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88

        1.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Tuned Mass Damper(TMD)가 적용된 원자력 발전소 파이핑 시스템의 동적 응답 저감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ABAQUS를 활용하여 실제 크기의 파이핑 시스템 유한요소 모델을 개발하고, 실험 데이터를 통해 모델의 적합성을 검증하 였다. 이후, 확장된 수치해석을 통해 국부 손상 발생 시 TMD의 응답 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TMD는 무손상 상태에서 가속도와 변위 응답을 각각 최대 20%와 30% 저감하는 효과를 보였으며, 특정 국부 손상(30%, 50%, 70%)에서도 저감 효과가 유지됨 을 확인하였다. 이는 국부 손상이 시스템의 주파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임을 시사한다. 그러나 손상의 위치와 응답 특성에 따라 저감 효과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최대 응답 위치에서 TMD의 효과가 보다 두드러졌다. 본 연구는 선형 해석에 초점을 맞췄으며, 향후 비선형 재료 특성과 다양한 지진 조건을 고려한 추가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4,000원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mTeSR1 is a fully-defined, serum-free medium for the derivation and maintenance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ESC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incorporating mTeSR1 supplement during in vitro culture (IVC) on blastocyst productivity, qualitative characteristics, and outgrowth potential of bovine blastocysts. Methods: In vitro fertilized (IVF) eggs were cultured in IVC medium (control) with the addition of mTeSR1 supplement at concentrations of 1%, 2%, and 5%, respectively. The development rates of fertilized eggs and gene expression patterns of blastocysts were assessed on day 9 of culture. For outgrowth culture, blastocysts were cultured on a mouse embryonic fibroblast feeder cells (MEFs) for 7 days. Results: In vitro development of bovine preimplantation embryos in the 2% mTeSR1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p < 0.05). The apoptotic index in the 2% mTeSR1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control (p < 0.05). RTqPCR indicated that SRY-Box Transcription Factor 2 (Sox2) gene expression in the 5% mTeSR1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p < 0.05). The 5% mTeSR1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CL2 associated X (Bax) expression compared to the control and other mTeSR1 groups. On day 9 pi, blastocysts from the control and 2% mTeSR1 groups were cultured for 7 days. The 2% mTeSR1 group showed higher efficiency in forming dome-shaped colonies with stronger SOX2 expression compared to the control. Conclusions: The mTeSR1 supplement supports preimplantation embryo development and prevents apoptosis in blastocysts, leading to the efficient formation of domeshaped inner cell mass (ICM) colonies.
        4,000원
        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꽃노랑총채벌레는 다양한 작물에 직간접적 피해를 일으키는 흡즙성 해충으로 살충제 저항성 검정 실험 등을 위한 실험 곤충으로 사육되고 있 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꽃노랑총채벌레를 사육한 결과 시간과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개선된 사육법을 개발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주요 개선된 점으로는 수확한 떡잎을 씻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며 채란 시기에는 채란용 떡잎의 건조를 막기 위해서 사육통 내 수분을 적절히 공급해 주고, 알부터 약충 후기까지는 과습을 방지하기 위해 수분 공급을 줄이고, 약충 후반기부터 번데기가 우화 시기까지는 수분 공급을 다소 늘리는 방법 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특히 약충과 번데기 시기에는 사육통을 층층이 쌓을 수 있으며, 성충기에도 채란용 통을 계단식으로 쌓아둘 수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개선된 사육법을 통해 사육통이나 채란통 준비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으며, 채란통이나 약충 및 번데 기 사육통의 사육 면적을 93%로까지 줄일 수 있었다. 성충 생산 수는 사육통 하나 당 적게는 50~100마리 많게는 150~200 마리까지도 가능하였다.
        4,000원
        4.
