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3

        41.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or building up the Tephritid Tree of Life, we have so far accumulated fresh samples of 570 species of 220 tephritid genera, covering 11% and 44% of World species and genera, respectively. Based on the molecular systematics approach, the followings are examples of our findings: (1) two monophyletic groups within the superfamily Tephritoidea were clearly recognized (compatible with Willi Hennig’s Pallopteroidea and Otitoidea that are not currently used); (2) expanded concept of the family Tephritidae including parasitic taxa (Tachiniscinae, Ctenostylidae and Pyrgotidae); (3) reconfirmation of monophyletic Trypetini, Carpomyini, Tephritinae, and Dacinae; and (4) the first Tephritoidea might have evolved around the middle of Paleocene Epoch (~59 mya) and the family Tephritidae around the late Eocene (~36 mya).
        42.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pristus Chaudoir is one of the genera in the tribe Lebiini Bonelli (Coleoptera: Carabidae). This genus is morphologically similar to Anomotarus and Syntomus of Lebiini. However, Apristus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genera by having a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basal pronotum with distinct posterior angles in dorsal view; tarsal claws smooth without denticulate or pectinate. A total of 61 species of Apristus are distributed worldwide and only one species, Apristus striatus Motschulsky has been known in the Korean peninsula. As results of taxonomic studies on Korean Apristus species, we discovered a newly recorded species, Apristus cuprascens Bates of Apristus. A key to the Korean Apristus species, photographs of diagnostic characteristics and illustrations of male genitalia are provided.
        43.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5년 6월부터 8월까지 2회에 걸쳐 충청남도 태안군 일대의 담수생태계를 중점으로 수서곤충의 다양성, 섭식기능군, 서식기능군 및 분포특이종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태안군 전체에서 수서곤충은 총 6목 30과 72종이 출현하였다. 분류군별 출현종수는 정수지역에서 출현빈도가 높은 잠자리목이 22종(30.56%)으로 가장 높게 출현하였으 며, 다음으로 딱정벌레목 21종(29.16%), 노린재목 17종(23.61%), 파리목 8종(11.11%) 순으로 나타났다. 하천에 풍부하 게 서식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과 날도래목(Trichoptera)은 각각 2종(2.78%)으로 매우 낮게 출현하였으며, 청정수역을 대표하는 강도래목(Plecoptera)과 유수지역에 서식하는 뱀잠자리목(Megaloptera)은 출현하지 않았다. 섭식 기능군은 잠자리목(Odonata), 딱정벌레목(Coleoptera), 노린재목(Hemiptera)이 우세하게 출현하여 Predators(48종, 66.67%)의 비율이 높았고, Shredders와 Scrapers는 출현빈도가 낮게 나타났다. 서식기능군은 Swimmers(24종, 33.33%), Climbers(18종, 25.0%), Sprawlers(12종, 16.67%)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부분 섬과 같은 정수지역에 서식하는 무리의 구성으로 내륙지역의 수서곤충 무리와는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환경부지정 분포특이종 및 위기(EN), 준위협(NT), 취약(VU) 종으로 적색목록 범주에 포함되어있는 동쪽애물방개(Cybister lewisianus), 투구물땡땡이 (Helophorus auriculatus), 단발날도래(Agrypnia pagetana), 각시물자라(Diplonychus esakii) 4종의 서식처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국외반출승인종인 새노란실잠자리(Ceriagrion auranticum)와 작은등줄실잠자리 (Paracercion melanotum) 2종,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인 북방아시아실잠자리(Ischnura elegans) 1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분포특이종 및 야생에서 절멸 위기에 직면해 있는 4종에 대해서는 환경부 전국자연환경조사 (2006년~2012년) 자료를 포함하여 국내 전국 분포지도를 작성하였다.
