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건설소송과 관련해 2025년부터 법원이 시행하는 감정관리센터 와 감정관리위원제도 운영방안에 관한 것이다. 감정관리센터는 그동안 재판부별 로 진행하던 감정인 후보자선정 및 감정절차 업무를 총괄하고, 감정관리위원 은 감정절차관리와 상임전문심리위원 업무를 병행하며 법관을 보조한다. 법원은 감정관리센터를 통해 적격한 감정인을 선정하여 소송기간을 단축시키 고, 감정의 신뢰도를 높이며, 감정인추천과정의 불공정에 대한 우려를 제거할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 그동안 확인된 건설감정의 문제와 해결방안 및 상임전문심리위원제도 운영성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감정관리센터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감정관리센터 및 관계자 업무구분(감정관리위원 vs 상임전문심리위원, 감정관 리위원 vs 실무관), 감정관리 통합(감정관리센터 & 감정인등록), 감정인관리(감 정인자격 세분화, 감정평가기준 마련. 감정인등급제)와 건설감정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감정인교육을 통해 제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소송기간단축과 더불 어 건설감정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상수도 분야에서 자산관리의 주요 목표는 운영 목표를 유지하고 비용을 최소화함으로써 효율성을 제고하고, 궁극적으로 원하는 LoS(Level of Service, 서비스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데 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자산관리 기법은 전세계 상하수도 분야에 적용되어 왔으며, 한국에서도 2014년 이후 관련 연구개발(R&D)과 시범사업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LoS에 대한 이해와 적용의 부족, 불완전하거나 부정확한 데이터, 과중한 업무 부담 등의 문제로 인해 효과적인 도입에 한계가 있었다. 미국 EPA의 지침에 따르면, 자산관리의 핵심은 예측정비(predictive maintenance)와 운영ㆍ유지관리 데이터를 활용한 체계적 의사결정을 통해 자산의 기능을 최소 생애주기비용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성공적인 자산관리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LoS를 중심에 두어야 하며, 이는 투자계획 수립과 성과평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디지털화, 데이터 기반 분석, 지속적인 시스템 개선이 장기적인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이다. 성공적인 자산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자산관리의 개념과 목표를 명확히 정의하고,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 및 시스템을 구축하며, 리더십과 조기 투자계획, 핵심 원리 및 기법에 대한 교육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산관리는 과학적 데이터와 논리에 기반한 합리적 의사결정체계로 발전해야 하며, 이는 4차 산업혁명의 요구에 부합하는 방향이기도 하다. 결론적으로, LoS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없다면, 자산관리 시스템은 실효성을 상실할 위험성이 크다. 따라서, LoS 개념을 강화하는 것이야말로 고객 서비스를 극대화하고 비용 효율적인 구조를 구현하는 궁극적 목표를 달성하는 핵심 열쇠이다.
본 연구는 케이팝(K-POP) 산업의 대표 기업 중 하나인 JYP엔터테인먼트의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경영 전략 실천 사례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문헌연구, 기업공시자료, 미디어 보도 분석을 통해 JYP의 환경 보호 활동, 아티스트 인권 보장 및 사회적 가치 실현, 투명한 지배구조 구축 사례를 정성적으로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JYP는 친환경 음반 제작 및 디지털 공 연 전환을 통해 환경 부문에서 간접적 기여를 하였으며, 체계적인 연습생·아티스트 보호 메커니 즘과 윤리경영 헌장을 통해 사회적 책임과 투명성을 강화하고 있었다. 경쟁사인 하이브, 에스엠 엔터테인먼트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JYP는 ‘사람 중심 경영’ 철학을 바탕으로 균형 잡힌 ESG 실천을 추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K-콘텐츠 기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ESG 경 영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향후 문화산업 내 윤리성과 지속가능성 강화를 위한 실질적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ptimizing business strategies for energy through machine learning involves using predictive analytics for accurate energy demand and price forecasting, enhancing operational efficiency through resource optimization and predictive maintenance, and optimizing renewable energy integration into the energy grid. This approach maximizes production, reduces costs, and ensures stability in