        202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율운항선박의 기술혁신과 상용화는 해운산업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변 화시키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인공지능의 발전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 다. 그러나 디지털 융복합에 기반한 기술적 혁신에도 불구하고, 선원의 인권 보호와 프라이버시 침해 등과 같은 문제는 여전히 법적 사각지대로 남아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자율운항선박 개발 및 상용화 촉진에 관한 법 률」 제19조에 인권영향평가 조항을 신설함으로써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과정 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선원 인권 침해 요소를 사전에 식별하고 방지할 수 있는 규제적 장치를 마련하고자 한다. 특히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신설 조항은 자율 운항선박법 제19조의 개정을 통해 선원의 인권 보호와 해사데이터 보안을 담 보할 수 있는 의무 조항을 포함하도록 하고, 해양수산부장관이 자율운항선박의 시범운항 및 실증 과정에서 선원의 인권 보호를 위한 인권영향평가를 의무적으 로 시행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명확히 하는 데 목적을 둔다. 더불어 이 연구는 2024년 기준 국회에서 논의 중인 「인공지능 기본법」 등의 관련 법령과의 연 계를 통해 자율운항선박과 연계된 이해관계자들의 프라이버시 및 데이터 보안 문제를 국내외 다중사례분석 방법에 기반하여 층위별로 분석하였으며, 국제해 사기구의 MASS Code 등 국제 규범과의 조화를 통한 제도 개선 방안을 포함하 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향후 선원인권영향평가 기준의 실효성을 검증하여 자율운항선박의 상용화에 대비하여 사전예방의 관점에서 선원인권 침해를 최 소화하면서 신뢰성과 안전성을 갖춘 선박운항이 가능하도록 하는 법적·제도적 기초를 확립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8,900원
        5.
        2024.11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드럼 스틱의 스피드와 질량 변화에 따라 소리의 특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드럼 연주자나 교육자 또는 드럼을 포함한 음악의 편곡자 및 프로 듀서 등에게 드럼연주에서 스틱의 환경요인에 따라 소리의 크기, 벨로시티, 톤 등이 어떻게 변화 하는지에 대해 제시하는 것이었다. 연구 방법은 스틱의 스피드와 질량의 변화에 따라 드럼의 소리 가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드럼 스틱의 두 가지 환경요인 중 스피드의 변화는 드럼 헤드로부터 드럼 스틱의 거리를 동일하게 두고 비피엠(BPM)의 변화를 통해 다양한 스피드 값을 대입하였고 질량의 변화는 드럼 스틱의 그립 위치 변화를 통해 스네어 드럼 헤드에 전달되는 다양 한 질량 값을 적용시켰다. 연구 결과 드럼 스틱의 스피드와 질량 변화에 따른 주파수 응답은 대체 로 211Hz로 유의미한 수치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배음 주파수는 약간의 차이를 보여 다소 소리의 톤 변화는 미미한 수준에서 느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데시벨은 스피드와 질량이 증가할수 록 비례하여 증가하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4,600원
        6.
        2024.11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30년대에 일렉트릭 베이스가 개발되면서 음악 장르도 다양하게 발전하게 되었다. 이후 1980 년대에 양산형 베이스가 아닌 커스텀 베이스가 탄생하게 되었고 양산형 베이스와 다르게 커스텀 베이스는 연주자 선택에 맞게 최고의 목재와 하드웨어가 사용되면서 사운드 고급화를 성공시켰 다. 양산형 베이스보다 더 좋은 배음과 출력 값, 그리고 음길이도 더 지속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 은 가장 일반적인 양산형 베이스 대표 회사인 펜더와 커스텀 베이스의 대표적인 회사 포데라 브랜 드를 선별하여 배음을 분석하고 프로 큐 이퀄라이저를 통해 양산형 베이스 음색을 커스텀 베이스 음색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연구하고 어느 악기에도 고가의 커스텀 베이스의 소리를 재현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선정한 두 악기를 로직으로 녹음한 후, 배음을 분석하고 그 차이 점을 통해 프로큐에서 각 프렛의 음정마다 이큐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 과, 전체를 하나의 이퀄라이저로 설정하는 것보다 84개의 프렛마다 배음 분석한 액티브 픽업 방식 의 이큐를 설정하는 것이 더 섬세하고 정확한 소리를 만들 수 있었고, 저음역대와 중음역대, 고음 역대에서 양산형 베이스보다 커스텀 베이스가 배음 차이가 적고 일정하기 때문에 음역대별로 더 고급화된 소리가 구현되었다는 결과를 도출해 내었다.
