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주로 현장조사와 문서수집을 통해 중국 윈난다이징포자치주 루이리시 더훙 다이족 전통마 을의 현황과 현대 사회발전이 덕홍 다이족 전통마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더훙지역의 지 형, 기후 등 자연배경과 사회구조, 문화적, 역사적 배경을 통해 덕홍 다이족 마을의 입지선정에 대한 역 사적 이유를 확인하였다. 그 중 문헌조사를 통해 더훙시 다이족의 16개 무형문화재 보호마을 중 가장 잘 보존된 곳이 한사마을임을 확인하였고 다이족 전통마을 경관연구의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본 논문 에서는 한사마을을 공간구성과 경관요소로 나누어 조사 및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사마을은 자 연공간, 농업공간, 생활공간, 도로공간, 공공활동공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마을 외곽 경계부는 대나무숲으로 둘러싸여 독립적인 형태를 띤다. 내부 공간구성은 채두(寨頭), 채심(寨心), 채미(寨尾)의 세 결절점을 중심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구심점을 통해 전체 마을 공간의 조직과 원시종교, 상좌부 불교가 어우러져 내향성을 더욱 확고히 하는 형태를 보인다. 한사마을의 경관요소는 건축, 식재, 시설물로 구 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경관 측면에서는 한사마을의 독특한 종교와 기후, 한족 문화의 영 향을 받은 독특한 빌라식(别墅式), 건란식(乾欄式) 건축양식을 확인했다. 둘째, 한사마을 현장조사를 통해 불교의 영향과 자급자족하는 등 상징성 및 실용성을 강조하는 식재경관의 특징을 발견하였다. 시 설물은 대불교의 도덕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시설의 스타일과 기능도 이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조사와 연구를 통해 한사마을의 공간 배치는 민족의 역사와 종교로부터 배태(胚 胎)된 결과라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종교적 신념과 공동체적 정신이 마을 전체를 지배하고 행태를 통제하는 경관을 보임을 확인하여 마을의 특수성과 보전 가치를 입증하였다.
이 논문은 최근 경영학에서 많이 연구되고 있는 플랫폼전략에 근거하여 전통 문화마을의 생태계를 연구 하고 있다. 전통 문화마을이 국내 관광의 중요한 명소로서 개발되고 있는데, 공진화의 플랫폼전략 관점 에서 분석되고 발전될 필요가 있다. 문화생태계에 대한 플랫폼전략은 관광산업에서 매우 유용할 것이다. 이 논문은 국내 한옥마을 중 전통 문화의 콘텐츠가 잘 활용되고 있는 전주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문화생 태계의 플랫폼을 분석하고 있다. 전주 한옥마을이라는 플랫폼을 중심으로 SPICE 모델과 CPNT 모델을 적용하고 있다. 한국의 전통문화는 한국이라는 브랜드를 세계 속에 알릴 수 있고, 이와 더불어 파생되는 다양한 비즈니스의 효과도 매우 클 것이다. 문화생태계의 이해를 통하여, 관광산업의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논문에서 거시적 관점으로 적용되고 있는 플랫폼 개념이 문화생태계에서도 활용된다면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is a research on the Korean immigrant village and house in Y eonbyeon Long-Shan village in China. The house (so called Minga in Korean), which was studied in this paper, is the vernacular architecture of dwelling for the rural people in this area. It is the most common dwelling type.
We can find Korean vernacular influences on the architecture in this area by the Korean-Chinese people. Long-Shan village is laid out with the so called Bae-san-im-su way which means that to the north of the village are mountains, Moa mountain a branch of Baekdu Mountain ( R *I I 1), water, Haeran river (/Bi.~}[) to the south. The main axis of village layout is made of two roads. The village is mainly developed along the east-west main road follows the southern creek. The other axis is north-south main road and other sub roads branch out from it. The sub roads serve as the transition between main road and the allies, which are the access to individual houses. The main building is usually laid on the northern side of the individual site with garden attached in south. The main entry is usually on eastern side of the main building and the separate service buildings are between the main building and the entry. This also relates to the kitchen location in the main building. Usually the kitchen is on eastern side of the main building and most frequently related with separate service building in function
This is a research on the Korean immigrant village and house in Yeonbyeon Long-Shan village in China. The house (so called Minga in Korean), which was studied in this paper, is the vernacular architecture of dwelling for the rural people in this area. It is the most common dwelling type.
