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martphone addiction has emerged as a significant social problem. Numerous studies have indic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martphone use and discomfort in the musculoskeletal system of the upper extremities. Objects: This cross-sectional survey aim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musculoskeletal pain in the neck, trunk, and upper limbs between individuals with smartphone addiction and those without addiction. Methods: We collected a total of 326 healthy individuals’ data from China and Korea who had owned and used smartphones for more than 5 years between 20–50s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84 questions in four major sections. The first part contained basic information on the participa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martphones. The second part contained questions about smartphone use and posture. The third part was the smartphone addiction. The fourth part was to investigate musculoskeletal pain in various upper body parts. Results: Smartphone addiction has a weak negative correlation with age (r = –0.20, p < 0.01) and a weak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hours of smartphone use (r = 0.376, p < 0.01). Frequent musculoskeletal pain symptoms related to smartphone use were observed in the neck, shoulder, lower back, and wrists. The hours of smartphone use was slight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pain in the shoulder (r = 0.162, p < 0.05) and lower back (r = 0.125, p < 0.05).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pain in the neck (χ2 = 3.993, p < 0.05), shoulder (χ2 = 6.465, p < 0.05), and wrist (χ2 = 4.645, p < 0.05)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females than male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smartphone addiction should be recognized as a dual concern encompassing both physical health and psychosocial aspects. Furthermore, healthcare professionals, including physicians and physical therapists, should consider clients' smartphone usage patterns when assessing and treating with musculoskeletal pain.
        4,000원
        2.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경험한 대학생의 사회·정서적 고립감, 우울,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 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4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220명이며, 자료수집은 구글 폼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수의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사회·정서적 고립감(r=.44, p<.001), 우울(r=.51,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성별(β =.176, p=.001), 주말 스마트폰 사용 시간 7-9시간(β=.387, p=.001), 10-12시간(β=.313, p=.006), 12시 간 이상(β=.299, p=<.001), 우울(β=.302, p<.001), 사회·정서적 고립감(β=.210, p=.004)이었다. 회귀모 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F=15.81, p<.001) 모형의 설명력은 43% (adj R2=.43, p<.001)였다. 따라 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사회·정서적 고립감과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신건강 증 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4,200원
        3.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에는 스마트폰 중독의 ‘저연령화’가 우려된다.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동의 개인적 특성 뿐만 아니라 부모요인이 있다.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에는 부모양육태도가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에 대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주의집중 문제의 구조모형을 분석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한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2018)의 중 초등학교 4학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과 AMOS 24.0을 사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4,000원
        4.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이 된 스마트폰은 단순히 생활필수품을 넘어 현대인들이 과도하게 몰입하게 되는 대상이 되었 다. 이로 인해 현대인들의 다수는 스마트폰 중독 현상에 노출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대상 중독 현상은 대상물 자체의 문제를 넘어 이를 이용하는 대상자들의 심리적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써 대학생들의 성인 애착과 내현적 자기애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중독 척도, 성인 애착 척도, 내현적 자기애의 척도를 각각 사용하여, 스마트 폰 중독, 성인 애착 및 내현적 자기애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 정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성인 애착 정도와 내현적 자기애 정도를 독립 변인으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불안 애착과 내현적 자기애의 과민/취약성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현상 을 이해하기 위해서 이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자들의 심리적 특성 요소들의 영향에 따라 서로 다른 접근방법이 요구됨 을 시사한다.
