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1

        41.
        202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the development of the nuclear industry and the increase in the use of radioactive materials, the generation of radioactive waste is increasing. As the generation of radioactive waste increases, the occurrence of related safety accidents is also increasing,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adioactive waste monitoring technology to prevent such accidents in advance and efficiently manage radioactive waste.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various ICT technologies such as Internet of Things (IoT), Augmented Reality (AR), and Virtual Reality (VR) that can help with the safety management of these radioactive wastes are being developed. In this study, a radioactive waste monitoring technology was developed using ICT technology, such as management of the entire cycle history of waste using Quick Response (QR) codes, and development of AR visualization technology for small packages of radioactive waste. In addition, by using IoT technology to collect desired data from sensors and store the results, after the waste drum is loaded in the waste storage, a technology was developed to track and monitor the history and movement of the waste drum from repackaging to transfer to the storage. The data required for monitoring the radioactive waste drum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whether the drum is open or closed, temperature and humidity, etc. To collect this information, a drum monitoring technology was built with a 2.4 G wireless router, an anchor constituting a virtual zone, a tag to be mounted on the drum container, and a WNT server that collects sensor data. The network tool provided by WirePas was used for network configuration, and the status of gateways and nodes can be monitored by interworking with the WNT server. The configured IoT sensor technology were tested in a waste storage environment. Four anchors were installed and linked to the network to match the virtual zone and the real storage zone, and it was confirmed whether the movement of the tag was recorded on the network while moving the tag including the IoT sensor for analyzing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can contribute to the safety management of radioactive waste and establishment of Waste Acceptance Criteria (WCP) by and managing the history and monitoring the waste in the entire cycle from repackaging to disposal.
        43.
        2020.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s defined as a study regarding on structured and systematized of existing literature review of the intersection between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management and technology transfer offices (TTOs). It takes a deeper look at requirements within universities, scientific institutions and the business environment should be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The literature review shows that TTOs have control over the process of knowledge transfer and they have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use of production and human resources. In this paper, authors proposed the methodological tools based on methodology model, which identified success factors for using project management in TTO between two countries - Kazakhstan and Spain. Further, we used methodology is focused on solving the problems of quantitative analysis based on the use of primary data, which allowed us to reach a huge number of respondents without any restrictions, and secondary data from statistical database. Findings and results are summarized at the end of article show that Kazakhstan is following the path of the Spanish experience. However, Kazakhstan can become more successful in commercializing scientific technologies and transferring knowledge and technologies. In turn, Spain can use the data from our analysis to work on barriers and improve the activities of TTOs.
        44.
        201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PR 1400 액체방사성폐기물관리계통 효율성 증가와 계통의 성능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핵종 이온 광물화 처리기술을 적용 하는 것을 고려하였다. 핵종 이온 광물화 처리기술은 현재까지 발전소에 실제적으로 적용되진 않았지만 원자력발전소의 액 체방사성폐기물에 존재하는 다양한 핵종 이온을 최소 95% 이상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 하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바 있다. 본 논문은 핵종 이온 광물화 처리기술의 제염율을 반영하여 기존 설계에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기존 설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핵종 이온 광물화 처리기술의 제염 특성과 기존의 액체방사성폐기물관리계통 설계 및 운전 경험을 고려하여 최적의 적용 위치를 결정하였다. 원자력발전 운영에 따라 발생하는 액체방사성물질이 수집되는 수집탱크에 핵종 이온 광물화 처리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기존 설계의 영향이 가장 적을 것이며, 개선 효과도 가장 큰 것으로 해석되었다. 핵종 이온 광물화 처리기술이 현재의 APR 1400 발전소 또는 신규 원전에 적용될 경우 액체방사성폐기물관리계통의 운전 효율성 증가와 계통의 성능 개선이 기대된다.
        46.