We can find Korean vernacular influences on the architecture in this area by the Korean-Chinese people. Long- Shan village is laid out with the so called Bae-san-im-su way which means that to the north of the village are mountains, Moa mountain a branch of Baekdu Mountain (白头山), water, Haeran river (海兰江) to the south. The main axis of village layout is made of two roads. The village is mainly developed along the east-west main road follows the southern creek. The other axis is north-south main road and other sub roads branch out from it. The sub roads serve as the transition between main road and the allies, which are the access to individual houses. The main building is usually laid on the northern side of the individual site with garden attached in south. The main entry is usually on eastern side of the main building and the separate service buildings are between the main building and the entry. This also relates to the kitchen location in the main building. Usually the kitchen is on eastern side of the main building and most frequently related with separate service building in function.
지방화 시대를 맞아 전통문화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복원, 전승노력 등이 활발해 지면서 전통한옥의 자원화를 통한문화관광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전통한옥마을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 할 것으로보인다. 전남은 한옥관련 시책은 추진하고 있으나 관광자원화를 위한 문화콘텐츠 발굴 및 자원화 개발전략 수립 등이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전통한옥과 한옥마을이라는 문화자원을 활용한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한옥마을 관광자원화활성화방안은 관련 문헌연구, 현지조사, 2차 자료 분석, 해외선진사례연구의 연구방법을 통해 운영 실태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전통한옥마을의 운영 실태와 시사점을 도출해 관광자원화를 위한 활성화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한옥마을 특성에 맞는 핵심소재 발굴이다. 둘째, 관광수요자 중심의 체험프로그램 개발이다. 셋째, 한옥마을 관리운영을위한 인력과 조직의 운영관리 체계화이다. 넷째, 다양한 정책지원 요건 구비이다. 다섯째, 홍보와 마케팅 강화이다.여섯째, 한옥마을 운영 표준화 매뉴얼 작성이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추진되어 왔던 전통테마마을 사업의 추진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인적 요소, 경제적 요소, 사회적 요소 등으로 구성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평가지표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 문가를 대상으로 AHP법을 이용하여 중요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지표의 중요도는 주민만족도 (150), 주민참여도 (145), 경제적효과 (123), 민박가구수 (101), 리더양성정도 (96), 사업이해도 (90) 순으로 나타났 다. 6개 마을에 적용한 결과, 해바리마을, 다랭이마을, 남사예담촌, 물레방아떡마을, 산첩렵마을 순으로 평가량이 산정되었다. 농촌마을 간의 균형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인적 측면, 경제적 측면, 사회적 측 면에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충남 예산군 오가면 오촌리(1,2리)를 대상으로 하는 옹기체험 농촌체험마을 계획에 관한 것이다. 한민족의 정서와 품성을 잘 나타내고 있는 우리의 고유한 민족문화 유산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옹기를 꼽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1970년대이후에는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레스 등의 새로운 대체 용기가 개발․보급되는 한편, 급격히 주거 및 식생활 문화가 변화되면서점차 쇠락의 일로에 있는 형편이다. 대상지의 경우 현재 농촌의 낙후된 각종 시설과 노령화로 인해 마을의 인구가 점점감소하고 있어 마을주거환경개선 및 관광자원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관광형태의 변화로 체험형 관광프로그램이늘고 있는 추세로 옹기를 주제로 한 체험 농촌마을을 계획하였다. 오촌리의 차별성 있는 농촌관광자원인 전통옹기를 이용하여테마형 농촌마을을 조성하고, 옹기를 이용한 참여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주민 소득증대에 기여하도록 계획하였다. 또한마을 주거환경 및 경관정비를 통하여 삶의 질이 높은 농촌마을로 계획을 하였다. 주요 계획내용으로는 에너지 자립형 농촌마을조성을 위하여 태양광을 도입하였으며, 축산분뇨 재처리시스템, 옹기체험센터, 도예 동호인 전원마을 등을 조성하여 특색 있는 테마마을로 계획하였다. 또한 마을 역사자원을 이용한 역사잇기 계획과 오촌리 유래찾기를 통하여 오촌리 마을의 전통성계승 및 홍보계획도 하였다. 이와 같은 오촌리가 옹기를 이용한 농촌체험마을 계획을 통해 주민들의 농외소득의 증대와정주환경개선, 관광농촌마을로서의 역할을 할 수 것이라 기대된다.