        4,000원
        5.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전문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데이터는 SPSS(ver.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 요인 중에서 병적몰입은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마트폰의 병적몰입 중독 성향이 낮을수록 사회적 지지는 높아질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중독이 자존감 지지와의 관계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 요인 중에서 통제상실은 자존감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마트폰의 통제상실 중독 성향이 낮을수록 자존감 지지는 높아질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앞으로 사회복지사가 될 학생들에게 본인 및 클라이언트에 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스마트폰 중독 경향 및 사회적지지에 대한 보다 다양하고 체계적인 프로그램과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5,400원
        6.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영유아교사의 행복감, 스마트폰 중독, SNS 중독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4년제 및 3년제 영유아교육 관련학과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220명이었다. 수집된 설문조사 결과는 SPSS 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영유아교사의 행복감, 스마트폰 중독, SNS 중독 정도로는 행복감에서 외적행복의 평균이 3.64(SD=.54)로 가장 높았으며 내적행복이 3.32(SD=0.73), 조절행복이 3.08(SD=0.69)로 나타났고, 스마트폰 중독에서는 내성에 대한 평균이 2.10(SD=.73)으로 가장 높았으며, 일상생활장애가 2.10(SD=.73), 금단이 2.09(SD=.71)이었으며, 가상세계지향의 평균이 1.67(SD=.63)로 가장 낮았다. SNS 중독에서는 몰입 및 내성에 대한 평균이 2.26(SD=.57) 로 가장 높았으며, 조절실패 및 일상생활장애 2.14(SD=.56), 부정정서의 회피 2.11(SD=.56)이 었으며, 가상세계지향의 평균이 1.87(SD=.48)로 가장 낮았다. 둘째, 예비영유아교사의 행복감, 스마트폰 중독, SNS 중독의 상관관계에서는 행복감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과 SNS 중독은 낮게 나타났고, 내적 행복감이 높을수록 몰입 및 내성, 가상세계지향성 및 금단에 대한 중독성은 낮아진다는 결과가 나왔다.
        4,600원
        7.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부모의 스마트폰 중독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수준의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만 3∼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2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R version 3.5.1과 Mplus Version 7.4 Base Program Single-User을 이용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스마트폰 중독은 유아의 놀이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유아의 미디어기기 이용수준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유아의 놀이성에 대해 유아의 미디어기기 이용수준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의 스마트폰 중독과 유아의 놀이성의 관계에서 유아의 미디어기기 이용수준도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스마트 기기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현대인의 삶에서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 수준이 유아의 놀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4,000원
        8.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자아분화수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전문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자아분화수준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수집된 285부의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아분화수준, 스마트폰 중독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전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아분화수준, 자아존중감,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존중감, 자아분화 수준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문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이 낮아질수록 전문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 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문대학생들의 자아분화수준이 낮을수록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스마트폰으로 야기되는 문제들을 개선하고 건강하고 바람직한 스마트폰 사용 습관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반이 되고자 한다.
        4,600원
        9.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eveloped a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based on narrative therapy. Its purpose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narrative therapy program, and the way adolescents change from the application of the narrative therapy counseling technique.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a total of 90minute 8sessions, and it consisted of 11 participants separated into a test group and a control group.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retest and posttests were performed o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test group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tolerance, in the disturbance of adaptive functions, and in withdrawal on the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Thus, narrative therapy enabled positive changes in adolescents
        4,500원
        10.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스마트폰 중독 그룹별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동영상과 e-book 콘텐츠의 각각 다른 자극을 주고 나타나는 조절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자 하였다. 방 법: 안과관련 수술 경험이 없고 안질환이 없는 성인 56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진단 설문’을 실 시해 일반사용자군, 중독위험 군으로 분류하고 스마트폰을 이용해 동영상과 e-book 콘텐츠를 시청하게 한 뒤 조절기능과 자각적 피로도의 변화를 확인한다. 결 과: 동영상 콘텐츠 시청 후 조절반응, 조절력, 조절래그, 음성상대조절력, 양안조절용이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e-book 콘텐츠 시청 후도 조절반응, 조절력, 조절래그, 음성상대조절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p<0.05) 두 콘텐츠 간 조절기능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심할수록 조절기능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고, 스마트폰 시청 후 조절기능이 더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다양한 콘텐츠의 자극과 상관없이 스마트폰 사용은 조절기능의 변화를 가져온다.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심할수록 조절기능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고, 스마트폰 사용 후 더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속적인 중독위험군 선별로 스마트폰 중독이 다른 양안시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추후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1.