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4

        1.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d imported fire ant (Solenopsis invicta Buren, 1972) was first identified in Korea in 2017 and continues to be detected during quarantine measures. This study assessed the efficacy of three enhanced ant trap designs (narrow-top, wide-top, widebottom) aimed at addressing the limitations associated with conventional multi-tube traps. Colonies of Tetramorium tsushimae, a prevalent ant species in Korea, were utilized for performance evaluation. Traps were strategically positioned 1.5 meters from nest entrances, and capture efficiency was determined by recording the time required to capture three ants, as well as the total number of ants collected after a period of six hours. Each experimental condition was replicated 15 time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Tukey’s HSD test. The wide-bottom trap exhibited the shortest detection time (19 minutes) and the highest capture efficiency (Z=0.76), whereas the narrow-top trap proved to be the least effectiv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wide-bottom trap design is the most effective instrument for the early detection of invasive ant species and may play a critical role in preventing the introduction of S. invicta in Korea.
        4,000원
        2.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실 딸기의 주요 해충인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는 짧은 생활 주기와 살비제에 대한 지속적인 노출로 인해 약제에 대한 저항 성이 빠르게 발달된다. 이에 따라 점박이응애의 지속적인 방제를 위해 트랩식물과 같은 새로운 해충 방제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0종의 콩과식물에 대한 점박이응애의 기주 적합성 및 선호도를 실내검정하여 트랩식물을 선발하였다. 기주 적합성 실험 결과, 병아리콩을 제외한 팥, 서리 태, 서목태, 누에콩, 강낭콩, 녹두, 완두콩, 땅콩, 작두콩에서 대조구(아크릴판)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박이응애의 유인 및 산란이 확인되었다. 기주식 물 9종에 대한 선호도 조사에서는 강낭콩, 서리태, 팥 순으로 점박이응애의 유인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선발된 강낭콩, 서리태, 팥에 대한 점박이응애의 선호도가 암조건에서도 확인되었으며, 특히 강낭콩은 딸기보다 점박이응애의 유인력 및 산란이 3배 높게 나타났다. 최종 선발된 강낭 콩에서, 점박이응애는 초장 150 mm 강낭콩 모종보다 300 mm 강낭콩 모종을 더욱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강낭콩 모종이 점박이 응애의 트랩식물로써 활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4,000원
        3.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백두대간보호지역의 천왕봉에서 묘적령 구간을 대상으로 무인센서카메라를 활용한 우제목 포유류의 상대 적 풍부도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서식지 요인의 구명을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 지역은 공간적 규모가 크고 다양한 서식지 환경을 포함하고 있어 서식지 동질성 분석을 통해 선정된 3km×3km의 격자를 형성하여 30개의 조사구를 대상으로 2021년 4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수행하였다. 서식지 요인과 우제목 포유류의 풍부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시가화·건조지역의 비율을 비롯하여 나지의 비율, 초지의 비율, 수계의 비율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패치의 평균 크기와 패치 크기의 편차, 패치 크기의 다양성, 패치의 총둘레 길이 역시 우제목 포유류의 풍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지역에서 우제목 포유류의 풍부도는 서식지 내 먹이를 비롯한 물의 가용성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서식지의 경관 구조는 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는 종 특이적 행동유형에 따른 서식지 이용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산림을 서식지로 활용하는 우제목 포유류의 서식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서식지 요인의 구명을 통해 우제목 포유류의 관리를 위한 기초 생태자료로서 의미가 높다고 판단된다.
        4,000원
        4.
        202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enhance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safety of offshore eel trap fisheries by developing six types of automated fishing equipment: a bait crusher, bait cutter, main line arranging device, trap cleaning device, eel sorting device, and fish pump system. Sea trials demonstrated that the bait crusher and bait cutter significantly reduced manual labor and processing time while maintaining bait quality. The main line arranging device improved productivity and safety by automating the sorting of looped cords. The trap cleaning device effectively removed fouling organisms using high-pressure water and rotating brushes. The eel sorting device enabled automatic size-based selection, improving resource management and operational efficiency. The fish pump system transferred eels rapidly with minimal physical damage, reducing unloading time by over 80% and decreasing labor requirements. A satisfaction survey of fishery participants confirmed that all developed devices were highly effective in reducing workload, enhancing safety, and improving operational performance. The automated equipment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offshore eel trap fisheries and to offer potential applicability to other coastal and offshore fisheries.
        4,000원
        5.
