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welling capacity of bentonite buffers is vital in high-level radioactive waste (HLW) repositories, as it minimizes groundwater infiltration, prevents nuclides from reaching the biosphere, and stabilizes the HLW canisters. As swelling capacity is a function of temperature, understanding bentonite’s behavior at approximately 100°C (its presumed upper limit) is essential. However, research on this subject has been scarce. Hence,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thermal treatment of Ca-bentonite at 105°C under injected water pressures. The results suggest a 19% reduction in “swell index” and a 35%–36% decrease in the total pressure in thermally treated bentonite. The heated samples demonstrated higher hydraulic conductivity than the non-heated ones, indicating potential performance deterioration in controlling the fluid movement. Furthermore, the injected water pressure (base pressure) was not fully transmitted to the sample ow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se and back pressures, leading to variations in the total pressure despite maintaining a constant differential pressure. Thus, the results demonstrated a degradation in bentonite’s swelling capacity and its compromised role in safe HLW disposal, when subjected to treatment at 105°C. The insights from this research can assist in HLW repository design, while highligh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into bentonite’s performance.
대상 판결은 ‘트리암시놀론 주사’를 통하여 비염치료를 한 병원에게 원고인 보험사가 피보험자들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채권을 피보전채권으로 하여 채권자 대위권으로 행사한 사건이다. 대상 판결은 전원합의체 판결로서 피보험자들의 무자력 요건이 갖추어지지 못하였다고 보았을 뿐 아니라, 밀접한 관련성도 부 정하였다. 그러나 반대의견은 보험자가 피보험자에 대하여 갖는 부당이득반환 채권과, 피보험자가 병원에 갖는 진료비 의 부당이득반환채권 사이에 채권자 대위소송의 ‘보전의 필요성’의 요건인 밀접한 관련성이 존재한다고 보았고, 강행규정 위반으로 인하여 진료행위가 무효가 됨으로써 부당이득반환청구권으 로 보험자에게 귀속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았다. 반대의견에서 지적한 것처럼 만약 병원에서 진료비 상당의 부당이득을 스스로 돌려놓지 않는다면, 채권자 대위소송의 보전의 필요성이 인정되지 않을 경우, 병원의 진료비 상당의 이득 을 피보험자들이 스스로 소액의 진료비를 되찾고자 번거로운 소송을 제기할 동인이나 현실적 가능성을 찾기 힘든 것이 현실인데, 환자의 입장에서는 법정 비급여와 임의비급여를 진료 시에 나누어 선택하기 힘들고, 실제로 보험재정 등의 한계를 이유로 국민건강보험에서 제공할 수 없는 진료의 경우, 국민건강 보험의 틀을 벗어나서라도 병원과 환자는 원하는 진료를 받을 수 있어야 할 것임에도 도리어 제한을 가하게 되어 옳지 않다. 보험사는 임의비급여든 법정 비급여든 보험계약에 따라 보험가입자가 받은 시술의 영수증만으로 보험료를 지급하므로 신 의료기술이 빠르게 등장하는 현실에서 임의비급여를 예외적으 로라도 채권자대위소송에서의 무자력 인정의 예외로 두어 밀접 관련성을 인 정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우리 법문에서 채권자대위권의 행사 에서 무자력의 요건은 명기되어 있지 않음에도 지나치게 엄격하게 해석되어 서는 안 될 것이며, 채권자대위소송의 실효성의 증대를 위하여 채권자대위소 송의 허용범위를 확대해 온 판례의 방향과 프랑스의 채권자대위소송의 개정 및 발전상황, 그리고 민사집행법과의 비교를 살펴보았다.
