ethylene production was induced in leaf sheath within 24 hours after the deep water irrigation and has increased even until 30 days after the treatment, recording 4.5-fold increase as compared to the shallow-irrigated rice plants. In the deep water irrigated rice plants, ethylene was accumulated to a high concentration in the air space of submerged leaf sheath as the irrigated water deterred the diffusion of ethylene out of the leaf sheath and ethylene biosynthesis was accelerated by the deep irrigation as well. The ethylene concentration recorded 35-fold increase in the deep-irrigated rice plants for 35 days. The tiller production was reduced significantly by the deep irrigation with water, the tiller bud, especially tertiary tiller bud differentiation being suppressed by the deepwater irrigation treatment, whereas the rice plants deep-irrigated with solutions containing 10-5 M or 10-6 M silver thiosulfate (STS), an action inhibitor of ethylene, showed the same or even higher production of tillers than those irrigated shallowly with water. This implies that the ethylene is closely linked with the suppression of tiller production due to deep water irrigation. In conclusion, ethylene, which was induced by hypoxic stress and accumulated in the leaf sheath due to submergence, played a key role in suppressing the tiller production of the deepwater irrigated r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