        4,500원
        44.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태안군은 충청남도 서해안에 위치(36°23′47″~36°58′42″N, 126°06′36″~126°26′48″E)하고 있으며 강한 조류 및 북서풍의 영향으로 대부분 모래 퇴적지형으로 나타나고 부분적으로 니질(mud) 퇴적물이 우세하게 분포하고 있다(한국해양연 구소, 1989). 연평균기온 12.49℃, 연강수량 1,423mm로 몬 순기후(monsoon climate)에 속하며 국내 유일한 해안국립 공원(328.99㎢)과 천연기념물(제 431호)의 해안사구 및 람 사르습지로 지정(2007)되어 있는 두웅습지가 있어 다양한 동·식물상 뿐 만 아니라 희귀 동·식물의 서식처로도 알려져 있다. 최고해발고도의 백화산(284m)을 제외하면 대부분 해 발 100m 안팎의 완만한 경사의 구릉성 산지로 유량이 많은 큰 규모의 하천이 발달하지 못하고 대부분 염분이 있는 저 수지 형태의 담수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다. 수서곤충은 담수생태계에서 개체수가 풍부하고 종다양 성이 높으며, 다양한 수환경에 적응하여 나타나는 분류군이 다. 이에 따라 저차 소비자로서의 먹이사슬 연구, 기후변화 연구, 생태독성 평가, 수질환경을 대표하는 지표생물 개발 등 다양한 응용연구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정수지역에 높게 분포하는 딱정벌레목(Coleoptera), 노린재목(Hemiptera), 잠자리목(Odonata)은 서식처의 먹이 풍부도에 따라 서식처 를 이동하는 무리로 수서곤충이 살아가는 먹이순환 및 환경 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생물이다. 국내 수서곤충의 분류 및 생태적인 연구는 1960년대부터 시작되었지만 본격 적으로 1980년 후반부터 활발히 연구가 시행되었다. 하지 만 유충 분류의 어려움 및 소수의 전공자들로 아직까지 생 태학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는 분류군의 분포 및 생태학적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번에 조사된 태안반도지역은 태안군 전체에 위치하고 있는 담수생태계를 중점으로 수행하였으며 태안구역 15개 지점(태안 St.1~St.15), 안면도구역 10개 지점(안면 St.1~ St.10)으로 1차(2015년 6월 8일~6월 11일), 2차(2015년 8 월 24일~28일)에 걸쳐 실시하였다. 조사 방법으로는 태안 반도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원형뜰채(Hand net, mesh size = 1.0 mm)와 사각뜰채 (40 × 20cm, mesh size = 0.2 mm)를 이용하여 가능한 다양한 미소서식처에서 채집하였다. 수환경조사는 일부 지역에서 수질측정기(YSI Professional WQM, USA)를 이용하여 수온(Water Temperature), 수소 이온농도(pH), 용존산소(DO), 염도(Salinity)를 측정하였 다. 채집된 표본은 현장에서 96% Ethanol에 고정한 후, 연 구실에서 걸러내기(Sorting) 및 동정(Identification) 과정을 거친 후 80% Ethanol에 보관하였다. 채집된 수서곤충의 동 정은 윤 등(1988, 1995), 원 등(2005), 박 등(2008), 정 (2011), 김 등(2013), 권 등(2013)을 참조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모든 표본은 국립중앙과학관 수장고 안에 보관하였 다. 조사결과 태안군 전체에서 수서곤충은 총 6목 30과 72종 이 조사되었다. 이중 정수지역에 출현빈도가 높은 잠자리목 (Odonata)이 22종(30.56%)으로 가장 많은 종수가 출현하 였으며, 다음으로 딱정벌레목(Coleoptera) 21종(29.17%), 노린재목(Hemiptera) 17종(23.61%), 파리목(Diptera) 8종 (11.11%)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하천에서 풍부하게 서식 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날도래목(Trichoptera)는 각각 2종(2.78%)로 매우 낮게 출현하였으며, 청청수역을 대표하는 강도래목(Plecoptera)과 유수지역에 서식하는 뱀 잠자리목(Megaloptera)는 출현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출현 양상은 일반 내륙지역의 수서곤충상과는 다른 해양생태계 에 인접한 태안군 담수지역의 독특한 수서곤충상을 반영하 고 있다. 수서곤충 전체의 섭식기능군(Functional Feeding Groups: FFGs)과 서식기능군(Habitat orientation groups: HOGs)을 분석한 결과 하천과는 달리 정수지역에 서식하는잠자리목(Odonata), 딱정벌레목(Coleoptera), 노린재목 (Hemiptera)이 우세하게 출현하여 Predators(48종, 66.67%) 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하천에서 대부분 출현하는 Shredders, Scrapers, Filtering-Collecters는 출현 빈도가 매 우 낮게 나타났다. 서식기능군에서는 Swimmers(24종, 33.33%), Climbers(18종, 25.0%), Sprawlers(12종, 16.67%)가 대부 분 차지하였으며, 이는 대부분 섬(Island)과 같은 정수지역 에 서식하는 무리의 구성으로 내륙지역의 수서곤충 무리와 는 단절된 구성을 나타냈다. 주목할 만한 종들은 환경부적 색목록(2013) 범주에 각각 위기(Endangered, EN), 준위협 (Near Threatened, NT), 취약(Vulnerable, VU) 범주에 포함 되어 있는 “동쪽애물방개(Cybister lewisianus Sharp), 투구 물땡땡이(Helophorus auriculatus Sharp), 단발날도래 (Agrypnia pagetana Curtis)” 3종이 번식하며 서식하고 있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국외반출승인종 2종 (Ceriagrion auranticum Fraser, Paracercion melanotum (Selys)), 기후변화 생물지표종(Ischnura elegans (Van der Linden)), 분포특이종 3종(Diplonychus esakii Miyamoto & Lee, C. lewisianus Sharp, H. auriculatus Sharp)의 서식처 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분포특이종 및 야생에서 높은 절멸 위기에 직면해 있는 4종에 대해서는 환경부 전국자연환경조사(2006년~2012년) 자료를 포함하 여 국내 전국의 분포지도를 작성하였다. 이번 태안군 일대 의 수서곤충의 종구성 및 분포 자료는 국내 내륙지역과 섬 지역의 수서곤충 분포 및 비교 활용자료로 그 가치가 높으 며, 독특한 해양기후에 적응하여 나타나는 수서곤충의 생물 다양성, 지리적 이동 및 진화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중요한 기본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45.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Miaenia Pascoe, 1864 (Coleoptera Cerambycidae) in Korea is taxonomically reviewed in this study. Miaenia was erected by Pascoe (1864) based on the type species M. marmore. Miaenia has been accepted as a subgenus of Sciades for a long time, howerer, Roguet (2012) considered Sciades as a synonym of the genus Miaenia. Previously, two species, M. fasciata fasciata (Matsushita, 1943) and M. maritima Tsherepanov, 1979, of the genus have been reported in South Korea. In this paper, M. tonsa (Bates) is recorded in Korea for the first time. A key to the Korean Miaenia species, diagnoses, illustrations of diagnostic including male genitalia are provided.
