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

        41.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문화의 정체성 확립과 국가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해 한국적 색채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전통색채와 한국인의 색채의식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한국 전통색과 색채의식은 자연환경적 요인에 의한 색채이며 자연에서 색을 얻어 구현되었다. 이에 우리나라의 식물자원을 조사하고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진행되었고, 식물자원 중에서도 오래전부터 우리나라 자연환경에 적응해 자라온 자생화종 446종의 색채에서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자생화종 446종의 색채를 색상, 명도, 채도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10개의 색군집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빨간색은 34종으로 7.6%를, 주황색은 8종으로 1.8%, 노란색은 88종으로 19.6%, 파란색은 22종으로 5.1%, 연보라색은 32종으로 7.3%, 분홍색은 18종으로 4%, 보라색은 28종으로 6.2%, 자주색은 45종으로 14.2%, 흰색은 159종으로 35.5%, 기타 녹색은 11종으로 2.6%로 분류되었다. 조사된 자생화종의 색채를 먼셀분포표를 통해 색채의 분포와 색채이미지스케일을 통해 색채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빨간색과 주황색은 중·저명도의 중채도에 분포하였으며, 노란색은 고명도 중채도의 분포를 나타냈다. 파란색~자주색의 색군집은 2이상~10미만의 다양한 명도와 채도에 분포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색채이미지는 전반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나 특히 부드러운 이미지 성향의 ‘온화한’ ‘내추럴한’, ‘맑은’, ‘경쾌한’ 이미지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고유의 역사가 담긴 정체성 있는 자연색채로서 조화로운 온화한 한국색채의 특성을 만들고 색채의식적인 면에 영향을 주었으리라 생각한다. 이러한 고유 자생화종에 대한 가치를 높이고, 자연의 정체성을 부각할 수 있는 활용방안에 대한 2차적 연구를 기대한다.
        43.
        2010.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관목류 중에서 공기정화 능력이 우수한 식물을 선발하고자 톨루엔 제거 효과 측정 - 관목류 중에서는 소나무, 만병초 그리고 자금우의 톨루엔 제거 효율이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이 호랑가시나무, 광나무, 녹나무 순이었으며, 돈나무와 산호수가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 소나무는 실내에서 기를 경우 햇빛이 부족해 기르기가 어렵다. 따라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공간에서 일반 소비자가 톨루엔 제거를 위해 식물을 기를 경우에는 자금우, 만병초가 가장 우수하다. - 돈나무는 포름알데히드 제거 효율이 매우 높은 반면, 톨루엔 제거 효율은 가장 낮았다. ○ 이끼류에 대한 톨루엔 제거 효과를 측정 - 이끼류는 새집증후군 원인물질인 톨루엔 제거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이끼류의 종류별로는 톨루엔 제거 효율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 식물 상호간에 제거 효율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단위엽면적당 톨루엔 제거 효율로 계산하는데 이끼류는 엽면적을 측정할 수 없어 이끼가 놓인 표면적을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실질적으로 엽면적은 표면적보다 클 것으로 보인다. - 엽면적으로 계산한 관목류와 표면적으로 계산한 이끼류를 서로 비교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이끼류가 톨루엔 제거에 상당히 효과적이었다.
        44.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oot of Angelica tenuissima Nakai (Umbelliferae)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s of Korea as a headache, common cold and a fever remedy. A. tenuissima contains ferulic acid and various compounds of essential oil group such as limonene, 3-butylidenephthalide, γ-terpinene, neocnidilide, ligustilide, senkyunolide and neocnidilide. This study carried out to compare the contents of ferulic acid, z-ligustilide and n-butylidenephthalide between native and cultivated species of A. tenuissima by HPLC. The average contents of ferulic acid, z-ligustilide and n-butylidenephthalide indicated that native species (9 samples) were 0.060%, 0.616%, 0.025% and cultivated species (15 samples) were 0.037%, 0.141%, 0.029%, respectively. Al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different places in Korea.
        45.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ter속 식물의 부위별 항산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4종의 Aster속 식물을 수확한 후 80% 에탄올로 추출하여 radical 소거활성 및 생리활성물질 함량을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모든 식물에서 지상부보다 꽃의 추출수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참취 꽃 〉 해국 지상부 〉 참취 지상부 〉 해국 꽃 순으로 높았고,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참취 꽃 〉 해국 지상부 〉 해국 꽃 〉 참취 지상부 순으로 높았다. Fe2+ chelating 효과는 모든 시료에서 대조구인 EDTA보다 낮았으며, 시료 중에는 해국의 지상부에서 비교적 좋은 효과를 보였다. 추출물 중 참취 꽃, 해국 지상부, 벌개미취 꽃, 참취 지상부는 지질산패 8일째에서도 BHT보다 linoleic acid의 산화를 강하게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참취 꽃이 각각 90.46μg·g-1과 75.36μg·g-1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해국 꽃이 60.78μg·g-1, 41.48μg·g-1로 높았다.
