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포자형성 자연돌연변이 균주의 선발 및 특성검정 결과 ASI 2069 균주가 무포자이면서 수량성이 높으나 상품적 가치가 없어 원형질체 재생에 의한 단핵화로 Nh36 (neohaplont 36) 등 4균주를 분리하였다. 원형1호(ASI 2180) 및 무포자느타리간의 단핵교배 (Mon-Mon)를 시도한 결과 128교배조합수를 얻어 이 중 30균주를 특성 검정한 다음 자실체형성 및 포자비산량 조사에 의해 소포자형성 유망 13균주를 선발하였다. 무포자균주의 스크리닝법을 개발하기위해 포자형성 및 감수분열에 관여하는 helicase, DMC1(recombinase) 및 Spo11(topoisomerase II)유전자를 이용하여 PCR 증폭한 결과 단핵화균주 Nh36 및 교배체 2균주 중에서 Spo11유전자가 증폭되지않아 무포자 균주 스크리닝 방법으로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3,000원
        2.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21%농도의 산소와 비교하여 30%의 고농도 산소 흡입이 사이클 등속 운동 중에 심박동률(heart rate)과 혈중 산소 포화도(SPO2)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21%와 30% 농도의 산소를 각각 8liter/min의 양으로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산소 공급 장치를 이용하였다. 신체 건강한 10명의 남자 대학생(25.2±2.2세)이 21%와 30%의 두 종류의 산소 농도를 대상으로 각각 두 번의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은 안정(2분), 20±1km/h의 사이클 등속 운동(10분), 회복(6분)의 세 구간(총 18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21%또는 30%의 산소는 등속 운동과 회복 구간에만 공급되었다. 21%에 비해 30%산소를 흡입했을 때 사이클 등속 운동과 회복 기간 중에 심박동률은 감소하였고, 혈중 산소 포화도는 .차이가 없었다. 21%와 30% 두 그룹 사이에 동일한 운동부하가 주어졌기 때문에 혈중 산소 포화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30%의 고농도 산소 흡입으로 동일운동 부하에 필요한 산소 요구량이 원활히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심박동률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열효모 S. pombe의 포자형성은 배지상의 질소원 고갈에 의해 유도되어지며 감수분열로부터 포자형성에 도달하는 과정에는 다수의 특이적인 유전자들이 관여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S. pombe genomic library 형질 전환법으로 spo5 유전자를 상보하는 clon을 screening 한 후, spo 5 유전자를 단리하였다 ^8). 전포자막 구축에 필수적인 spo 5 유전자를 보유하는 약 5kb의 DNA 단편을 대장균, 효모 shuttle vector pTB248의 Hind Ⅲ 부위에 subclonning 하였다. 그리고 이 DNA 단편으로부터 제한효소 지도를 작성하여 (Fig-2), spo 5 변이체의 상보능력을 조사하였다. (Fig 3). 결과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상보능력은 동일하였으며, 이러한 상보성 실험 결과로부터 삽입된 단편상의 유전자 발현은 벡터의 promoter로 부터 전사가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삽입 단편상의 효모 고유의 promoter 에 의해서 전사가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clone화 한 DNA 단편 배열상에는 변역영역뿐만 아니라 promoter 영역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실변이 도입 해석으로부터, spo 5 유전자는 Sma I부터 Hind Ⅲ의 3kb 영역에 존재하였고 (Fig 2), Northem 분석에 의해서 spo5-mRNA는 Sma Ⅰ부터 Hind Ⅲ의 3kb 영역에서 약 2.5kb 크기로 검출되었다. 이 단편의 유전해석으로부터 약 2.5kb 크기로 검출되었다. 이 단편의 유전해석으로부터 약 2.5kb의 전사산물은 최대 800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code하는 단백질로 판단되었다. (Fig 4). 그리고 , Northem 분석법에 의해서 spo 5 유전자의 전사를 조사한 결과, 서술한 바와 같이, 이 유전자는 질소기아 조건 하에서 만 유전자가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 4 -2.5kb 단편). 그 결과, 최소배지의 hetro matting-type 균주 (CD16-1) (Table 1)로 부터 조제한 mRNA와 probe-DNA가 hybridize하는 전사산물은 spo 5 유전자 coding 영역에서 3.2kb와 2.5kb의 mRNA가 검출되었다 (Fig 4). 그리고 homo matting -type (CD16-3) (Table I) 균주를 질소원이 함유되지 않은 포자형성 배지에서 배양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mRNA를 조제하여 Northem hybridization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이들 세포에서는 3.2kb에서 만 전사산물이 검출되었으며, 2.5kb의 mRNA는 검출되지 않았다. (Fig 4). 이상의 결과로부터 spo 5 유전자를 coding 하는 전사산물인 2.5kb의 mRNA는 질소원이 고갈된 상태하에서, 접합형 유전자좌의 hetero 접합성을 요구하는 것으로 입증되었고, spo 5 유전자의 전사발현은 질소원이 결핍과 집합형 유전자좌의 구성에 따른 환경요인과 유전적 요인에 의해서 제어되어지고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4,000원
        4.