        5,100원
        9.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existing odor management method taking a long time to analyze samples. Using real-time air quality measurement equipment, 17 designated odor substances were measured three times at a business site causing odor complaints. As a result, three substances, hydrogen sulfide, trimethylamine, and methyl mercaptan, were measured at higher levels than the site boundary emission standards inside the business site. In the case of trimethylamine, it was measured about 500 times higher than Odor Threshold Values, and was estimated to be the substance causing the odor. Through an inspection of the business site, improvements were instructed to be made to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which is the emission facility where trimethylamine is generated. Subsequent measurement results showed that designated odor substances were measured within the emission standards at all locations, and it was determined that efficient management of odorgenerating businesses would be possible if Selected Ion Flow tube-Mass Spectrometry was utilized.
        4,000원
        10.
        2024.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가면역췌장염은 혈중 IgG4의 증가와 췌장 조직에서 IgG4 양성 플라즈마세포의 침윤을 보이는 질환이다. 제1형 자가면역췌장염의 경우 담관, 타액선, 신장, 후 복강 등을 포함한 다른 장기의 침범도 가능하다. 췌장 종괴 형태로 발현한 자가면역췌장염은 췌장얌과 감별하기 쉽지 않을 수 있다. 60세 남자 환자가 상복부 불편감으로 본원을 방문하였다. 복부전산화단층촬영 및 자기공명영상에서 4.8 cm 크기의 췌장두부 종괴가 있었고 이는 총담관를 침범하고 있었다. 내시경초음파 유도하 세침조직검사 및 내시경역행담 췌관조영술 유도하 담관내조직검사에서 악성세포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IgG4 양성 세포가 고배율시야에서 20개 이상 관찰되었다. 총 3주 동안의 스테로이드 치료 후 환자의 증상이 호전되었고 추적 영상검사에서 췌장두부 종괴의 크기가 3 cm로 감소하였다. 이상으로 췌장암과 감별이 어려웠던 췌장 종괴 형태로 발현한 자가면역췌장염 1예를 보고한다.
        4,000원
        15.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acillus thuringiensis (Bt) is widely used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insecticide compared to chemical insecticides. However, challenges such as difficulty in direct practical application, limited efficacy duration, and stability have been identified. To solve these issues, formulation-based research is being extensively conducted. In this study, the high insecticidal activity strain Bt IMBL-B9, identified in previous research, was subjected to large-scale cultivation using a fermentor. Subsequently, various formulations were developed through formulation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such as their wettability, suspensibility and particle size were assessed to select the optimized formulation.
        16.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BMI) classification and the occurrence of dyslipidemia using 3 years of health examination data from a university hospital in Changwon, and seeked to find other factors that affect dyslipidemi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vestigated the most common risk factors for developing dyslipidemia and used Kaplan-Meier survival curves to predict the probability of developing dyslipidemia according to BMI class. We then analyzed the effects of metabolic indicators such as smoking habits, alcohol consumption, blood pressure, glucose, hemoglobin A1c (HbA1c), and insulin. The Type I error rate was controlled through Bonferroni correction for multiple comparisons to extract reliable statistical data. in the present stud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robability of developing dyslipidemia was high in the obese group, and confirmed that lifestyle habits such as smoking and drinking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occurrence of dyslipidemia. Therefore, we suggest that dyslipidemia management and prevention strategies require public health policies that comprehensively manage lifestyle factors such as gender and weight management, smoking cessation, and drinking habits.
        4,000원
        17.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ported positive ion fragmentation of phenolic acid derivatives in rice (Oryza sativa L.) were summarized based on the literature. A total of eight phenolic acids (4 derivatives of ferulic acid, 3 derivatives of sinapic acid and p-coumaric acid)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rice (raw and steamed) using UPLC-DAD-QToF/MS. Results revealed that 6-O-feruloylsurose was the major component with 3'-O-sinapoylsucorse being tentatively identified in Oryza sativa L. for the first time as a new hydroxycinnamoyl derivative in rice grains. In our study, raw brown rice had the highest phenolic acid contents with Samkwang showing higher phenolic acid content than Saeilmi and Sindongjin (12.41 vs. 7.89 and 3.10 mg/100 g dry weight, respectively). Of all varieties, brown rice had higher phenolic acid contents than white rice. These contents decreased considerably when rice was steamed whereas, p-coumaric acid and ferulic acid contents were increased. Additionally, contents of rice (raw and steamed) can be used as a fundamental report for new rice varieties.
