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지금까지 거의 알려지지 않은 추명순(1908–1994) 전도사의 삶과 사역을 ‘하나님의 선교’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추명순은 일제강점기의 신사참배에 굴하지 않고 교회를 지켰고, 해방 이후 가장 소외된 지역인 전북 고군산군도에 들어가 평생을 오늘날 ‘하나님의 선교’의 주요 과제인 ‘주변으로부터의 선교’를 실천한 인물이 다. 그의 사역 특징을 몇 가지로 정리하면, 먼저, 전도·교육·구제·돌 봄이 결합된 통전적 선교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낙도라는 열악한 환경에서 복음을 전하며 변방의 하나님 나라의 운동을 이끈 대표적 사례이다. 셋째, 가부장적 사회에서 여성으로서, 목사가 아닌 전도사로 서 선한 리더십을 발휘하여 소위 ‘고군산군도의 어머니’라고 불리며 그리스도의 빛을 드러냈다. 결국 추명순 전도사의 삶과 사역은 위기에 처한 오늘의 한국 교회사 가야 할 새로운 길과 선교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Airborne microplastics (AMPs), known to be persistent pollutants, have recently been detected in the atmosphere and even in human lung tissue, raising concerns about potential human respiratory exposure. In light of these concern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AMPs in Seoul. μ-Raman spectroscopy was employed to identify fine particles (≥5 μm)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monitoring protocols. Monthly air sampling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23 to March 2024 at an urban rooftop site using a PM10 air sampler. Samples were pretreated with hydrogen peroxide to remove organic matter, then filtered through a silicon filter. μ-Raman spectroscopy was applied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microplastics. The mean concentration of AMPs was 74.0 ± 29.9 particles/m3, with polyethylene (46.7%) and polystyrene (21.8%) being the most prevalent polymer types. Most particles (64.5%) were in the size range of 5–10 μm, and fragment type particles accounted for 98.9% of the tota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spirable microplastics are commonly present in urban air and that polymer composition may reflect both material properties and usage patterns. This research provides baseline data for future exposure and risk assessments and supports the need for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airborne microplastic analysis protocols.
치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사역은 물론, 선교의 역사에서 제외될 수 없는 주요한 요소였지만 현대의학의 발달로 인한 의학과 종교의 분리는 오늘날의 선교에 있어서 치유의 기능과 영역을 축소시켰 다. 그러나 양극화, 불평등, 재난, 불확실성 등으로 인한 정서적. 심리적 차원의 질환이 증가하는 오늘날의 선교 상황에서 치유의 역할과 기능이 다시금 요청된다.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으로서 다른 시각장애인들에게 전인적 치유를 실천한 효명(曉明) 김선태 목사의 삶과 선교사역을 통해 오늘날의 치유선교에 대한 통찰을 얻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김선태의 치유사역을 통해 오늘날의 선교는 첫째, 시각장애인으로서 동일한 차별과 고난을 경험했다는 것 자체로 치유가 발생하고 함께 어울릴 수 있었다는 점에서 ‘경계를 초월하는 어울림의 선교,’ 둘째, 그의 이타적 희망이 무력함과 좌절 속에 있는 이들에게 희망의 모델이 되었다는 점에서 ‘무력함 속의 희망의 선교,’ 셋째, 그의 사역이 단순히 신체적 치료에 국한되지 않고 다차원적 접근을 통한 인간의 존엄성과 온전성을 회복하였다는 점에서 ‘전인적 회복을 향한 통전적 선교’로 제시된다.