This study developed and evaluated a non-coagulant dredged sediment treatment system as an eco-friendly river dredging and management technology. From 2014 to 2023, heavy rain damage in South Korea amounted to approximately 2.8 trillion KRW, with a sharp increase since 2020. River dredging has been recognized as a crucial countermeasure, and this study aimed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impact of conventional dredging methods by introducing a non-coagulant treatment system. The developed system utilizes a remotely operated vehicle (ROV) to suction dredged sediment, which is then processed through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to separate solids and discharge treated water. Field tests were conducted in Seohwa Stream, Okcheongun, Chungcheongbuk-do. Results showed that the turbidity increase within the ROV operation area was minimal at 3.8%, and the suspended solids (SS) removal rate was 100%. Additionally, the system is akinetes discharge concentration was confirmed to be 0 cells g-1, demonstrating its effectiveness in water quality restoration. These findings confirm that the non-coagulant dredged sediment treatment system reduces environmental impact while ensuring efficient dredging and water quality enhancement. The proposed technology is expected to serve as a sustainable solution for river dredging and management.
이 연구는 정신분석 치료에서 내담자의 부정적 치료반응을 초래하는 주요 원인인 시기심을 탐구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한 치료적 개입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부정적 치료반응은 내 담자가 자신의 결핍과 공격성을 상담자에게 투사하고, 상담자를 시기함 으로써 치료의 진전을 방해하는 현상이다. 본 연구는 시기심의 발달적 배경과 공격적 특성, 그리고 상담 관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양상을 통 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주요 치료 전략으로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시기심 과 공격성을 민감하게 인지하고, 전이-역전이 관계를 면밀히 분석하며, 시기심을 간직하고(contain) 적절히 해석하여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직면하고 통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포함된다. 특히, 시기심은 단순히 치료를 방해하는 요인이 아니라 내담자의 자기-파괴적 행동과 밀접히 연 관되어 있으므로, 이를 다루는 작업이 치료 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 닌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시기심을 다룰 때 요구되 는 성찰 역량과 개입 전략을 구체화하고, 향후 연구와 실천에서의 방향 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강릉 소나무 친환경벌채지 산림식생(벌채지, 산림영향권, 군상잔존구, 수림대, 대조구)을 대상으로 산림군집구조를 구명하고 조림학적 갱신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2020년 7월 75개소의 방형구를 Braun-Blanquet 방법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한 후 중요치, 종다양도, 군락유사도, DCA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벌채지와 산림영향권에서 큰기름새의 중요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다양도는 대조구가 1.73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벌채지가 1.23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군락유사도는 벌채지와 산림영향권이 0.70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벌채지와 대조구가 0.452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Sørensen의 유사계수와 더불어 조사위치별 거리를 정량적으로 확인해 보고자 DCA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락유사도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단기적인 연구결과이므로 추후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변화되는 친환경벌채지 산림식생에 대한 지속적인 식생 정보의 축적을 통해, 산림영향권이 포함된 친환경벌채지 산림식생의 회복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조류가 발생하는 낙동강에 위치한 정수장에서 남세균 및 마이크로시스틴(MC)을 분석하였다. 마이크로시스틴 분석을 위한 독소 추출 방법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정수처리 공정별로 취수원수, 착수정수, 전오존 처리수, 응집⋅침전 처리수, 여과 처리수, 정수의 수질을 분석한 결과, 탁도와 클로로필-a 농도는 공정 진행에 따라 크게 감소하며 남세균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마이크로시스틴 분석을 위해 세포 내 독소 추출을 위한 초음파 처리, 동결/해동법, 메탄올 추출법을 비교한 결과, 동결/해동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메탄올 추출법은 상대적으로 낮은 추출 효율을 보였다. 