energy supply. The novelty of integrating deep reinforcement learning (DRL) in energy management lies in its ability to adapt and optimize operational strategies in real-time, autonomously leveraging advance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o handle dynamic and complex energy environments. The study’s outcomes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DRL in optimizing energy management strategies. Statistical validity tests revealed shallow error values [MAE: 1.056 × 10(− 13) and RMSE: 1.253 × 10(− 13)], indicating strong predictive accuracy and model robustness. Sensitivity analysis showed that heating and cooling energy consumption variations significantly impact total energy consumption, with predicted changes ranging from 734.66 to 835.46 units. Monte Carlo simulations revealed a mean total energy consumption of 850 units with a standard deviation of 50 units, underscoring the model’s robustness under various stochastic scenarios. Another significant result of the economic impact analysis was the comparison of different operational strategies. The analysis indicated that scenario 1 (high operational costs) and scenario 2 (lower operational costs) both resulted in profits of $70,000, despite differences in operational costs and revenues. However, scenario 3 (optimized strategy) demonstrated superior financial performance with a profit of $78,500.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trategic operational improvements and suggests that efficiency optimization can significantly enhance profitability. In addition, the DRL-enhanced strategies showed a marked improvement in forecasting and managing demand fluctuations, leading to better resource allocation and reduced energy wastage. Integrating DRL improves operational efficiency and supports long-term financial viability, positioning energy systems for a more sustainable future.
본 연구는 순창발효테마파크 방문객을 대상으로 이용행태와 외부 공간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통해 활성화를 위한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설문조사는 2024년 5월 18일부터 19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204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조사 결과, 방문객의 대부분은 가족 단위의 반 일 일정으로 테마파크를 방문했으며, 주요 목적은 놀이시설 이용과 체험 프로그램 참여로 나타났다. 방문객의 체류시간은 절반 이상이 2-3시간으로 짧았으며, 어린이를 동반한 경우 체류시간이 더 길어지 는 경향이 있었다. 중요도와 성취도 분석 결과, 지속유지가 필요한 영역으로는 이용 쾌적성, 이용 안전 성, 다양한 활동 지원성이 확인되었으며, 집중 개선이 요구되는 영역으로는 녹지 휴게성이 도출되었다. 반면, 낮은우선순위 영역은 야경 매력성, 예술성, 계절별 개화성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놀이형 교육 콘 텐츠 개발, 쾌적한 휴식 공간 조성, 계절별 경관 관리 강화 등 구체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관광 객 유치 확대를 위해서는 우선순위가 낮은 영역도 새로운 관리방향의 모색이 필요하다.
자율주행차가 보급되어 도로에서 사람 운전자와 함께 운영되는 미래가 다가오고 있다. 사람 중심으로 운영되는 도로 체계가 자율주 행차와 공존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으며, 도로 시스템도 사람 운전자와 자율주행차가 혼재된 혼합교통류를 대상으로 변화하고 있다. 현재 도로에서는 예상하지 못한 상황들이 다양하게 발생한다. 교통사고, 도로 낙하물 등 교통흐름에 영향을 주는 상황들이 발생하며, 대응을 위한 전략들이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준비되어 있다. 미래 교통상황에는 도로상에 자율주행차가 혼재되어 있으며 이를 포함하 는 돌발 및 재난상황에 대한 제어전략은 아직 부재하다. 본 연구에서는 돌발 및 재난상황 발생 시 자율주행차 제어전략에 대한 설계 방안을 제안한다. 돌발 및 재난상황 범위에 대해 정의하며, 상황 구분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여 각 상황에서 자율주행차가 안전하게 대 응할 수 있도록 제어전략을 제시한다.