This research has set up the fire protection and early suppression plan for Asan Oeam folk village which is composed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 instinct or complex.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require attentive considerations about the fire property of the Waga and the straw roofed house. Especially, as the straw roofed house has property that the transfer and development of the fire is fast. Therefore we studied on the transferring possibilities of the fire dangerous instinct through measuring the distance from of the eaves edge and trees in neighboring house. 2. This research proposes the tools for the priority protective building through consideration of fire risk and cultural priority because the fire prevention for all is impossible at the same time. 3. The most important thing is preserve the cultural identities of traditional folk village in establishing the fire hydrant and fire prevention facilities. Traditional folk village landscape should be considered.
본 연구는 전주의 한옥마을을 전통문화 중심도시로 육성시키기 위해서 진행하였던 간판정비 사업을 중심으로 내용을 정리하였다. 전체구성 방법은 표준화 디자인에 있어서 활용과 설명방법 그리고 각종 사인물에 있어서 올바른 설치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사인디자인 적용과 기본방향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에 있어서는 전주시 시민과 외부인 그리고 한옥마을에 주거하는 주민 등 600명을 대상으로 한옥마을의 일반적 특성, 한옥마을의 정보습득과 이동성 그리고 한옥마을의 간판 규제와 범위 등 3분야로 나누어 설문을 진행하였다. 위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전주한옥마을에 있어서 디자인 컨셉과 세부적인 간판 적용방법을 규정하였고 사인물 디자인에 대한 픽토그램과 전통 한옥에 있어서 사인물 설치 방법을 제시하였다. 전주한옥마을에 대한 사인물 정비의 행정적 절차 규정에 있어서는 전주시와 간판 광고업자, 한옥마을 심의위원회, 지역주민의 상호협력 방법 등 행정적으로 사업 진행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주한옥마을 사인디자인 사업진행 방향을 종합하였고 관련 담당부서와 협의를 통해 앞으로 전주한옥마을을 전통과 역사가 잘 보존된 지역으로서 육성 발전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동성마을 중 하나인 강원 도 고성군 왕곡마을을 대상으로 도면을 분석하고 현 장을 방문하여 관찰조사를 함으로써 전통 담의 특성 과 디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 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앞 담은 없고 앞마당이 완전 개방되어 이웃들과의 친교의 장과 농사 업무를 하는 반공적인 영역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반대로 뒷 담은 완전히 폐쇄되어 가족만의 완벽한 사적인 영역 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는 친족들이 모여 사는 동성 마을의 독특한 담의 표현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뒷 담의 재료는 기와를 얹은 돌흙담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앞 담은 생울타리와 밭, 나무와 돌, 꽃 등 낮은 높이의 자연적인 요소를 이용하여 영역을 구분 짓고 있었다. 셋째, 담의 디자인은 대부분 돌과 흙으 로 쌓여졌으며, 인위적이지 않고 자연스러운 멋을 나 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동성마을에서 보여 지는 울타 리, 경계의 역할을 하는 담의 구성은 현시대의 도시주 택계획에서도 응용해 볼 수 있는 좋은 요소라고 생각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posing a method of developing experience program for organizing continuous 'Recreating Cultural and Traditional Village'. Therefore, with having purpose of developing experience program which is deeply related with residents organization and architecture in the village, the researcher has participated in '2005 An-dong Gunjamaul Recreating Cultural and Traditional Village', accomplished developing experience program which can continuously manageable by residents and space and facilities which are accompanied with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developing process of experience program has four phases, selecting program, planning program, growing and changing program, and practicing and firmly establishing program. Moreo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space planning and setting up a resident's organization and the experience program need to be considered. The things that experts have to consider are come up with three subjects. First, planning experience program with citizen participation. Second, designing experience program with spaces which will contain the programs. Third, developing programs which are accompanied with rediscover village's resources through continuous feedback.