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 마음챙김 명상을 통한 자기조절이 어떠한지 밝히고자 하였다. 스마트폰 중독은 청소년의 전반적인 발달을 저해하고 또래관계나 학교생활에 부적응 문제와 상 관성이 높아 중독의 문제가 시급해서 해결되어야 한다는 사회적 인 식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중독의 문제는 청소년의 습관적이고 타 성적인 자동조절상태의 문제로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알아차림하지 못하는 것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마음챙김은 매 순간 몸과 마 음에서 일어나고 있는 생각과 행동, 감정을 판단하지 않고 있는 그대 로 알아차리고 수용하는 수행법으로, 스스로를 조절하게 돕는 것이 며 지속적으로 자기를 관찰함으로써 스마트폰 과다사용을 조절할 수 있다. 청소년의 특성에 맞는 마음챙김 수행법으로는 호흡을 관찰하 여‘지금-여기’에 집중하여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는 호흡명상과 걷 고 있는 순간순간을 놓치지 않고 마음챙김하고 집중하는 걷기명상 등 자기조절수행법을 설명하였다. 스마트폰 중독의 문제는 대체적으로 자기조절의 실패에서 조망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마음챙김 명상은 꾸준하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스마트폰으로 인한 내성, 일상생활 장애, 가상세계 지향 및 스마트폰 사용 중지로 인해 나타나는 금단과 같은 중독의 특 성을 마음챙김 명상을 활용하여 자기조절을 시도해 본다면 그 효과 는 크리라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6,700원
        12.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recent 5-6 years, the ratio of smart phone users in South Korea has increased to over 65% of cellular subscribers and half of all population. While smartphones have given enormous convenience to our lives, pathological use of smartphones has brought a new mental health concern among the community. Therefore, huge interest sheds on the studies on the cause analysis and treatment of smartphone addiction. However, the traditional clinic approach based survey and interview has serious drawbacks of its subjectivity and inability of continual monitoring and treatment. In this paper, SAMS (smartphone addiction management system) is presented, which monitors the application usage pattern, provides statistical analysis, and policy-based usage intervention. A trail test is performed for checking he reliability and efficacy of SAMS in smartphone addiction research, and some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are done: daily use count, not daily use time, has strong influence on smartphone addiction: CC=0.62 and CC =0.00 for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counts and times with total survey score, and p = 0.047 and p = 0.507 for t-test analysis of contrast group.
        4,000원
        13.
        2020.07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boredom proneness on impulse purchasing and smartphone addiction of young consumers. Moreover, the possible mediating role of smartphone addiction is tested for the effect of boredom proneness on impulse purchasing. Nowadays, the effect of emotions on human behavior is generally accepted, and boredom is one of the important and common problematic feelings or moods at various levels of life due to factors like unemployment, not being able to work in a suitable job, not getting appropriate education matching individual abilities, monotony of tasks, and feeling life is meaningless. Investigating the effect of boredom on specific consumer behavior would increase our knowledge about consumer behavior. For the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313 students from Kirikkale University, Keskin Vocational High School; the data were col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data were processed through statistical tools lik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efficient alpha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 that boredom proneness affects impulse purchasing and smartphone addiction. In addition, it is understood that smartphone addic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boredom proneness on impulse purchas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oredom can b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certain negative consumer behaviors.
        14.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beneficial effects of forest experience on emotional changes in young children who are exposed to smartphones in daily lif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41 children aged five and six years at a kindergarten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a five-month forest experience program, conducted twice a week. Before beginning the study, its purpose and procedure were explained to the children's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after which written content was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five-month experience, questionnaires about smartphone use and emotional conditions were administered through the parent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namely average-use and high-use groups, depending on the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ore. It was found that negative psychological subscales such as anxiety, impulse, and depression decreased following the five-month forest experience in both groups. Positive psychological attitudes such as sociability and crea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forest experience. The high-use group showed a wider range of positive changes compared to the average-use group. Accordingly, forest experience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solution for smartphone addiction problems among young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