        46.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predatory genus Cryptalaus Ôhira, 1967 (Coleoptera: Elateridae) in Korea is taxonomically reviewed in this study. Up to date, two species of the genus Cryptalaus, C. berus Candèze, 1865 and C. larvatus pini Lewis, 1894, have been reported from Korea. From the present study, C. yamato Nakane, 1957 which has been regarded as an endemic to Japan, is repor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first time. A key to the Korean species of the genus Cryptalaus, diagnosis, illustrations of diagnostic characteristics are provided.
        47.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Phyllocnistis belongs to the family Gracillariidae including 85 described species in the world (De Prins and De Prins 2005). The genus has been placed under the family Phyllocnistidae, which is now the subfamily of the family Gracillariidae. In Korea, only one species of the family, Phyllocnistis citrella Stainton has been listed for the first time by Ko (1969) without the taxonomic information. It was first reported by Heppner (1993) from North America, and it has become to the major pest of Rutaceae, especially damaging on the genus Citrus spp. It has been called as CLM (citrus leafminer) in the worl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and monitor CLM easily and correctly with providing the genitalic structures and DNA barcode which is now one of the major insect pest on citrus farm.
        48.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ve years Diaosheng statue has a sentence called because Diaosheng gave shao Jiang five silk scarfs and a pair of pots. It has always been a variety of interpretations. This paper thinks, Yi(以) word is a preposition. Shuai(帥) word can be interpreted a Silk scarf. The sentence can be explained because Diaosheng gave shao Jiang five silk scarfs and a pair of pots.
        4,300원
        51.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wo species of the genus Asiacentistes (Hymenoptera: Braconidae) are reported in this study. The genus Asiacentistes is a small braconid group distributed in the East Palaearctic and Oriental regions, which has only two species in the world. One of them, Asiacentistes sinica Chen and Belokobylskij is new to Korea. Diagnosis and distribution in East Asia data are included.
        52.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wo species of the genus Cosmophorus (Hymenoptera: Braconidae) are reported in this study. Members of Cosmophorus are known as solitary koinobiont endoparasitoids of adults of barkboring and woodboring Scolytidae. The genus Cosmophorus of the subfamily Euphorinae is small in the size and enigmatic in the ecology, which has been recorded in Holarctic, Oriental, Afrotropical and Australian regions. Only five species are known in East Palaearctic. Among them, Cosmophorus (Cosmophorus) klugii Ratzeburg is new to Korea. Diagnosis and distribution data are included.
        53.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2종의 Asiacentistes Belokobylskij(아시아넓은칼고치벌속: 신칭)(벌목: 고치벌과)를 보고한다. 그 중 Asiacentistes sinica Chen and Belokobylskij(긴칼집아시아넓은칼고치벌: 신칭)는 한국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식별형질과 동아시아내 분포 정보를 포함하였다
        3,000원
        54.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를 통해 2종의 큰턱고치벌속(벌목, 고치벌과)을 보고한다. 수원큰턱나무좀고치벌 Cosmophorus (Cosmophorus) klugii Ratzeburg 1종 은 한국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식별형질과 분포 등의 정보를 포함하였다.