OSMU 의 원천 소스로써 문학 자원의 효용이 널리 인정받은 이래로 문학진흥법 시행 및 국립한국 문학관 건립 추진 등의 이벤트가 잇따르며 지역의 역사․문화 및 경제 발전을 일으키는 문학 테마 공간에 대한 관심이 고취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학관, 문학공원 등 문학을 테마로 조성된 조경 공간 의 테마가 의도에 부합하게 전달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스토리 전달의 핵심 매개물인 환경조형 물의 이미지텔링 현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조사와 현장 조사를 실시하여 황 순원문학촌 소나기마을, 박경리문학공원, 김유정문학촌의 3곳에 설치된 문학촌 조형물의 이미지 텔링 현황을 평가하고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작성한 분석의 틀을 적용하여 평가의 결과와 개선 방 향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문학 테마 공간에 설치된 조형물의 이미지텔링 이해를 돕고 이미 지텔링의 개념으로 수용되는 환경조형물의 설치 계획 수립 및 심의와 평가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rtificial photosynthesis, which mimics the natural process used by plants, offers a promising strategy for harnessing solar energy to produce valuable fuels. One intriguing approach is the photocatalyst-enzyme attached system, where a photocatalyst captures light energy and transfers it to an enzyme to drive specific chemical reactions. This study describes the synthesis of a novel photocatalyst (MWCNTCEBr) formed by coupling multiwall carbon nanotubes (MWCNTs) with a dye ethidium bromide (EBr) via a condensation reaction. The resulting photocatalyst exhibits excellent charge separation and migration abilities, leading to enhanced photocatalytic activity. Notably, MWCNTCEBr photocatalyst successfully converts α-Ketoglutarate to L-Glutamate (81.9%) and photo-regeneration of NADH (76.20%) under the influence of solar radiation. Therefore, the study demonstrates the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f MWCNTCEBr photocatalyst for impressive NADH regeneration and bio-transformation.
한국의 전근대 시기 전통 천문 지식의 면모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 으로 천문 이변 현상에 대한 인식과 해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천동상 위고(天東象緯考)』를 대상으로 우주(하늘)와 해, 그리고 달에 나타난 이상 징 후에 대한 인식은 어떠했으며 이에 대한 해석은 어떠했는지를 알아보았다. 천동상위고에서는 천문 이변을 그 대상과 점사에 따라 유형화하고 유형에 따라 다시 현상을 세분하여 각각의 해석을 붙였다는 점에서 천문 지식으로서 의미가 크다. 천동상위고에 나타난 우주, 해, 달과 관련된 천문 이변의 유형 표에 따르면, 천변과 일변, 월변의 유형으로 나뉘어지며 그 하위 부류는 전체 120여 종에 달한다. 또한, 천문 이변에 따른 점사는 국가 멸망이나 왕의 사망에서부터 병란이 나 역모, 각종 재난과 재해 등 다양하다. 이러한 점사는 하나의 천문 이변에 2 개 이상의 점사가 서술되기도 하고 동일한 점사가 2개 이상의 천문 이변에 적용되기도 한다. 대체로 나라의 변고나 재난을 예고하는 내용이지만 경사스 러운 일을 예고하는 내용도 있다. 천동상위고에 나타난 구체적인 천문 이변 사례에서는 이변이 한 가지만 나 타나지 않고 두 가지 이상의 현상이 같이 나타나면서 점사 역시 더욱 복잡하게 제시되기도 한다. 이처럼 전근대 시기에는 우주(하늘)와 해, 그리고 달을 중심으 로 일어나는 이변 현상을 세세하게 구별하였고 이에 대한 점사 역시 그 이변 현 상에 따라 각기 다르게 부여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전근대 시기 천문 현상에 대한 지식, 즉 천문 이변에 대한 인식과 해석의 일단을 볼 수 있었다.