        46.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APD analysis showed that all the OTUs of 'Sandolbae' were the same species because amplified band patterns of all samples generated by each of 5 random primers were identical. Even though there were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all the "Chuiangne" trees from three different places were the same species, and also all the "Cheongshilli" trees were the same species too. No genetic variations were detected between native Korean pears grown in the habitats and in the research field. Because 212 polymorphic bands were generated by 9 primers selected through primer screening, they were possible to analyze genetic relationship among naturally growing three native Korean pears and nine cultivars of Pyrus pyrifolia and P. communis. Based on the RAPD analysis, three main groups were formed. The first group represented the Six P. pyrifoia cultivars, the second group was the three native Korean pears, and the last group was the three P. communis cultivars. Genetic distance between 'Wonwhang' and 'Chojuro' was closer than other cultivars in group 1 since dissimilarity index value between these two cultivars was 50.82. However, genetic distance between 'Niitaka' and 'Chojuro' was the most distant compared to the others in group 1. In group 2, 'Sandlobae' was genetically closer to 'Chuiangne' than 'Cheongshilli' because dissimilarity index value between 'Sandlobae' and 'Chuiangne' was smaller, 50.82, than the value between 'Sandlobae' and 'Cheongshilli', 63.636. In group 3, 'Old Home' was genetically closer to 'Bartlett' than 'Kaiser Alexander(or Bosc)'. Group 3 composed of P. communis cultivars was genetically further than other two groups, P. pyrifolia cultivars and native Korean pears.
        47.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esent studie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physiology of seed germination in Viola species native to Korea. Twelve species, 1 variety and 1 form were collected, classified and used as materials: V. collina, V. blandaefomis, V. rosii, V. chaerophylloides, V. phalacrocarpa, V. patrinii, V. mandshurica, V. mandshurica for. albescence, V. seoulensis, V. yedoensis, V. keiskei, V. variegata, V. variegata var. chinensis, and V. verecunda. V. tricolor 'Helen Mount' was also used to compare wild with cultivated spec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seed germination, seeds stored at 4±2℃ for 10 months or 4 years were incubated at 10, 15, 20, 25℃ under 16h illumination with 4 replicates per treatment. Seeds which had not germinated at 10℃ were transferred to 30℃ to assess the effect of temperature change in germination. Germination percent and the days of first, 40% and 80% germination were assessed. Capability of seed germination varied with taxon; Species belonging to subsection Patellares had high ability of germination, compared to species in the other subsections, and series Chinensis was the best among subsection Patellares. Species capable of high germination germinated in all temperatures with reasonably high germination rate, but the other species responded sensitively to temperature with different germination patterns. Higher the temperature, shorter the incubation time required for first, 40% and 80% of germination. Therefore, high temperature was effective in almost all species, not only for inducing high rate of germination but also the uniformity of germination. Temperature change from 10℃ to 30℃ had a positive effect on seed germination.
        49.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해오라비란(Habenaria radiata), 자란(Bletilla striata), 복주머니란(Cypripedium macranthum)을 실험재료로 하여 종자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해오라비란의 종자발아는 전반적으로 고체배지에서 좋았으며, Hyponex 고체배지에서 29.6%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그러나 발아 후 생육은 MS배지에 코코넛워터 100mL L-1을 첨가한 MSC 액체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자란의 종자는 MS 고체배지에서 28.2%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반면, 액체배지에서는 배지의 종류에 관계없이 전혀 발아되지 않았다. 복주머니란의 자가 및 타가수분 후 90일 된 종자를 6종류의 배지에 배양한 결과 타가수분한 종자는 배지의 종류에 관계없이 발아가 되었으며, 특히 MSC배지에서 가장 양호한 4.45%의 발아율을 보였다. 그러나 자가수분 된 종자는 모든 종류의 배지에서 전혀 발아가 관찰되지 않았다.
        50.
        200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an identifying system for Iris species distributed in Korean market from complete analysing of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three native Iris species and one cultivar bred from the native Iris plant. RAPD analysis of genetic relationship among 4 Irises was possible. According to the RAPD analysi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mong 4 Irises used in this study, Iris laevigata 'Veriegata', Iris laevigata and Iris setosa were classified into the same group since they had many similarities even though the habitat of Iris laevigata in Korean peninsular is restricted mainly in the south and Iris setosa is naturally inhabited in the northern part of Kangwondo. The value for the dissimilarity index of Iris laevigata and Iris laevigata ‘Veriegata’ was 6.757. The value for the dissimilarity index of Iris laevigata and Iris dichotoma was 95.000, so that they were genetically the farthest among them since the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two species are separated far if the value of the dissimilarity index is close to 100.
        51.