        3,000원
        55.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실에서 재배되는 수입 알로에묘목에 알로에베라진딧물, Aloephagus myersi Essig, 이 채집되었다. 이 종의 원산지는 아프리카로 알려져 있고 수입된 식물을 통해 온실에 도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의 자연환경에 도입과 정착을 방지하기 위한 이들 종의 진단형질, 사진자료, 기주 및 분포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3,000원
        56.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wo families of checkered beetles (Cleridae and Thanerocleridae) contain approximately 3,600 described species. Clerus is one of genera belonging to the Omadius genus-group (Cleridae: Clerinae: Clerus series), and distributed in Palaearctic, Indo-Australian and Afrotropic regions containing 17 species. Among the known species, 11 species have been recorded from Palaearctic region (seven from East Asian countries). Through a taxonomic study on the Korean Clerus species, a total of three species, C. dealbatus (Kraatz, 1879), C. pilosellus (Gorham, 1878) and Clerus sp. nov. are recognized. From the present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 dealbatus was misidentified as Thanasimus lewisi (Jacobson, 1911) in the country, due to the similarity of the body coloration. The presence of the latter species in Korean insect fauna is very doubtful. Diagnostic characters of three Korean Clerus species are presented.
        57.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난 1970년이래 헝가리자연사박물관의 북한지역 탐사를 통해 채집조사되어 보관된 표본을 대상으로 검경한 결과 북한산 잎말이나방과 12종이 추가로 분류 동정되어 보고한다. 이중 2종(Notocelia rosaecolana Doubleday, Rhopobota ustomaculana Curtis)은 북한지역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되는 북한미기록종이었다. 이외에 보고되는 10종은 주로 기존문헌에 목록에만 포함되어 있어 정확한 분포정보들이 없어왔던 종들로 금번연구를 통해 새로운 분포지가 기록되는 종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번에 보고되는 2종의 북한미기록종과 새롭게 채집지가 확인된 10종의 목록을 정리하여 보고하며 각 종별로 채집지기록, 국내외 분포 및 기주식믈정보 등을 제시하였다.
        4,000원
        59.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yralinae are one of the largest subfamilies belonging to Pyralidae, which comprises about 900 species of 217 genera in the world, and 150 species belonging to 32 genera are recorded in China (Li houhun, 2009). This subfamily are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head rounded, chaetosemata present, proboscis developed. Labial palpus porrect or upturned. Maxillary palpus small. Forewing colorful, from narrow to wide, antemedial line and postmedial line present and distinct. Hindwing color simple. Male genitalia with broad uncus, gnathos developed, slim, tip of gnathos sharp or hooked; tegument sclerotized, valve simple with various shape; juxta elliptical or rounded, aedeagus slender, cornutus present or absent. Female genitalia with small papillae anales, corpus bursae oval, signum present or absent. Liaoning Province is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NE China, the area of Liaoning is 146,900 km² and it is bounded on the south by the Yellow sea, on the southeast by North Korea, on the north by Jilin Province, and on the west by Inner Mongolia and Hebei Province. The mean annual temperature is 7-11℃, the mean annual precipitation is 600-1100 mm in northeast part, but 400 mm in west part. Liaoning Province is an important area for forest and agriculture, accordingly, to survey the diversity of Pyralinae is of great significance for systematic study in Liaoning Province. In this study, our materials examined come from the collection of Northeast forestry University from 2006-2010, and the collection of Incheon University from 2010-2012. Finally, we identified 11 species belonging to 8 genera, of them, 1 species are the first time reported in China, and 6 speices are the first time reported in Liaoning Province.
        60.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e Jin-sung. 2012. A Study of English Neologisms with Some Comparing Notes on Korean Neologism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0(2). pp. 367-400. This study examines how English is reflecting the changing society on neologisms, and how the language and the society is interwoven in neologisms of English. It also investigates English neologisms from the perspective of morphological formation and semantic change. In doing this Korean neologisms are partly dealt with comparatively to bring out the contrastive characters of the two languages. From the sociolinguistic point of view, the data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ociety, life style, and people. These were further subdivided into several areas: general affairs, economics, IT new jobs, new technology under the category of society; language, daily lives, leisure, health, food, and apparel under the life style; men and women, men, women, youngsters and the olds under the people. It was found that the categorial classifications of neologisms reveals how social change is reflected on neologisms of each language, and also discloses the way the two languages enrich their expressive power. From the perspective of morphological formation and semantic change, the English data were classified into compounds, new words, verbal phrases, and independent expressions. The compounds were subdivided into simple compounds and compounds within compounds to diagnose the degree of recursive character in English. In the category of new words, the followings were investigated: affixations, blendings, abbreviations, acronyms, euphemisms, semantic shifts, foreign languages, functional shifts, coinages and clippings. The distribution of neologisms in regard to their parts of speech was also examined. In comparing notes of the two languages, thefollowings are provided: first, sociocultural character reflected on neologisms; second, the frequencies and characterizations of neologisms from morphological perspectives; third, the distribution of parts of speech.
        8,1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