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성인 남녀의 안면 크기와 동공 간 거리를 조사하고, 현재 착용하고 있는 안경테의 크기 및 디자인 형상에 대해 비교를 하고자 하였다.
방법 : 경북 경산에 위치한 안경원을 방문한 20~30대 성인 남녀 각각 100명, 중국 지린성에 위치한 안경원을 방문한 20~30대 성인 남녀 각각 100명, 총 400명에 자료를 전향적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대상자들의 안면 크기 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Eye measure 1.21, Dotty Digital 2018,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동공 간 거 리는 수동식 동공 간 거리계(PD-5, TOPCON, Japan)를 이용하여 원용과 근용 각각의 동공간 거리를 측정하였 다. 착용하고 있는 안경테에 대한 크기는 boxing system에 준하여 측정하였고, 안경테의 종류는 모양(원형, 타원 형, 직사각형), 림의 형태(온테, 반무테, 무테), 재질(플라스틱, 금속, 콤비)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결과 : 안면 크기 측정범위는 149.73±6.28 mm(중국 여성)~152.29±14.71 mm(한국 남성)이었으나, 그룹 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147). 원용 및 근용 동공 간 거리 측정에서는 모두 그룹 간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 다(p<0.001). 안경테의 크기 측정인 렌즈 삽입부의 크기(eye size), 연결부의 길이(bridge size) 그리고 수직 길이 (vertical height)에서 모두 그룹 간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01). 한국과 중국의 남녀 대상자들의 착용 중 인 안경테에서 콤비 재질을 제외하고(p=0.790),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성인 남녀 간의 안면 크기는 차이는 없었지만, 동공 간 거리는 차이가 있었다. 착용 중인 안경테의 크기는 한국과 중국 착용자 간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한국 성인은 상대적으로 원형 테를 많이 착용하고 있지만, 중국은 직사각형의 안경테를 더 많이 착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나라 간 선호도가 다 름을 이해하고, 기호에 맞는 제품을 추천할 수 있어야 하고, 수출을 위한 안경 디자인을 할 때 안면의 형상 및 현 지인의 기호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목적: 시력보정을 위한 굴절검사에서 안경 착용자와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렌즈 제거 후 시간별 굴절력 변화를 살펴보고 안정화 시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경 착용자 30명(60안)과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 91명(182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안경 또는 콘택트렌즈 제거 후 즉시, 30분 후, 60분 후 그리고 콘택트렌즈 제거 시에 한하여 추가로 90분 후에 타각적 굴절검사, 자각적 굴절검사, 각막곡률반경검사를 각각 실시하였다. 결과: 자각적, 타각적 굴절검사 및 각막곡률반경검사 값은 안경렌즈의 제거 후60분까지 모든 시간별로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콘택트렌즈 제거 후에는 시간별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며 이 검사 값들은60분 이후 안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굴절 보정과 소프트 콘택트렌즈 교체를 위한 굴절검사는 렌즈를 제거한 뒤 60분 이후에 검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는 안경과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근시 군을 NPA방법 (Near Point of Accommodation) 과 Minus lens 기법을 사용하여 조절력 측정의 신뢰성에 대하여 연 구하였다. 안경과 콘택트렌즈 착용군 사이의 상관관계는 NPA의 경우 44%(R = 0.44, P 二O.어452) 로 나타났고, Minus lens 기 법 의 경 우 85%(R = 0.85, P < 0.0001) 로 나타났다. 또한 굴 절이상도가 증가할수록 상관관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근시안에서 안경과 비교하여 콘택트렌즈 착용이 프리즘 영향을 받지 않아 폭주 부담을 많이 갖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Minus lens 검사법이 안경 과 콘택트렌즈 착용자간의 조절력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정확한 검사법이라 사 료된다.
We have studied to investigate the causes and the degree of complaints of the spectacle wearers i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 questionaires, examination of fitting condition of the spectacles, ophthalmic dispensing state from 54 spectacles wearers. The results are as follow : 1. The most common causes of physical complaints are slipping forward(73.1%), nose pressure(67.3%), loose or wobbly(50.0%) and the most popular causes of visual complaints are dizzy(40.3%) 2. The degree of physical complaints are slipping forward(l.O), nose pressure (0.8), loose or wobbly(0.7) and the degree of visual complaints are dizzy(0.6) 3. The degree of physical complaints are serious in the case where the adjustment state of the spectacles is improper and it slips forward even in the proper adjustment state. 4. In the spectacles wearers group who experienced dizzy complaint and ohjeet size change, there is more BO prism effect than the other group who didn't experience visual complaint, but there 1s no BI and vertical prism effect between those groups. 5. The spherical equivalent difference has no effect on the visual complaint of the spectacle wearers in middle school ages. As the result, the most common causes of the spectacle wearers in the middle school ages are slipping forward and dizzy and whose degree are more serious than the other causes. And the spectacle adjustment state, prism effect and spherical equivalent difference have no effect on the complaints of the spectacle wearers in middle school ages.