        200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aryotypes were established in the eight Korean native species of the genus Iris. Chromosome numbers were 2n=50 in I. koreana and 2n=42 in I. uniflora var. carinata and their karyotype formulas were K = 2n = 50 = 14m + 28sm + 8st and K = 2n = 42 = 16m + 26sm, respectively. I. dichotoma and I. pseudoacorus were diploids of 2n=34. However, they showed different karyotype formulas: K = 2n = 34 = 26m + 6sm + 2st in I. dichotoma and K = 2n = 34 = 8m + 24sm + 2st in I. pseudoacorus. I. setosa, and I. pallasii var. chinensis carried the same chromosome numbers of 2n=40, but they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karyotype formula: K = 2n = 40 = 22m + 14sm + 4st in I. setosa and K = 2n = 40 = 26m + 12sm + 2st in I. pallasii var. chinensis. I. sanguinea was a diploid of 2n=28 and the karyotype formula was K = 2n = 28 = 14m + 14sm. I. ensata var. spontanea was a diploid of 2n=24 and the karyotype formula was K = 2n = 24 = 10m + 14sm. Each species showed characteristic chromosome composition with a pair of satellite chromosome except I. koreana with three pairs of satellite chromosomes. The chromosomes of I. dichotoma and I. uniflora were comparatively short, while the chromosomes of I. ensata were remarkably bigger than those of other species. These cytological data will give a useful information for the identification and breeding program of the Iris plants.
        52.
        200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hromosome numbers and karyotypes were investigated in four Korean native species of the genus Hosta. The chromosome complements were diploid of 2n=60 in H. japonica var. lancifolia Nakai and H. capitata Nakai, aneuploid of 2n=59 in H. minor (Bak.) Nakai, and modified triploid of 2n=92 in H. longipes (Fr. et Sav.) Matsumura. All the species carried four sets of distinctly large chromosomes of which the chromosome types were telocentrics or subtelocentrics with 4.4~7.2 μm in length. The other chromosomes were meta-, submeta, subtelo-, or telocentric types and showed gradual length degradation in the range of 1.0~3.0 μm. The satellites appeared vestigially in a pair or a triplet set of chromosomes which depends on the species. New chromosome number and karyotype in H. longipes were the first report in this species. The structural rearrangement was suggested to explain the modified triploid composition of 2n=92.
        53.
        200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둥굴레속 식물중 7종을 수집하여 각종의 지하경중의 무기성분, 당함량, 단백질 및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하경의 무기성분중 총질소, 인산 및 칼륨은 생육기보다 지상부 생육 정지기에서 약간 낮았으며 총질소 함량은 죽대, 각시둥굴레 및 퉁둥굴레가 높고 인산은 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칼륨은 둥굴레1과 각시둥굴레에서 높았다. 칼슘 마그녜슘 및 나트륨의 함량에서 칼슘은 지상부 생육 정지기에서 높았고 마그녜슘과 나트륨은 감소하였으며 칼슘은 죽대, 각시둥굴레 및 퉁둥굴레에서 높았고 마그녜슘과 나트륨의 함량은 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철, 망간, 아연 및 구리 등의 미량 무기성분은 생육초기에 가장 높았으며 생육중기에 낮았다가 후기에 다시 증가하였으며 철분 함량은 둥굴레2와 퉁둥굴레에서 높았다. 당의 함량은 생육 초기보다 후기에 더 높았는데 층층둥굴레는 모든 시기에서 가장 높았고 죽대는 가장 낮았다. 단백질 함량은 죽대가 가장 높았고 층층둥굴레가 가장 낮았다. 아미노산의 총함량은 4, 8, 11월중 8월 지하경에서 가장 높고 11월 지하경에서 가장 낮았으며 아미노산 종류중 glutamic acid와 arginine함량이 높았으며 총아미노산, 필수아미노산 및 함황아미노산 모두 죽대와 각시둥굴레에서 높은편이었다.
        54.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의 22개 지역에서 수집한 자생 바위솔속식물의 지역적으로 나타나는 변이를 구명 하기 위하여 형태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바위 솔(No. 3∼9)은 형태적으로 유사하며 , 공통적으로 엽형은 피침형, 엽두는 예철두이며, 1∼2mm의 가시를 갖는 형태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바위솔은 지역종간에 변이가 적은 비교적 유전적으로 안정된 종으로 생각된다. 둥근바위솔(O. malacophyllus)의 형태 특성은 엽형이 도란형이며, 엽두가 예두인 잎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가시가 없고 잎에 붉은점으로 치밀하게 구성된 테두리선을 갖는 것이 이 종에 속한 식물의 특징이다. 연화바위솔(No. 18∼22)에 속한 식물들의 잎은 예두, 둔두 혹은 원두의 엽두 형태를 가진 도란형이나 타원형으로 수집지별로 형태가 다양하다. 그러나 잎의 끝에 가시가 없고 회분빛녹색의 잎을 갖는 등 다른 군과 구별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포천 수집종(ll번)과 매물도 수집종인 호랑이발톱(10번)은 이 2종은 현재 명명되지 않은 새로운 종으로 추정된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