        4,000원
        18.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ater utilities are making various efforts to reduce water losses from water networks, and an essential part of them is to recognize the moment when a pipe burst occurs during operation quickly. Several physics-based methods and data-driven analysis are applied using real-time flow and pressure data measured through a SCADA system or smart meters, and methodologies based on machining learning are currently widely studied. Water utilities should apply various approaches together to increase pipe burst detection. The most intuitive and explainable water balance method and its procedure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and the applicability and detection performance were evaluated by applying this approach to water supply pipelines. Based on these results, water utilities can establish a mass balance-based pipe burst detection system, give a guideline for installing new flow meters, and set the detection parameters with expected performance. The performance of the water balance analysis method is affected by the water network operation condi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alled flow meter, and event data, so there is a limit to the general use of the results in all sites. Therefore, water utilities should accumulate experience by applying the water balance method in more fields.
        4,800원
        19.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은 열대거세미나방 성페로몬 트랩에 지속적으로 상당수 유인되는 있는 비래해충이지만, 국내에서 뒷흰가는줄무늬 밤나방에 대한 정보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향후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에 대한 다양한 연구 진행을 위해서는 대량사육에 관한 선행연구가 요구 된다. 본 연구에서는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 대량사육을 위한 인공사료 2종의 개별 및 조합 공급과, 집단 또는 개체사육이 발육 및 산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존 나방류 사육용 2종의 인공사료에 대한 발육특성을 비교한 결과, 검거세미나방 인공사료 제공시 유충은 높은 생존율과 빠른 발육을 보였으나, 번데기 무게는 감소하였다. 2종 인공사료 간 산란수에는 유의한(P < 0.05) 차이가 없었다. 집단사육은 개체사육에 비해 유 충의 빠른 발육과 번데기 무게 및 생존율 감소를 야기하였다. 또한, 먹이와 사육 방법에 따라 암컷과 수컷에 미치는 영향이 달랐다. 뒷흰가는줄무 늬밤나방의 대량 사육을 위해서는 부화 직후 검거세미밤나방 인공사료를 이용해서 집단 사육한 후, 2령 혹은 3령 이후에는 개체사육하는 것이 효 율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0.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량유살 기술을 통한 총채벌레 방제 기술이 시설 고추재배지를 중심으로 개발되었다. 이 기술의 핵심 요인은 효과적 유인제 개발에 있다. 집합페로몬에 의존하였던 유인전략은 노지 재배지에서는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지 고추재배지에서 총채벌레의 대량 유살을 위해 새로운 유인물질의 추가가 필요하였다. 또한 노지재배지에서 집합페로몬의 유인력 감소 원인을 규명할 필요가 있었다. 새로운 유인 물질로서 methyl isonicotinate (MIN)이 제시되었고, 이 물질이 실내 유인행동분석을 통해 총채벌레에 대한 자체 유인력은 물론이고 집합페로 몬과 협력효과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집합페로몬과 혼합물 형태로 노지 고추재배지에서 분석한 결과 총채벌레의 포획밀도를 증가시켰다. 특 히 이러한 증가는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유인트랩에 집합페로몬의 함량 증가는 노지 고추재배지에 서 꽃노랑총채벌레는 물론이고 다른 총채벌레류의 포획밀도를 뚜렷하게 증가시켰다. 본 연구는 집합페로몬 유인력이 시설재배지와 노지재배지 사이에서 차이가 있으며, 노지 재배지의 경우 효과적 유인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더욱 많은 집합페로몬 함량을 요구한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본 연구는 집합페로몬에 MIN을 추가하여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한 고효율 유인제를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