고속도로 터널 구간은 일반 도로에 비해 사고 발생 빈도와 심각도가 높으며, 특히 터널 내에서 발생하는 사고나 공사와 같은 돌발 상황은 대기 행렬을 유발해 후미 추돌 위험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가 돌발 상황 지점에 접근할 때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Driving Simulator를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터널 내 교통관리 시스템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차로 변 경 유도, 속도 감소 유도, 돌발 상황 안내로 구성된 세 가지 교통관리 시스템의 개별 효과와 이들의 통합 운영이 터널의 안전성과 운 영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세 가지 교통관리 시스템을 통해 터널 내 평균 통행 속도가 증가하였으며, 돌발 상황 발생 지점에서 차량의 차로 변경과 감속이 선제적으로 이루어지고 급감속 횟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터널 내 돌발 상황 발생 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터널의 안전성과 교통흐름을 개선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으며, 특히 여러 시스템을 통합적 으로 운영할 때 그 효과가 극대화됨을 Surrogate Safety Measure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터널 교통관리에서 단일 시스 템의 기능만을 고려하기보다는, 다양한 교통관리 시스템 간 상호작용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PURPOS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oadway management strategie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event of a radiological emergency, select feasible alternatives, and simulate a portion of the West Coast network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se strategies. METHODS :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involved reviewing the relevant literature, extracting the implications, establishing an analysis procedure, and selecting an effectiveness evaluation scale. Using a national transportation database, a network was constructed using Toba, a macroscopic model. RESULTS : A reverse-flow lane system was applied to the West Coast Expressway Glory IC–Hampyeong IC (total 25 km), and a plan to increase the number of lanes was applied to the Seokgyo Street–Shinpyeong Intersection on National Route 23 (total extension 28 km). Consequently, both road management strategies were found to be effective. CONCLUSIONS : This study examined roadway management strategie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event of a radiological emergency, selected feasible alternatives, and simulated a portion of the West Coast network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se strategies. In the case of reverse flow lanes, it is most effective when applied to expressways that can restrict the entrance and exit of vehicles. In the case of increasing the number of lanes, it is most effective when applied to general roads,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should be made to enable two-way traffic to use the reserved shoulder lanes.
Due to the large-scale production and use of synthetic chemicals in industralized countries, various chemicals are found in the aquatic environment, which are often termed as micropollutants. Effluents of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WTPs) have been identified as one of the major sources of these micropollutants. In this article, the current status of occurrence and removal of micropollutants in WWTPs and their management policies and options in domestic and foregin countries were critically reviewed. A large number of pharmaceuticals, personal care products, and industrial chemicals are found in WWTPs’ influent, and are only partially removed by current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As a result, some micropollutants are present in WWTPs’ effluents, which can negatively affect receiving water quality or drinking water source. To better understand and assess the potential risk of micropollutants, a systematic monitoring framework including advanced analytical tools such as 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y and bioanalytical methods is needed. Some Western European countries are taking proactive approach to controlling the micropollutants by upgrading WWTP with enahnced effluent treatment processes. While this enahnced WWTP effluent treatment appears to be a viable option for controlling micropollutant, its implementation requires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technical, economical, political, and cultural issues of all stakeholders.
본 연구는 사업장 보건관리자의 우수한 보건관리 활동과 동기를 파악하여 추후 보건관리자의 활동에 대한 가이드를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5년 이상 동일한 사업장에 근무한 사업장 보건 관리자 21명을 대상으로 연구에 대한 동의를 얻은 후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이메일로 보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응답한 내용을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17개의 범주와 3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 는 보건관리자로서의 보람과 성취감, 보건관리자로서의 어려웠던 부분, 어려움은 이렇게 해결하자이었다. 보건관리자는 근로자가 마음을 열어주고, 생활을 변화시키기며, 감사해 하며,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는 것에 보람과 성취감을 느낀다고 하였다. 반면, 예측할 수 없는 건강, 조직문화의 변화, 질병을 비밀화하는 것, 보건관리자 업무가 편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 대해 어려움을 느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근로자의 마음을 읽어주고, 스스로 알게 하며, 기존 프로그램을 활용하며, 가장 어려운 사람을 내 편으로 하며, 자신의 성과를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보건관리자는 자신의 전문성을 갖추기 위하여 노력하고, 건강관리 성과를 지속적으로 알려 사업장의 정책결정자와 근로자들에게 보건 관리의 중요성을 설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우수한 보건관리자의 성공전략을 적극적으로 벤치마킹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