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제적으로 유전자원의 국가주권 주장이 강화되고 구체화되고 있어 우리나라 고유의 유전자원을 발굴하여 지속적으로 보존하고 활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그동안 국외로 유출되어 외국국가에서 보존하고 있던 한반도 원산 식물유전자원의 국내 재도입 배경과 추진경과,재도입 자원 내역 및 의의 등을 살펴보고, 이들 자원의 안전한 보존과 활용 방안 및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검토한 바는 다음과 같다. 1. 유전자원의 중요성에 대한 개념이 희박하였던 일제강점기, 정부수립전 및 6·25동란 시기 등에 다수의 국내 유전자원이 외국으로 유출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서, 이들 자원 중에서 국내 미보유 자원에 대하여 국내로 재도입을 추진하여고유자원에 대한 자원주권을 강화하고 지속적으로 보존 활용하는 일은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2. 미국으로부터는 2007년 식물유전자원 30작물 1,679자원을 공식적으로 재도입하였으며, 콩, 돌콩, 팥, 녹두 등의 지역수집종 및 재래종 자원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3. 일본으로부터는 2008년 32개 작물 1,546자원을 재도입하였으며, 1930~40년대의 보리, 콩, 팥, 참깨, 조 등의 재래종자원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4. 독일로부터는 2009년 118작물 901자원에 대하여 재도입하였으며, 보리, 강낭콩, 밀, 팥, 녹두 등의 북한지역 수집종및 재래종 자원들이 다수를 차지한다. 러시아에서는 1996년부터 2008년까지 26작물 296자원을 재도입하였다. 5. 국제적으로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공유에 대하여 자원주권을 강화하는 시점에 주요 국가인 미국, 일본, 독일, 러시아로부터 우리 고유의 한반도 원산 자원을 공식적으로 재도입한 것은 중요한 의의를 갖는 것으로 금후 재도입한 자원의 안전한 보존과 적극적인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6. 외국으로 유출된 한반도 원산 유전자원에 대하여 지금까지 재도입한 상기의 국가들을 제외하면 기타 국가들이 보유한자원은 많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지속적인 정보 확보 등의 노력이 필요하고, 무엇보다 국내 고유자원의 무단 해외유출을 방지하여야 하며, 국내자원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안전하게 보존 활용하는 정책지원과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식물자원 및 약용식물들의 식물 생장촉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64종 65점의 추출물 시료를 조제하여 벼(Oryza sativa) 유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11종 12점의 쑥(Artemisia princeps) 경엽,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전초,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가지와 잎, 갈대(Phragmites communis) 줄기, 율무(Coix lacrymajobi var. mayuen) 전초, 싸리(Lespedeza bicolor) 가지와 잎, 산수국(Hydrangea serrata f. acuminata) 전초, 속단(Phlomis umbrosa) 전초, 감초(Glycyrrhiza uralensis) 근경, 감초(G. uralensis) 경엽, 당귀(Angelica gigas) 뿌리 및 천궁(Cnidium officinale) 근경 추출물은 벼 유묘 생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에 따라 상기 식물 종의 부위들은 식물 생장 촉진용 농가 자가제조 액비 개발을 위한 소재로써 활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4.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rticle deals with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of Namsunghyun 'Gamggot(persimmon flower)' area, based on local tourism resources. For more efficient use of local tourism resources, questionnaire surveys for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were conducted. On the base of the results, the vision and objectives were established. And each items of project by division were also considered by the results of such surveys. Finally, priority scores of each items of project, based on importances and weighted value, were derived for more efficient propulsion of project and to construct sustainable rural community.
        5.
        2008.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의 유전자원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보존되지만 자생식물의 화색은 꽃식물로서 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측면에서도 큰 가치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생식물의 화색을 anthocyanidin 분석에 의해 좀 더 진보된 유전자원으로서의 역할을 증진시키기 위해 1차적으로 문헌을 통한 자생식물의 계절별 화색을 알아보아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자생식물은 총 107종을 선발하여 분류하였으며(Table 1), 한국 자원식물명총람, 한국의 야생식물, 야생화쉽게찾기 등의 자료를 참고하였다. 국내에는 관상가치가 높아 화훼작물로 개발 가능한 자생식물이 많이 있으나 화색에 관한 연구는 극히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 화색 육종이나 유전자원으로서의 가치 보존을 위해서 폭 넓은 자생식물의 화색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며, 화색육종을 위한 안토시아니딘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고자 한다.
        6.
        2001.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wild Pyrus plants belong to the deciduous woody plants in Rosaceae family. Most are cultivated for fruit productions, but some for ornamental plants. There are 5 Pyrus species including Pyrus ussuriensis and 8 varieties cultivated in Korea. In Korea, these plants are populated near villages or on the hills, and they are easily propagated since their fruit are very juicy and quite big in size. Plant breeding to get improved cultivars is not difficult because the Pyrus plants are easy to cross breeding among its genus. Because not only this reason but there have been shown lots of variation in wild groups, the Pyrus plants inhabited in Korea are excellent deciduous woody plants and favorable fruit trees to develop ornamental pla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ny kinds of fruit trees and ornamental trees containing genetically different character, so that it will be satisfied for many different people's taste and demands. Collecting lots of wild plant resource with diverse genes is necessary for plant breeding.
        7.
        199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서 생산되고 있는 60여종의 약용식물의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여 식물체의 부위 와 종류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특성을 관찰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얻었다. 1. 달맞이꽃종자, 컴프리잎, 지치뿌리에서 각각 총지방산함량의 9.1, 3,5, 7,2%의 GLA가 검출되었으며 달맞이 꽃종자가 컴프리잎이나 지치뿌리보다 GLA의 절대량이 많았다. 2. 들깨종자, 참깨종자, 호박종자등의 지방산이 양(量)과 불포화도면에서 좋은 자원임이 확인되었다. 3. 식물체의 잎, 줄기, 뿌리에서의 지방산조성은 종자의 경우에 비하여 18 : 3의 분포 비율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18 : 0의 비율은 비교적 같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