손중산(孫中山)의 서예 작품의 대필 현상은 학계의 관심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전 연구에 따르면 대필자로는 전동(田 桐), 전항(田桓) 형제 및 왕정위(汪精衛) 등이 있다. 손문이라고 낙관되어 있는 서예인 <동덕서보사(同德書報社)>, <음화식덕 (飲和食德)>와 같은 먹으로 쓴 흔적은 손중산의 작품과 상기에 서 언급한 대필자들의 작품과 확연 다르다. 남궁체(南宮體)의 서예가 뚜렷한 이들 작품을 다시 분석하여 필자가 누구인지를 밝히는 과정 및 탐구할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 언급한 작품의 시대와 서예적 특징을 기반으로 단서는 모두 악주(鄂州)의 장유쇠(張裕釗) 가문을 가르키고 있다. 장유 쇠는 청나라 말엽 중국서단에서 명성이 높았고, 대표작으로는 <중수남국현학기(重修南宫县学记)>비 등이 있으며, 후세 사람 들로부터 남궁체(南宮體)라 불리웠다. 장씨 후손 중 서예에 가 장 뛰어난 사람은 손자 장효이(张孝栘)를 꼽을 수 있다. 그는 일찍 일본 유학 중 동맹회(同盟会)에 가입하여 학생운동의 중 요한 인물로서, 진보적인 간행물을 창간하고 여러 잡지와 서적 간행물 제목을 쓰기도 하였다. 장효이는 귀국 후 줄곧 손중산 을 따라 혁명 활동을 하였으며, 민국 정부의 사법 계통에서 중 요한 직책을 맡았다. 악주 장씨 서예 가문과 많은 제자 중 장효이의 생애와 필사 의 특징은 상기 서술한 대필 작품의 시대적 배경 및 서법 스타 일과 맞물려 있으며, 이런 계열의 작품들이 모두 장효이의 대 필소서라 추정된다. 이 연구는 민국 서예사 연구를 풍부하게 하고, 장효이 서예 연구의 공백을 메우는 데 도움이 되며, 이론 및 실제적 의의가 있다.
이야기 선교학은 선교학의 영역에서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개인의 이야기를 미시적인 관점으로 조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으 로 또 다른 장애인들을 위해 헌신한 인물, 김선태의 삶과 사역을 중심으 로 이야기 선교학적 접근을 시도한다. 김선태는 어린 시절 전쟁으로 인하여 가족을 잃고 고아가 된 후, 이어서 시각장애인이 되는 극심한 불행 속에서도 불굴의 의지와 신앙심으로 현실의 난관을 이겨낸 인물이 다. 그는 목회자가 되어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사역에 평생 헌신하였고, 이러한 김선태의 삶은 오늘날 한국교회와 세계교회가 본받을 만한 선교적 삶의 모범이 된다. 이 글에서는 김선태의 삶과 사역을 이야기 선교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는데, 첫째, 그의 사역은 “공존”을 희망하 는 선교, 둘째, 총체적 치유를 지향하는 환대의 선교, 셋째, 약자를 위한 약자의 선교-주변부로부터의 선교로 요약된다.
We investigated dynamic interaction between adjacent magnetic loops in the solar atmosphere, which is a process of volume shrinkage with nonuniform acceleration caused by Lorentz force. When these loops locally have different thermal and dynamic properties, a significant discrepancy between their translational motions driven by means of that force may arise, leading to the dynamic interaction. We use both numerical simulation and analytic model of magnetic piston-driven wave to evaluate how much a single event of the interaction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temperature in the upper chromosphere. The model shows a possibility that a chromospheric plasma is heated by the single event to have transition region temperature, which is typically several tens of times higher than chromospheric temperature. The model also provides an insight into the formation height of the transition region.
Hong Kong’s local writer Shu Xiangcheng has pioneered a course of local writing in Hong Kong literature that is unique to Hong Kong’s experience and composed entirely of local colours, and this has been recognised by critics. This article takes his long masterpiece The Sun Set as an example. Through his reproduction of Lingnan culture and Hong Kong’s regional features and people, we can see the picture of life with a strong Lingnan flavour sketched out by his delicate brushstrokes. From his reflections on urban expansion, we can see his “nostalgia” and “land-loving complex” with the port where he grew up, and his poetic and authentic language style, which provided valuable assets for the rise of local writers and the enrichment of Lingnan and Hong Kong literature later on. Unlike the vernacular writings of the Mainland and Taiwan in the same period, Shu Xiangcheng uses purely vernacular support to reproduce the reverse but romantic scenery of the ports at the same time when Hong Kong’s urban civilisation was progressing, in order to express his nostalgia for the disappeared ports in the expanding city, his praise for the simple folkways of the ports, and his critique of the city’s decadence and desires.