안경올 착용하고 있는 초둥학교 어린야 120 명(현재 안경의 착용기간 0.67 ::1:: 0.55년) 을 대상으로 안경올 착용하면서 느끼는 불현감에 대한 설푼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착 용 중인 안경의 조정 (fitting) 상태, 광학적 조제상태 및 안정테의 크기률 조사하여 다 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 대상자의 28% 가 안경을 착용하면서 불편올 느꼈으며, 불펀감의 왼인은 ‘훌 러내댐’ 41%, ‘코와 귀 부위의 압박감’ 46%, ‘기타’ 12% 로, 대부분 안경테의 역학적인 조정상태가 불편감의 원인언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안경 착용상태를 조사한 결과 착용자의 67% 에서 착용상태가 적절하지 못한 것 으로 나타났으며, 그 원인으로는 코받침부의 간격이 넓고 l斗리꺾엉부의 위치가 깊게 조정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안경렌즈의 광학중심점간 거리와 동공간거리가 일치하지 않은 안경은 93%로 나 타났으나, 독일 RAL-RG-915룰 적용하여 조제가공 허용오차의 범위에 대한 적부플 판단한 결과 수펑방향은 96% 가 적합하였으며, 수작방향은 89% 가 적합한 것으로 조 사되었다. 4. 착용하고 있는 안경의 등가구면굴절력은 -1. 99엄::t:1.729D 였으며, 완전 교정도수 의 등가구변굴절력은 2.660::t 2.068D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큰 불편은 느끼지 못하눈 것으로 나타났다. 5. 착용 중인 안경테의 크기와 어련이 안경태의 설계값을 비교한 결과 전면부 전체길 이 (FHD) 는 설계값에 비해 작은 반면, 렌즈고정블 중심간거리 (FPD>와 렌즈고정틀 사이 거리 (DBR)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리부 전체길이는 큰 차이가 없는 반면, length of drop(LD)은 긴 것 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어린이가 안경쏠 착용하면서 느끼는 불편감의 주증상흘 흘러내립이 며 그 원인으로는 넓은 코받침부의 간격과 다리꺾임부의 위치가 부적절하게 조정되 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며, 현재 시판되는 안정테의 크기가 어린이의 얼굴 형태에 적합하지 못하며 특히 코받침 부위가 열굴형태와 관 차이가 있어 어린이의 얼굴형태 에 따라 안경태를 조정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사료된다
안경장용자들의 횟팅 실태를 파악하고, 안경장용자와 안경사의 의식부족이나 광학 적 설계의 한 요소인 예비 횟팅의 미비가 원인이 된 잘못된 횟팅에 대해 조사하였다. 횟탱 실태를 고찰하기 위해 안경장용자 총 104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 사 내용은 안경테 흘러내립, 경사각, 별림각, 정간거리를 조사하였다 결과는 흘러내림 은 정상이 38.5%, 약도가 38.5%, 중동도가 17%, 심한 정도가 6% 로 조사되었다. 경사 각은 10。이하가 30.8%, 11 -130 (정상)에 해당되는 사람이 65.4%, 14。이상은 3.8% 였 다. 벌립각은 정상이 59.6%, 양 쪽 모두 벌어진 경우가 9.6%, 양 쪽 모두 좁은 경우 가 23.1%, 한 쪽이 벌어졌거나 좁은 경우가 7.7%로 나타났다. 정간거리는 11 rnm 이 하는 11.5%, 11 -13 rnm( 정 상)은 57.7%, 13 rnm 이 상은 30.8%으로 나타났다. 횟탱평가의 주요 요소로 흘러내렴, 경사각, 별림각, 정간거리 등이 있는데 횟탱이 적절하지 못한 이유는 크게 예비횟탱의 부재와 안경장용자의 올바른 관리의 부재로 나뉘어졌으며, 이러한 적당한 횟탱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에 장용자의 불편함과 시각적 교정효과의 불만족, 얼굴외형의 변화 동의 문제가 초래될 수 있음의 결과로 나타났다.
안경을 착용한 성인 남녀 246명(평균 안경 착용기간 8년)올 대상으로 안경으로 언 한 불편감과 안경의 관리 방법 둥에 관하여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착용중인 안 생의 조정 (fitting)상태와 광학적 조제 상태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안경을 착용하면서 겪었던 역학적 불편감은 ‘코와 귀부위의 압박감’이 35.1%, ‘안경테 흘러내림’이 32.6%로 가장 많았으며, 시각적인 불편감은 ‘시력저하’가 17.3%, ‘안정피로’가 10.6% 동으로 조사되었다. 2. 착용중인 안경의 불펀감은 ‘안경테 흘러내림’이 25.2%, ‘코와 귀부위의 압박감’이 끊.1%로 조사되었으며, ‘조정 (fitting)상태가 부적절한 경우’가 64%, ‘부정확하게 조제 펀 안경’이 18.69%로 조사되었다. 3. 안경 착용자의 관리 상태는 안경을 쓰고 벗올 때 ‘항상 양손을 사용한다’가 ]1%, ‘항상 한 손을 사용한다’가 31%, ‘한손과 양손을 혼용한다’가 58%로 조사되었으 며, 안경을 닦을 때 ‘한쪽 안경다리를 잡고 닦는다’가 23.9%, ‘양쪽 안경다리를 잡고 닦는다’가 11.4% 등으로 조사되 었다. 본 연구 결과 안경 착용으로 인한 역학적 불편감으로 압박감과 안경테 흘러내렴, 부적절한 피탱상태와 부정확한 조제가공 상태가 원인으로 조사되었으며 안경 착용자 익 안경 관리 방법이 올바르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안경 착용자의 불편 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압박감과 안경테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는 한국인의 얼 날 형태에 적합한 안경테의 설계가 필요하며, 안경사의 정확한 조제 가공과 조정 ( fitting) 기술 뿐 만 아니라 안경 착용자의 안경 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샤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