書堂은 三國時代 및 高麗를 거쳐 朝鮮朝末期에 이르기까지 士族과 庶民 子弟의 初等敎育을 전담해 온 自然發生的인 私設敎育機關이다 이러한 書堂은 당시 京鄕 各處에 散在해 있으면서 漢文基礎敎育을 담당했지만 우선 敎材 內容을 통해 알 수 있듯이 封建儒敎社會가 요구하는, 五倫에 根幹을 둔 忠孝敎育을 중점적으로 실시함으로써 書堂敎育이 단순히 文字敎育機關이 아닌 修身과 敎化를 위한 風化之源으로서의 機能을 다하여 왔다. 필자는 이와 같이 書堂이 大衆敎育에 끼친 공적이 至大함에 관심을 두고, 書堂敎育에서의 敎育課程과 效用性, 現代의 書堂式 漢文敎育 機關의 現況에 대하여 傳統 書堂敎育의 現代的 意義와 관련하여 논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과거의 전통적 서당교육의 정신이 그 명맥을 근근히 유지하고 있으며 전국 각지에서 유림의 선비 정신을 면면히 이어오면서 후진양성에 매진하고 있는 서당 훈장님들을 직접 탐방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윤리·도덕이 무너져 가고 있는 현실에 비춰 볼 때 어둠을 밝혀 주는 등볼과도 같아서 그나마 한 가닥 희망이 보이는 것 같았다. 필자는 대학에서 강의하면서 학생들에게 방학을 이용하여 훌륭한 서당 훈장님들에게 가서 誠心으로 공부하도록 권하고 있는 바 그곳에서 수학한 학생들은 인성과 예절이 바르고, 한문전공 성적도 우수하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아왔다. 이들에게서 한문교육 장래의 희망을 걸어본다. 이제 초·중등학교의 학부모들은 오로지 입시 위주의 인기과목에만 치우치는 학원에만 자녀들을 보낼 것이 아니라 방학 등을 이용하여 서당과 한문학원에서 修學하게 하여 인성과 덕성을 기르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대학에 진학하여 모든 학문영역에서 올바론 학문 자세를 갖추어 지와 덕을 겸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서당교육이 구시대적 교육제도라는 점에서 사회적 여건이 判異한 현대의 교육제도와의 接木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전통적 서당교육과 현대적 한문교육이 新·舊의 조화를 이루어 法故創新하는 한문 교육과정을 啓發해 나감으로써 한문학습이 어렵고 지루한 공부가 아니라 재미 있는 과목이 될 수 있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서당교육 등이 그것이다. 아울러 일선 학교 漢文敎師와 漢學者 그리고 漢文敎育 關聯機關에서 부단한 노력을 통하여 일반인들에게 접근하기 쉬운 內容으로 活性化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중국 전통 민가는 인간의 지혜의 결정체이며, 인류 문화의 살아있는 화석으로, 그 중에서도 전통 민가는 오랜 세월 자연환경과의 융접을 통해 풍부하고 질박한 생태건축 사상을 담아 현지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귀중한 경험을 많이 쌓았다.그 속에는 생태와 에너지 절약의 이념이 담겨 있다. 기남지역전통민가는자연환경,기후조건,생산방식,생활방식등의영향으로 입지, 공간배치, 용재, 조성기예 등에서 독특한 건축양식을 형성하고 있으며, 입지적응, 환경적응, 배치유연성, 에너지절약, 친환경 등의 전형적인 생태 이념을 보여주고 있다. 이 이념은 기남전통민가의 발전과 지속에 도움이 되며, 전통민가를 녹색생태건축으로 유도한다. 기남전통민가건축의 특색 및 생태이념에 관한 연구는, 현대 신농촌과 도시화 건설에서 새로운 민가의 발전과 조성에 중요한 귀감이 된다.본논문은기남섭현경락진(冀南涉縣更樂鎮大窪村)) 의 대와(大窪) 전통 정원을 예로 들며 영조 사상 및 건조 기예의 생태적 특징을 발굴하였다.전통민가건 축에 대한 생태이념의 전승 및 보호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함양 개평마을의 문화재로 지정된 5개의 전통주택을 중심으로 그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은 각 가옥에서 발견되는 건축적 특징을 알아보며, 이들에게 어떠한 공통점이 있으며, 그러한 점들이 인근 지역의 가옥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를 찾아본다. 연구 결과는 경남서부 지역과 전남 동부 지역의 건축들이 서로 문화적 접촉을 통해 유사한 영향권 내에 있었음을 밝히는데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Chinese village through the landscape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suggestions for improving Korea's traditional village scener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analysis about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landscape in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It was studied natural landscape, life landscapes, agricultural production landscapes and symbols landscap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field research and interviews. The results of Chinese traditional village's landscape characteristic was First,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was located on the basis of Feng-Shui settings. Second,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was clan-based. Third, It is composed of a large green space on the outskirts of the village. Fourth,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was a typical channel village. Fifth,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was a living landscape with various features. sixth,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was a lot of space to agricultural production, most of the arable land surround village. Suggestions for improving Korea's traditional village scenery are as follows ; First, proposes actively re-design on the base of defense fengshi landscape interpreted as a modern sense. Seconds, when large-scale farmland project is established in Korea, you can expect to gain knowledge from traditional Chinese village spacing. Thirds, It seems to require a study of the public space for festival. in the case of china, ancestral shrine space is center and space for festival. Fourth, It was important to seek knowledge about protection for frequent in flood plains in Korea's traditional village.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was well-known for housing with contact water, connected channels and beautiful defense pond. Fifth, for improving Korea's traditional village scenery, we need to make various focus landscape features. Most of the visitors to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was interested in the big and small beautiful landscapes and shelters.