        202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offshore eel trap fishing process using one year of fishing logs and fishermen’s insights to identify key operational challenges and propose equipment improvement for greater efficiency and safety. Conger eel catches varied significantly by season, depth, and temperature, peaking in winter at 85–90 m and 23°C. The western waters of Jeju Island were identified as a major fishing ground, with the highest catch recorded in November and the lowest in July, reflecting seasonal trends. Each fishing operation deployed about 10,000 traps, with an average loss of 38 traps, posing economic concerns. The process involved intensive manual labor in bait preparation, trap retrieval, catch separation, line loading, and unloading, leading to high physical demands and safety risks. To address these issues, the study proposed autom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line loading device, trap cleaning device, bait processing machine, and automatic catch separator. These innovations could reduce the labor force required by one to two workers per process, alleviate workloads, and enhance resource management. By integrating quantitative logbook analysis with field-based knowledge, this study offers practical value. Further research is recommended on automation development, cost-effectiveness, and field validation to support safer and more sustainable eel trap fisheries.
        4,000원
        6.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non-face-to-face contact restriction policy due to the COVID-19 pandemic (COVID-19) on the fishing output of two 70-ton offshore trap fishing vessels in Gyeongsangnam-do. Compared to the COVID-19 period, the fishing output increased by about 20% after the end of regulations, but there was almost no significant change in monthly sales. As a result of statistical processing, the unit price of consignment sales per k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p<0.05 level,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variables in the output and monthly sales. It was determined that government support was needed to stabilize the supply of marine products and market prices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post-coronavirus.
        4,000원
        13.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특정 선박의 조종성능이 실질적으로 제한되어 있는지 여부는, 특정한 선박을 기준으로 해당 선박의 기능적 특성과 운항 당시의 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하는 상대적 개념이다. 어로에 종사하고 있음으로 인해 조종성능이 실질적으로 제한되어 있는지 여부를 다른 선박이 명확히 판단하는 것은 용이하 지 않다. 따라서 해상교통안전법 제83조의 적용에 있어서는 특정 선박이 자신 의 항법상 지위를 정확히 판단한 후 이에 부합하는 등화 및 형상물을 표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다수의 재결에서 해양안전심판원은 통발조업 어선의 법적 지위를 어로에 종사하고 있는 선박으로 인정한 사례가 있지만, 일부 재결에서는 이에 반대되는 사례도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해양안전심판원의 재결 은 개별 사안에서 구체적 타당성을 고려한 심판원의 고민의 결과라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어업실무상 통발조업에 사용되는 통발의 종류는 다양할 뿐만 아니라 규격화되어 있지 않다는 점과 통발을 사용하여 어획하는 어류도 다양하 다는 점을 고려하면, 유사한 성능을 가진 선박이 유사한 환경에서 통발조업을 하더라도 해당 선박의 항법상 지위에 관해 항상 동일한 결론이 도출된다고 보 기는 어렵다. 해양안전심판원은 일부 재결을 통해, 어로에 종사하고 있는 선박 의 판단기준으로서 사고 당시 선박의 침로나 속력의 변경 가능성 외에 적극적 인 피항동작으로 인한 어구 등의 손상 가능성을 고려하고 있다. 그렇다면 통발 조업 어선의 어로에 종사하고 있는 선박으로서의 지위에 관해서는 향후 심판원 의 재결을 통해 해당 문제에 대한 명확한 입장 표명이 요구된다.
        6,700원
        14.
        202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catch data of Chionoecetes japonicus in the offshore trap fishery from 2009 to 2022 to investigate the spatial distribution changes of fishing grounds in the East S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enter of the fishing grounds consistently shifted offshore and northward from 2009 to 2020, but moved back towards the coastal areas since 2020. When comparing the catch of C. japonicus from the offshore trap fishery between 2009-2015 and 2016-2022,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p<0.01). Analysis of the center of the fishing grounds revealed that they gradually shifted offshore while the fishing grounds were initially concentrated in the coastal areas of the East Sea. This suggests that the center of the fishing grounds moved offshore and northward as the C. japonicus in the coastal fishing grounds decreased. The shift of the fishing grounds back towards the coastal areas since 2020 is attributed to the increased operational costs due to the soaring fuel prices and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which led to a decline in consumer demand for live seafood consumed in restaurants. Consequently, the offshore trap fishery for C. japonicus shifted their focus from offshore areas, which required higher operational costs due to increased fuel consumption and longer fishing times, to coastal areas, that were relatively less costly. This study is the first scientific results of its kind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fishing grounds and annual changes in the fishing grounds of C. japonicus caught in offshore trap fishery in the East Sea from 2009 to 2022.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