본 연구 수행 시 남세균이 충분히 발생하지 않아 모든 샘플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고농도 남세균 발생시 정수장 공정별 남세균 및 독소 농도에 대한 후속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정수처리공정은 남세균과 독소를 제거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공정에서의 남세균과 독소의 제거 능력을 정확히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 과정에서 분리된 항생제 내성균(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ARB)을 제거하기 위해 박테리오파지와 차아염소산 나트륨(NaClO)을 결합한 병용 처리 기술을 응용하였다. ARB를 감염시키는 용균성 박테리오파지는 폐수 샘플에서 성공적으로 분리되었다. 이러한 박테리오파지와 NaClO를 순차적으로 적용한 결과, 5시간 이내에 ARB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었다. 환경 안정성 평가에서는 분리된 박테리오파지가 온도, pH, 독성 물질에 대한 노출 등 다양한 조건에서도 효과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또한, 실험실 규모의 반응기 실험을 통해 단독 염소 소독과 비교했을 때, 결합 처리가 ARB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박테리오파지와 차아염소산 병용 처리는 유기물, 질소(N), 인(P)과 같은 영양소 제거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박테리오파지를 기반으로 한 생물학적 제어법과 기존의 소독 방식을 결합하여 폐수 처리 공정(Wastewater treatment plant, WWTP)에서 효과적인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제어 방안을 제시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국내 수박(Citrullus lanatus) 품종의 발아율에 대한 Solid Matrix Priming(SMP)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Micro cel-E가 SMP 처리에 가장 이상적인 matrix로 밝혀졌으며, 종자:matix:물의 비율은 10:5:10(w/w/w)로, 25°C 에서 3일 동안 처리했을 때 유근의 돌출없이 발아속도가 촉진되었다. SMP 처리 과정 동안 초기 4시간 동안의 수분 흡수율은 급격하게 증가했으며, 이후 72시간 동안은 더 느린 속도로 흡수되었고, 처리 마지막 시간까지 수분 흡수 율은 41%이었다. 발아 온도와 상관없이, SMP 처리된 종자는 발아 시간이 단축되면서 발아율이 향상되었다. 특히, 최적 발아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발아율이 높았다. 품종별 차이는 있었으나, 특히 ‘해찬꿀’과 ‘리코스위트’ 품종 에서 발아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일부 품종에서 SMP 처리 종자의 유묘출현율과 초장, 생체중이 무처 리에 비하여 증가한 값을 보였으며, SMP 처리로 종자의 발아속도 및 유묘활력을 증진시켜 우량 묘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immunoglobulin G (IgG) concentration, nutrient content, and microbial communities of fresh and heat-treated Holstein colostrum collected from a colostrum bank operated by a local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in Gyeongsangbuk-do, South Korea. Of the 16 colostrum samples, 8 were heated at 60℃ for 30 min under a pressure of 0.9–1 bar. The colostrum samples were stored at −70℃ until use, at which time they were thawed at 50–55℃ in a water bath to analyze IgG levels,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biome, which was identified by 16S rRNA gene sequencing using the Illumina MiSeq-PE250 platform. The IgG concentrations were similar in fresh and heat-treated colostrum. The fat, protein, and lactose contents also did not differ in these samples. However, somatic cell count (SCC) was lower in heat-treated colostrum than those in fresh colostrum (p<0.05). At the phylum level for the microbiome of fresh colostrum, Proteobacteria (44.16%) was the most abundant taxa, followed by Bacteroidota (33.26%), Firmicutes (10.04%), Actinobacteriota (7.14%), and a marginal difference in the order of abundance was observed in heat-treated colostrum. At the genus level, bacteria belonging to Sphingomonas, Delftia, Ochrobactrum, Simplicispira, and Lactobacillus were more abundant (p<0.05) in the heat-treated colostrum, while the abundance of Acinetobacter in the fresh colostrum was four times more (p<0.05) than that in the heat-treated colostrum.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heating does not affect IgG level and colostrum composition but reduces SCC (p<0.05), suggesting that heat-treated colostrum can potentially be put to further use (e.g., feeding Hanwoo calves) without compromising its quality. Differences in the microbiome between the fresh and heat-treated colostrum were limited.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xtensively investigate the quality and safety of colostrum collected from dairy farms to ensure better utilization and processing at a local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본 연구는 페튜니아(Petunia×hybrida)의 내건성 증진을 위 해 스트레스 메모리 기작을 활용한 프라이밍 처리의 효과를 구명 하고자 하였다. 