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1.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analyzed the variation in occurrence time and intensity of attacks by the rice stem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on several crops. We found similar occurrence patterns of C. suppressalis in different crops. Overwintering larvae showed no difference in pupal period and weight compared to the non-overwintering ones. However, the larval period was reduced to 19.1 days in Miscanthus field, in contrast to that in the paddy fields. Efficiency of the emergence trap was confirmed to be greater than that of the delta trap for capturing C. suppressalis adults.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control period because of the advancement in occurring time of C. suppressalis in recent years. The larvae of C. suppressalis experience 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overwintering in Miscanthus fie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inputs for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control methods.
        2.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ice stem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is a significant rice insect pest. A newly hatched larva bores a hole into the rice stem and feeding inside. The damage results in drying and white heads of rice. Climate change will affect pest and its host population dynamics variously. In this study, the degree of asynchrony between emergence of rice stem borer and rice transplanting was examined by their phenology models. Also, correlation was examined between winter mortalities of the rice stem borer and relative humidity categorized by daily minimum temperature in 12 sites throughout the country from 1992 to 2013. The degree of asynchrony appears to be increased in future climate condition. And we fou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winter mortality and the relative humidity. Winter mortality will be decreased in the future because of increasing winter minimum temperature and snowfall. We hypothesize that the stem borer may increasingly harbor in alternative hosts such as reed in its first generation and move to rice in the second generation. Currently the simulation study is being conducted to verify this hypothesis.
        5.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침적법에 의해 결정된 IGRs의 {{{{ { LC}_{50 } }}}}수준 (ppm)에 대한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Drury) 5령충과 이화명나방 (Chilo suppressalis Walker)3령충의 amylase, invertase, invertase, chitinase 와 estrase의 활성비교 결과, 미국흰불나방은 IGs 처리후 amylase, 와 invertase의 활성은 무처리 보다 낮았고 chlirfluazuron 처리에서 는 가장 낮 은 활서을 보였으며 chitinaes의 활성은 무처와 비교해서 IGRs 처리 후 증가 되었고 esterase patterm 은 2가지{{{{{ Est- alpha }^{ 1}{beta } ^{b} , and { Est- alpha }^{ 2}{beta } ^{b}}}}} 로 분리되었으나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며, 이화명나방에서는 amylase, invertase와 chitinase의 활성은 미국흰불나방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amylase와 invertase의 활성은 미국흰불나방보다 7~10배 낮았고, chitinase의 활성도 미국흰불나방 보다 3~4배 낮았다. Esterase patterm은 4가지{{{{{ Est- alpha }^{ 1},{ Est-beta } ^{a} ,{ Est- alpha }^{ 2} and { Est- alpha }^{ 3}}}}}로 분리되었고 무처리 대비 pyriprox-yfen은{{{{{ Est- alpha }^{ -1} }}}}에서 chlorfluazuron와 trbufenozide은{{{{ { Est- beta }^{ a} }}}}에 서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diflubenzu-ron은 차이가 없었다.
        4,000원
        6.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미국흰불나방 (Hyphantria cunea Drury)과 이화명나방 (Chilo suppressalis Walker)에 대한 chlorflyazuron, diflubenzuron, pyiproxyfen 과 tebufenozide 와 같은 IGRs의 독성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미국흰불나방에서, 1령충의 {{{{ { LC}_{50 } }}}}치 (ppm)기준 2령충~5령충의 내성비 범위는 chlorflua-zuron, diflubenzur on, pyriproxyfen과 tebufenozide에서 각각 1.07~3.58, 1.13~6.06, 1.02~3.23, 1.05~6.64이었다. 이화명나방에서, 1령충에 대한 3령충의{{{{ { LC}_{50 } }}}}치 (p pm)의 내성비는 chlorflua-zuron, diflubenzuron, pyriproxyfen과 tebufenozide에서 각각 2.86, 2.60, 19.80, 15.30이었다.