As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working on the various project about rural experience tourism village in these days, many rural villages are planned and developed, and try to come up to visitor’s demand. Not only quantitative growth by village development but also importance of programs operated by the rural villages are emphasized, therefore it need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ctivity programs about rural experience tourism village in rural community building business by season, characteristics of villages, and overall. Moreover, it has to try to suggest a basic direction of improvement about rural community building business. The site of researches are 15 villages that include 5 green rural tourism villages, 5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s, and 5 unique villages that are recent project. The result of research is that similar projects are operated and hard to find characteristic of seasonal programs in existing management business. On the other hand, the programs of recent management business operates not only the former program but also big and activity program using the village’s resources and characteristic.
This article purposes to make a GIS database of South Korea rural village forest. So we first tried to collect data of their geographic coordinates or location from the many references on the rural village forest. As the result, we collected locations of the 634 forests. Boundaries of the 462 forests could be made by using their satellite imagery. Finally we implemented GIS database of the 462 traditional rural village forest in South Korea. Furthermore we surveyed 100 forests out of them. They were analyzed in the view of location, area, wood species, cultural assets and activities of inhabitants. These data can be used in the rural village planning and I look forward this database is helpful to preserve existing traditional rural village groves as a lasting legacy.
This study discusses developing ecological trails and route alignment in mountainous rural area. Through a process of ecological resources survey, ecological trails and route alignment has been established. Mainly, by focusing on ecological resources in rural areas, it was indifferent to their own ecological resource and charm to make it unique strengths. Based on survey the results, Natural ecology resources, there were the climate factor, surface, geological, terrain analysis. Furthermore, ecological resource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the elements of it, distribution of resources, types, location, semantic analysis. The results are expressed on the map and recorded by taking pictures. Plant ecosystem, there were actual vegetation, land use, flora analysis. Wild animal ecosystem, it was checked and recorded on 1/1,000 map partition the emergence of wild birds, the number of species distributed by foraging guild, the emergence of amphibians, reptile, mammals and insect species. The site is chosen as rural theme village in 2007, base on their own rich ecological and landscape resources. Therefore, we carried out ecological trails and route alignment plan in accordance with analyzed the natural ecological resource and after setting up the basic goal, ecological trail has been composed and planting has done and dire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lanning directions for rural landscap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With wide literature review, the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 were selected as case study areas to search for the main elements according to various spatial types. The pictures taken from the site investigation were used for a questionnaire survey to understand and to find the value of rural landscape. Finally, we found out 25 items from 3 spatial type (rural life area, agriculture production area and natural environment area), and Analyzed the Preference of rural landscape el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