        2019.05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aper aim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technology and innovation management,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economic growth in China. By comparing the trends in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of industrialized economies (i.e. OECD), this study intends to showcase the importance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progress in the Chinese economy. The study employs time series data of an annual basis for the period from 1977 to 2016 retrieved from the World Development Indicator. The study employs unit root test, cointegration test, fully modified least squares estimation method, canonical cointegrating regression and dynamic least squares estimation method to test the hypotheses. The results of the cointegrating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manufacturing growth leads to an increase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in the short-run in China.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manufacturing (i.e. technology and product innov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increase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in the short-run and total output growth in the long-run. The findings suggest that promoting technology and innovation management and supporting R&D subsidies may reduce the marginal cost of conducting R&D and increase the rate of technology and innovation management and R&D activity and therefore,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rate.
        47.
        2019.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자력발전소 운영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인 폐수지를 원천적으로 저감하기 위해, 새로운 폐수 정화기술을 개발하고 원전 폐수처리시스템에 가상적으로 적용하여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기술의 기본 원리는 폐수에 존재하는 주요 핵 종이온들을 생물학적 혹은 화학적 방법을 통해 무기 결정광물로 바꾸는 방식이다. 실험실에서 폐수를 대상으로 회분식실험을 통해 핵종 제거율을 측정한 결과, 생물학적 방법은 24시간 이내에 세슘을 80% 이상 제거하였고, 화학적 방법은 95% 이상 세슘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그리고 원전 폐수에 존재하는 다른 주요 핵종들(Co, Ni, Fe, Cr, Mn, Eu)에 대해서도 초기 99% 이상의 높은 제거율을 보여 주었다. 우리는 APR1400 원자력발전소의 폐수처리시스템 공정에서 역삼투압(R/O)과 유기 이온교환수지 모듈 사이에 가상으로 본 기술 모듈을 설치하였다. 가상의 모듈 설치를 통한 기술적 타당성 평가를 통해, 우리는 폐수의 주요 핵종들이 90% 이상 선택적으로 제거되고 폐수지의 발생량이 대폭 감소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본 기술이 향후 미래에 상용화되었을 경우, 폐수지 관리 비용을 크게 감소시키고 수지 수명도 대폭 연장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월성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저장고 포화시점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48.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healthcare management systems in correlation with the advancing technological world, as well as the many diversified systems in different Asian countr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is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past researches that have been conducted on the field of healthcare management in different Asian countries. The different types of healthcare coverages were examined by country. Additionally, incorporating the healthcare system with technology is also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Results -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re is a rapid incorporation of the technology in today’s society with the healthcare systems. This has promising effects for the future, and for the different healthcare systems that exist within other Asian countries around the world. Conclusion - Quality healthcare for people are still elusive, and the healthcare management should improve on ways to better take care of their patients for the near future. By shedding light on the healthcare systems of Asian countries, an idea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each hold can be assessed and utilized for future goals. By incorporating technology into healthcare systems, this will help in improving the overall care and quality-of-life that patients receive for the future.
        50.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환경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에서는 환경오염 물질 배출에 대한 규제에 대응하고 나아가 자체적인 환경오염 물질 배출 개선을 위한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이 필수적이다. 현재 환경관리공단에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을 대상으로 TMS(Tele Metering System)를 설치하여 전국적으로 환경오염 배출 물질을 실시간 감시 중에 있으며, 환경오염 배출 기준치 초과 시에는 예・경보를 발생시키도록 대처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대부분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들은 환경 배출 물질 초과 발생 시 원인 분석 기능이 없고 특정 측정 장소(굴뚝 상단의 배출구나 특정 수질 측정소 등)에서의 환경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만 활용하고 있다. 특히 이력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기 때문에 유사 문제 혹은 동일한 문제 발생 시에도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지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한계점을 적극 보완하여 개선된 시스템을 기획하며, IoT 센싱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실시간으로 사업장 내 이상 상황을 인지하고 원인을 분석하여 해당 조치를 작업자에게 즉각적으로 지원하는 원스톱 환경 모니터링 및 감시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51.