본 논문은 선행논문이 거의 없는 이순신의 정읍현감 시절: 그 행적(行 蹟)과 그 함의를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주로 북방변방 수비장교로 떠돌 던 그가 유성룡의 천거에 힘입어 전라도 정읍현감에 부임하여 그의 준비 된 능숙한 기량과 역량으로 선정을 베풀었고 현감 재직시 파격적인(7계 급) 승진으로 세인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그의 정읍현감 시절은 ①험난했 던 변방수비장교의 안정회복기, ②현감으로서 선정과 탁월한 업무능력 발휘기, ③현감에서 전라좌수사로의 파격승진기라는 큰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특히 풍전등화의 국가위기인 임진왜란이 발발하기 직전 전라좌수 사로 승진되어 전란에 대비한 것은 참으로 다행스런 일이었다. 그는 정 의와 책임감으로 일관된 공직관을 가진 철저히 준비된 능력과 장수의 덕 을 지닌 군인이자, 목민관이자, 인격자였다. 문무겸전한 구국영웅으로 최 후 순간까지 조국에 헌신한 그는 오늘날에도 만인에게 희망·용기·비전을 주며 한국인의 가슴 속에 살아 숨 쉬고 있다.
We investigated an emerging magnetic loop dynamically formed on the Sun, which has the effective footpoint heating source that may play a key role in heating a solar atmosphere with free magnetic energy in it. It is suggested that the heating source could be related to local compression of a plasma in the emerging loop by means of Lorentz force, which converts the magnetic energy to the internal energy of the plasma that is used to reaccelerate a decelerated downflow along the loop, eventually generating the source when the kinetic energy of the downflow is thermalized. By analyzing very high-cadense data obtained from a magnetohydrodynamic simulation, we demonstrate how the local compression is activated to trigger the generation of the heating source. This reveals a characteristic of the emerging loop that experiences a dynamic loop-loop interaction, which causes the local compression and makes the plasma gain the internal energy converted from the magnetic energy in the atmosphere. What determines the characteristic that could distinguish an illuminated emerging loop from a nonilluminated one is discussed.
The inscription of Cheonsang Yeolcha Bunyajido (天象列次分野之圖) has the sun’s locations at the equinoxes, which must have been copied from the astronomical treatises in Chinese historical annals, Songshu (宋書) and Jinshu (晉書). According to the treatises, an astronomer Wang Fan (王蕃, 228–266 CE) referred those values from a calendrical system called Qianxiangli (乾象 曆, 223 CE), from which it is confirmed that it adopted the sun’s location at the winter solstice of the (211 4 )th du of the 8th lunar lodge Dou (斗) as the reference direction for equatorial lodge angles. This indicates that the sun’s locations at equinoxes and solstices in the calendrical system are the same as those in Jingchuli (景初曆, 237 CE). Hence, we propose that the sun’s location at the autumnal equinox in Cheonsang Yeolcha Bunyajido should be corrected from ‘wu du shao ruo’ (五度少弱), meaning the (51 6 )th du, to ‘wu du ruo’ (五度弱), meaning the (411 12 )th du, of the first lunar lodge Jiao (角), as seen in Jingchuli. We reconstruct the polar coordinate system used in circular star charts, assuming that the mean motion rule was applied and its reference direction was the sun’s location at the winter solstice. Considering the precession, we determined the observational epoch of the sun’s location at the winter solstice to be 𝑡o = −18.3 ± 43.0 adopting the observational error of the so-called archaic determinatives (古度). It is noteworthy that the sun’s locations at equinoxes inscribed in Cheonsang Yeolcha Bunyajido originated from Houhan Sifenli (後漢四分曆) of the Latter Han dynasty (85 CE), while the coordinate origin in the star chart is related to Taichuli (太初 曆) of the Former Han dynasty (104 B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