        4,000원
        7.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화명나방 유충을 방제할 목적으로 이화명충이 가해한 벼 줄기에 곤충병원성선충인 Steinernema carpocapsae와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를 살포한 결과 효과가 좋았다. 8cm 길이의 벼 줄기 2본에 S. carpocapsae 250, 500, 1,000, 2,000마리/ml를 살포한 결과 68.610.0~94.92.6%의 치사율을 얻었으며 H. bacteriophora 100, 200, 400, 800마리 ml살포구에서는 91.40.7~100%의 방제를 얻었다. 그러나 3본의 벼줄기를 H.bacteriophora 현탁액에 침적한 경우는 100마리/ml 구에서는 42.64.7%, 200마리/ml구에서는 63.14.7%로 선충의 현탁액을 살포하는 것보다는 치사율이 낮아 효과가 적었다. 벼 줄기는 선충의 생존과 기주 탐색에 좋은 환경을 유지해 주어 곤충병원 성선충은 이화명충의 방제에 유용한 생물적 인자로 확인 되었다.
        3,000원
        8.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65년부터 1988년까지 전국 39개 병해충발생예찰소에서 수집된 이화명나방의 유살성적을 이용하여 그의 지역간 발생상의 특성을 분석하고 대표적 생태종이 분포하고 있는 4개 지역에서 채집된 월동유충의 몇가지 생태학적 특성을 조사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화명나방의 총유살량이 1969년 이후 전국적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이것은 봄나방 유살량의 감소에 따른 것으로 여름나방외 그것은 큰 변동이 없어 1970년 이후 8월중순부터, 다음해 6월 상순까지의 환경조건이 크게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유살량의 지역간 차는 1960년대에는 컸으나 1970년대에는 크게 감소하였으며 최근 10년간에 다소 증가하고 있으며 그 변동상은 지역적으로 차가 있다. 전체적으로 50% 유살일은 화기와 관계없이 빨라지고 있으나 지역에 따라 그 양상에는 차가 있다. 월동유충을 , tkdxotmqeh 90%에서 가온사육한 결과 지역별 사망율은 수원 21.07%, 이리 43.06%, 진주 63.51%, 광주 27.04%였다. 월동유충의 사망율은 체중에 따라 차가 있어서 39 mg 이하는 45.44%, 40 ~ 49 mg은 37.61%, 50 ~ 59 mg는 37.28%, 60 mg 이상은 30.17%였다. , 상대습도 90%에서 가온하였을 때, 휴면후 평균 유충발육기간은 수원지역은 17.0 1.5일, 이리지역은 22.0 1.8일, 광주지역은 23.2 2.5일, 진주지역은 20.8 2.8일이 걸렸다. 체중별 후면후 유충발육기간은 39 mg 이하가 1806 1.2일, 40 ~ 49 mg이 20.4 3.3일, 50 ~ 59 mg이 21.4 3.2일, 60 mg 이상이 21.8 3.2일이 걸렸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1970년대 이후의 벼의 재배법의 변화는 이화명나방 발생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은 화기에 따라 차가 있었고 휴면상태에 특징을 갖고 있는 생태종의 분포에 따라 차가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4,300원
        9.
        197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화명충의 인공사육을 위해 간이합성배지, 반합성배지, 합성배지 및 수도유묘에 의한 사육실험과 각 배지별 사육단가 산출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반합성배지에 의한 인공사육 결과 노숙유충의 체중 96.4mg, 자충우화율 로서 타배지에 비하여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이 배지는 성충까지의 사육비용이 3.14원으로 대량 사육시에는 많은 비용이 든다. 2). 합성배지 및 반합성배지의 제 2세대 산란 및 부화율이 타 배지에 비해 높은 것은 Choline Chloride의 영향을 받은 것 같다. 3) 수도유묘에 의한 사육방법은 재료 구입이 용이 하고 가격이 저렴한 반면에 유충생육의 불균일 및 유묘 교환시 공시충의 손실과 노력이 많이 들어 대량사육을 위해서는 적합치 못하다. 4) 간이합성배지 중 Chlorella를 첨가시킨 실험구에서 노숙유충의 체중 및 용화율의 증가를 볼 수 있었다. 5) 간이합성배지에서의 생육결과 제2세대 산란 및 부화율이 낮은 것은 배if의 영양 결핍에 기인된 것 같다. 6) 각 배지 공히 용화율이 현저하게 낮은 원인은 용화시에 노숙유충이 병원균의 감염으로 오염사 되기 때문이다.
        3,000원
        10.