        1995.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analyzed the time series of Ca II H,K and ⋋8498 line profiles taken for a sunspot (SPO 5007) with the Echelle spectrograph attached to Vacuum Tower Telescope at Sacramento Peak Solar Observatory. Each set of spectra was taken simultaneously for 20 minutes at a time interval of 30 seconds. A total of 40 photographic films for each line was scanned by a PDS at Korea Astronomy Observatory. The central peak intensity of Ca II H (Imax), the intensity measured at Δ⋋=-0.1 Å from the line center of ⋋8498 (I⋋8489), the radial velocity (Vr) and the Doppler width (Δ⋋D) estimated from Ca II H have been measured to study the dynamical behaviors of the sunspot chromosphere. Fourier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for these measured quantities. Our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We have confirmed the 3-minute oscillation being dominant throughout the umbra. The period of oscillations jumps from 180 sec in the umbra to 500 to 1000 sec in the penumbra. (2) The nonlinear character of the umbral oscillation is noted from the observed sawtooth shaped radial velocity fluctuations with amplitudes reaching up to 5~6 km/sec. (3)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maximum powers shows that the power of oscillations is stronger in the umbra than in the penumbra. (4)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time averaged < Imax > and < Vr > across the spot are found to be nearly axially symmetric, implying that the physical quantities derived from the line profiles of Ca II H and ⋋8498 are inherently associated with the geometry of the magnetic field distribution of the spot. (5) The central peaks of the CaII H emission core lead the upward motions of the umbral atmosphere by 90°, while no phase delay is found in intensities between Imax and I⋋8498, suggesting that the umbral oscillation is of standing waves.
        4,000원
        5.
        1983.12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6.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dismantling heavy structure under special environment in radioactivity, there are many problems which should be tele-operated and feedback a cutting force for cutting a thick structure such as concrete. When operator dismantles a thick heavy concrete structure, it is in sufficient to judge whether robot is contacting or not with environment by using only vision information. To overcome this problem, force feedback and impedance model based bilateral control are introduced. The sliding mode control with sliding perturbation observer (SMCSPO) based bilateral control is applied and surveyed to a single rod hydraulic cylinder in this paper. The sliding mode control is used for robustness against a disturbance. The sliding perturbation observer is used for estimation of a reaction force such as cutting force. The bilateral control is executed using the information of reaction force estimated by SMCSPO.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hat the estimation method and bilateral control of the single rod hydraulic cylinder are introduced and discussed by experiment.
        7.
        2014.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kylosing spondylitis (AS) is an inflammatory joint disease affecting the axial skeleton, peripheral joints, entheses, and extra-articular site.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agents are the first line drugs for treatment of AS. Sulfasalazine is regarded as the second line drug and is usually used on AS patients with concomitant peripheral arthritis. Sulfasalazine has side effects, including liver toxicity, hematological abnormality, skin eruption, and other symptoms. However, eosinophilic pleural effusion is rare. Thus, we report on a patient with peripheral eosinophilia and eosinophilic pleural effusion after taking sulfasalazine for treatment of 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