        201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aims to evaluate the current state of technology of enterprises in Vietnam in comparison with several countries in the AEC economic community, thereby to propose several recommendations to Vietnamese enterprises in order able to promote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create competitiveness with enterprises in the regi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used through statistics and comparative descriptions from data collected from various sources: WEF, World Bank, CIEM, General Statistic Office. The study results show that Vietnamese enterprises still have many limitations in technology, originated from their small business scale (capital and labor), the current research capacity is still low, the funding for this activity is not high and the accessibility of the capital is still difficult. According to the Global Competitiveness Index, Vietnam's science and technology indexes are low compared to other AEC-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the availability of the latest technology; the acquisition of technology at the enterprise level; the capacity of improvement; quality of scientific research organizations..., which shall be a major barrier for Vietnamese enterprises to have to overcome to be able to create the competitiveness when entering the global market. From then on, the authors proposed solutions for two subjects, enterprises and government, to help Vietnamese enterprises to overcome this barrier.
        53.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velop various usable water from coal seam gas (CSG) water that needs to be pumped out from coal seams for methane gas production, a feasibility study was carried out, evaluating and analysing a recent report (Coal Seam Gas Water Management Policy 2012) from Queensland State Government in Australia to suggest potential CSG water treatment options for fit-for-purpose usable water production. As CSG water contains intrinsically high salinity-driven total dissolved solid (TDS), bicarbonate, aliphatic carbon, Ca+2, Mg+2 and so on, it was found that appropriate treatment technologies are required to reduce the hardness below 60 mg/L as CaCO3 by setting the reduction rates of Ca+2, Mg+2 and Na+ concentrations, as well as TDS reduction. Also, Along with fiber filtration and membrane separation, an oxidation degradation process was found to be required. Along with salinity reduction, as CSG water contains organic compounds (TOC: 248 mg/L, C6 -C9: <20 mg/L and C10 - C36: <60 mg/L), compounds with relatively high molecular weights (C10 - C36) need to be treated firs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combined system design with filtration (Reverse osmosis) and oxidation reduction (electrolysis) technologies, offering proper operating conditions to produce fit-for-purpose usable water from CSG water.
        54.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tate-of-the-art safety management system of water infrastructures based on ICT Technology is now under development by incorporating 1) real-time safety evaluation system, 2) disaster risk management support system based on GIS, and 3)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for damage restoration equipped with multi sensor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such as UAV and CCTV. This study includes development of practical natural disaster scenarios for flooding, typhoon and earthquake events based on recorded data, and standardization of disaster management platform.
        55.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그동안 백두산 화산재 피해에 대한 인식과 대비책 마련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정보통신분야에 관한 관리기준과 매뉴얼의 연구는 부족하였다. 특히, 해외 사례와 비교해보면 화산분화재난에 대한 위험성이 낮다고 판단되어 세부적인 관리기준이 미약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화산분화로 발생한 화산재의 피해영향과 그에 따른 다각도의 대응방안의 연계가 미흡하고, 부처별 역할 및 업무도 개략적인 수준에서의 제시에 머물러 있다. 특히, 통신시설 분야는 미세먼지(황사/분진) 및 대설/폭우 등의 재난 시에도 통신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대비책이 강구되어 있으나, 화산재 재해에 대한 운용교육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그리하여, 부처별 역할 및 업무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방안들을 제시하여 화산재의 낙하 및 확산 시에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 및 공조방안에 관한 관리기준을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화산재의 퇴적량과 수분함유량을 중심으로 정보통신시설부분의 관리기준을 수립하였다. 왜냐하면 아직까지 국내에 실재로 발생하지 않은 사례이며, 대응 기준의 퇴적량이 비나 바람에 의해 정보통신 시설에 균등하게 쌓이지 않기 때문에 최대치의 퇴적량과 습윤 등을 고려하여 제시하였다. 즉, 정보통신 시설 중에서 전송, 선로, 전원시설을 주요시설로 보고 관리기준을 화산재 피해정도(VAD, Volcanic Ash -Degree)에 따라 Ⅰ~Ⅳ단계로 구분하였으며, VADⅠ단계는 미미한 피해를 일으키는 단계, VADⅡ단계는 약한 피해를 일으키는 단계, VADⅢ단계는 심한 피해를 일으키는 단계, VADⅣ단계는 극심한 피해를 일으키는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다만, 본 연구가 제시한 관리기준은 실험값이 아니고 해외사례를 바탕으로 진행한 연구이기 때문에 퇴적량의 정량적 기준치 설정은 향후 지속적인 실험과 연구를 향후 과제로 남겨두었다.