        197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방사선을 투사한 이화명나방의 교미능력 및 경쟁력 조사를 5-7령 번데기에 gamma선을 투사하여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사선 처리웅충과, 정상적인 수컷에 매일 새로운 미교미자충을 넣어 주었을 때 그들간에 교미 최고회수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2. 교미초일은 정상웅충의 경우 평소 1.5일이며 25.30Krad 처리웅충은 2.4일이었다. 교미 일 간격은 정상웅충이 1.3일인데 대하여 처리웅충은 3.0일이었으며 방사선 투사는 교미력에 영향이 있었다. 3. 정상웅충 1두에 정상자충 5두와 10두씩을 넣어서 정상웅충의 평균교미회수를 조사한 겨로가 1.2회와 2.5회이었다. 4. 교미경쟁력 실험에서 미교미자충 5두에 대하여 방사선 투사 웅충과 정상웅충의 비율을 1:0, 1:1, 2:1, 1:2, 5:1, 1:5, 0:1로 하였을 때 난부화 감소율은 5:1(30Krad)에서 최대의 감소를 보였으며 이때의 난부화율은 이었다. 5. 방사선 투사는 교미능력에 다소의 영향을 미치나 처리웅충에 의한 산란수 감소의 영향을 고려한다면 이화명충에서 웅성불임 기술의 이용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1.
        197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화명충의 유충, 번데기, 성충에 gamma ray를 조사하여 웅성불임기술에 관한 자료를 얻기위한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번데기의 성비는 암컷 2,903에 대해 숫컷은 2,924이었다. 2) 번데기의 은 암컷이 26KR, 숫컷이 26.7KR이었다. 3) 처리한 숫컷성충과 교미한 암컷의 평균 산란수는 고선량일수록 감소하며 난괴수는 증가하였다. 4) 숫컷의 은 23KR이었으며 30KR 이상에서는 거이 불임이 유기되었다. 5) 웅성불임을 유기 시키기 위하여 방사선을 조사시키는 시기는 번데기 시기가(3-6일령) 가장 적합하다고 본다
        3,000원
        12.
        197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실험은 이화명나방 월동 유충에 대한 유기인 살출제의 in vitro에 있어서의 ChE저해력과 약제의 화학 구조와의 관계, in vivo에 있어서의 국소 시용법에 의한, 살충제의 독성과 화학 子조와의 관계, 특히 ChE 저해력과 살충력(독성)과의 관계를 비교 연구할 목적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Phosphate compounds는 thiophosphate compounds보다 in vitro에 있어서의 ChE 저해력은 강하다고 할 수 있으나 in vivo에 있어서의 독성은 비례적으로 반드시 강하다고 할 수 없다. 2. Alcoxy 즉 diethoxy는 dimethoxy보다 ChE 저해력과 독성이 비례적으로 반드시 강하다고 할 수 없다. 3. 부분에 있어서 이 X부분이 달라짐에 따르는 ChE 저해력과 살충력에 대해서는 약제에 따라서 각각 다르게 나타나므로 언급할 수 없다. 4. ChE 저력이 강한 약제는 살충력도 비례적으로 강하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화학 구조상 안정성이고 실용 농약인 Ethylparathion, Malathion, Let aycid, EPN, Sumithion 및 Diazinon 등에서 고찰할 때 반드시 비례적인 것은 아니나 어느 정도의 파행 관계가 있지 않은가 추찰된다.
        4,000원
        13.
        196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uthor studied on the bionomics of Oriental moth. Cnidocampa flavescens WALKER, damaging to the persimmon tree n the southern part of Korea from 1964 to 1965.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Emergence peak period of Oriental moth was mid-June in Taegu district and eggs are deposited on the opposite side of persimmon tree leaf. Specially most of eggs are deposited on the terminal part of opposite side and peak period s also mid-June. 2. Hatched Percentage of eggs was in 1964 while in 1965 at the rearing room. Mean egg Period was in 1964 while days in 1965. Thus during two years, the egg period was about 6 days. 3. In the growth ratio of Oriental moth fed on various host plants persimmon tree, Acer negund, Hazel-wood and Platanus, the best growth ratio was shown on the leaf of Hazel-wood from 1st till 3rd instar, but, on the contrary, persimmon tree was the best from 4th till the last instar. The growth ratio of head width was also the same tendency as the body length above mentioned. Individuals fed on the leaf of platanus were dead after 20 days. 4. Oriental moth has one generation a year and molts 6 times. The first molting occurred in 5 hours after hatched, and the other moltings were done at f days intervals. After 3 days since the last molting, larvae made the non for over-winter in it. 5. As the bristles on the process of larval body are different from each position and instar, judgement of instars are possible by the counting of bristles on the body according to the Table 8. Specially the bristle of L. 2., D. 2, 3 ,8. 10. and L. 1, 3, 4, 5, 6, 7, are perfectly different from each instar. From these bristles, instars can be recognized easily. 6. Pupation of larvae in the over-wintered cocoon on the stem of persimmon tree was done in mid-May and continued will early June when emergence will take place. 7. Mean number of eggs in the ovary was
        3,000원
        14.