        56.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owadays, wireless sensor network applications have been used in several important areas, such as healthcare, construction, critical infrastructure,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manufacturing.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WSNs in terms of memory, energy, computation, and scalability, efficient management of the large number of WSNs data in these areas is an important issue to deal with. There is a need for a high-performance computing and massive storage infrastructure for real-time processing and storing of the data as well as analysis of the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 technology and application of sensor cloud computing based on IoT and service to manage monitoring sensor data for the f construction design-build projects. With this IoT sensor cloud platform, the entire project participants can efficiently share information to identify and solve issues in the design build phase.
        58.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22종을 대상으로 제7학년과 제9학년에 나오는 식물의 종류, 출현빈도 그리고 학습내용을 직업선택과 주거생활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미래의 기술 대단원에 나오는 식물은 채소류와 화훼류뿐이었다. 채소류는 27종에서 166회 출현하였으며, 화훼류는 42종에서 68회 출현하였다. 채소류는 토마토, 무, 배추가, 화훼류는 국화, 튤립, 선인장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원예산업과 관련성이 있는 직업으로 한국표준직업분류에는 33개의 직종이 소개되어 있으나 산업과 진로 대단원에서는 6개의 직종만 소개되어 있었다. 기술․가정 교과서에는 표준직업 분류에 따라 원예산업과 관련성이 높은 33개의 직종은 물론이고 12개의 새로운 직종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족생활과 주거 대단원에서는 식물에 의한 실내환경의 개선 효과를 소개하고, 중학생들이 식물을 가까이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즉 원예식물 특히 화훼류의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기술·가정교과의 교육목표와 결부시켜 첨가함으로써 학생들의 인성교육과 정서함양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실내의 환경개선에도 도움이 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미래의 유망 직종 가운데 하나인 화훼장식 분야에 대해서도 직업 선택의 확대라는 관점에서 심도 있게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59.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를 대상으로 제7학년과 제9학년에 나오는 식물의 종류, 출현빈도 그리고 학습내용을 건강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식물의 출현빈도는 교과서에 따라 달랐다. 채소류는 56종에서 2,121회 출현하였으며, 과일류는 19종에서 322회 출현하여 원예식물은 총 75종에서 2,443회 출현하였다. 출현빈도가 높은 5대 채소류를 보면 제7학년에서는 시금치, 콩, 파, 감자, 무였으나, 제9학년은 무, 감자, 배추, 오이, 당근으로 학년에 따라 출현 종의 차이가 컸다. 이에 비해, 과일류의 경우, 제7학년에는 사과, 귤, 호두, 포도, 잣이었으나 제9학년에서는 호두가 감으로 잣이 바나나로만 바뀌었다. 해조 및 버섯류는 10종에서 235회 출현하였으나 화훼류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었다. 제7학년에서는 영양소별로 관련이 깊은 식물과 꽃을 보다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이들의 출현빈도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었다. 제9학년에서는 특정 성분을 하루에 얼마만큼 섭취해야 된다고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과일은 좋은 에너지원이라고 강조되었으면 한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