        196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본 시험은 저독성유기인제(유제)를 수면시용하여 수면시용제인 Diazinon 입제 및 미분제와의 효력 및 시용시일을 비교 검정하려는데 있다. 2. 제 2화기이화용충을 부화 직후 pot에 재식한 수도에 접종하고 각약제는 10 a 당 유효성분량을 120g으로 하고 이에서 환산하여 일정량을 pot내 수면에 시용하였으며 이의 살충효과로써 비교검정하였다. 3. Table 2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약제간에는 고도의 유의성을 나타내었고 그의 L.S.D.=24.22였다. Diazinon 입제의 효력이 가장 좋았고 미분제가 다음이었다. 그리고 타약제는 효력이 훨씬 낮았다. 시용시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본시험기일내 전체평균으로서 보면 Sumithion, EM, EPN 및 Cidial의 순위로 살충효과가 낮았다. 4. 시용시일별구간에는 유의성은 인정할 수 없었으나 대체로 Diazinon 입제는 본시험기간중 모두 좋은 살충효과를 나타내었고 도 충접종당일시용구를 제외하고는 살충효과가 모두 좋은 편이었다. EPN, EM 및 Cidial은 충접종당일시용구에서 가장 높은 살충율을 보였고 Sumithion은 충접종전 5일째 시용구에서 가장 높은 살충율을 보여 주었다
        3,000원
        15.
        196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본 시험은 1962년과 1963년의 2개연에 걸쳐 수원과 김해에서 이화명충방제를 위하여 수종의 공시농약과 비교 실시하였다. 2) 의 시용은 건사동율 혼합하여 손으로 수면에 시용하고 액제(Lebaycid Dipterex. B. H. C기타)는 분무기로 약면에 살포하였다. 3) 본 시험의 결과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타 약제에 비하여 이 유효하였으며 수면시용시기는 부화 10일이내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4) 수원과 김해의 양지역에서의 시험결과를 비교해 보면 지역적 효력차가 없는 것 같다.
        4,000원
        16.
        196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만부병은 포도의 착색기부터 장마가 오면 격발하는 병해로서 우리나라에 있어서 피해가 심함은 물논 방제가 어려운 것으로서 본 시험은 피대와 약제살포를 겸하는 것과 약제살포만을 하여 그 효과를 비교코저 원예시험장 과수과 포도원에서 품종 켐벨얼리를 공시하여 시험하였다. L 유대구는 무대구보다 약제간이나 무처리간에 있어서 포도만부병을 방제하는데 효과적 이였다. 2. Tuzet와 Delan은 유대구나 무대구에 있어서 다른 처리구보다 포도만부병방제에 효과적이었다
        3,000원
        17.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analyzed the variation in occurrence time and intensity of attacks by the rice stem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on several crops.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how C. suppressalis damages crops and to utilize this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environment-friendly control methods like pheromone traps. This study surveyed the changes in occurrence patterns of C. suppressalis,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overwintering larvae, and the efficacy of different types of pheromone traps the years. We found similar occurrence patterns of C. suppressalis in different crops. In addition, occurrence time of the first generation was advanced. Overwintering larvae showed no difference in pupal period and weight compared to the non-overwintering ones. However, the larval period was reduced to 19.1 days in Miscanthus field, in contrast to that in the paddy fields. It was confirmed that larvae of C. suppressalis generally prefer the lower part of the stems of Miscanthus. Efficiency of the emergence trap was confirmed to be greater than that of the delta trap for capturing C. suppressalis adul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control period because of the advancement in occurring time of C. suppressalis in recent years. The larvae of C. suppressalis experience 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overwintering in Miscanthus fields. The major Miscanthus fields are generally located in the areas protected for sources of drinking water, owing to which spraying of chemical pesticides is very limi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inputs for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control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