건조-회복 과정을 통한 프라이밍 처리를 4회 반복 수행하였고, 두 가지 프라이밍 강도(Priming1:물 100mL, Priming2: 물 50mL 관수 후 건조)를 적용한 후 5일 동안 건조스 트레스 조건에서 내성 증진 효과를 관찰하였다. 프라이밍 강도가 높은 Priming2 처리구에서 대조군에 비해 수명이 약 25시간 연장되었다. 이는 페튜니아가 스트레스 메모리 기작을 통해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정원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라이밍 기술의 유용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 조건 에서의 프라이밍 효과를 평가함으로써 화훼식물의 내건성 증진 에 대한 실용적 기술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적 : 본 연구는 중국 안과병원에 방문한 저도와 중등도 근시 청소년을 연구 대상으로 각막굴절교정 렌즈에 의한 단기간의 근시 진행 억제 효과가 있는지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 J안과에 방문한 근시환자 중 40명의 환자 저도 근시군 20명(40안), 중등도 근시군 20명(40안)을 대상으 로 각막굴절교정 렌즈를 처방하고 6개월 동안 추적 관찰하였다. 각막굴절교정 렌즈 착용 후 1개월, 3개월, 6개월 후 각각 각막굴절교정 렌즈 교정 후 시력과 안축의 길이, 각막곡률, 안압, 각막 중앙 두께 등을 검사하여 분석 및 비교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7.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결과 : 저도근시군과 중등도근시군의 교정시력이 모두 향상되었으며, 두 군 간의 차이는 통계학적 으로 유의하 였으며, 안축 길이는 중등도근시군의 안축 성장이 작았고, 두 군 간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각막 곡률 은 중등도 근시 군의 각막 곡률이 더 많이 감소했으며, 두 군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각막굴절교정 렌 즈를 착용한 환자는 안압과 각막 중앙 두께 측면에서 기준치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 : 각막굴절교정 렌즈는 청소년의 근시를 효과적으로 교정되었으며, 근시 진행을 억제하는 방법 중 하나로 근시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청소년들의 근시 통제 효과는 중등도 근시 환자가 저도 근시 환자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innovative utilization of a biomimetic electric ray friction nanogenerator (ER-TENG) in combination with electrolysis technology for the remediation of maritime effluent. The ER-TENG is ingeniously crafted with a flexible, planar structure, enabling seamless adaptation to various curved and irregular substrates such as rocks, corals, and shipwrecks on the ocean floor, obviating the necessity for specialized mounting or securing devices. Simulation results regard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 between the copper electrode and the PDMS film under different inter-electrode distances indicate that an increase in separation distance is correlated with an enhanced potential difference on the material's surface, exhibiting a linear upward trend, with the maximum potential difference reaching 120 V. When TiO2 nanoparticles are incorporated at a doping mass fraction of 4.65 wt%, the friction nanogenerator attains its peak electrical performance, boasting a peak opencircuit voltage of 123.25 V and a maximum short-circuit current of 13.52 μA, representing increases of 2.73-fold and 2.56-fold in open-circuit voltage and short-circuit current, respectively. At operational frequencies of 1.2 Hz and 1.0 Hz, the initial stage of sterilization rate enhancement proceeds at a moderate pace. However, after 60 minutes of electrolysis, sterilization rates reach 88.12% and 46.36%, respectively. The electrical energy harvested by the ER-TENG facilitates the generation of potent oxidizing chlorine through electrolysis, which effectively eliminates harmful aquatic organisms and pathogens present in ship ballast water.
We have performed an experiment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alt and hot water treatments in soil for managing situations where high-risk plant-parasitic nematodes (PPNs) are detected in farms and flower shops that cultivate foliage plants. The density of Pratylenchus penetrans was reduced by 100% with salt treatments of 20 and 40 kg m-2, while decreases of 95% and 99.8% were observed with treatments of 5 and 10 kg m-2, respectively. In the hot water treatment, Pratylenchus penetrans decreased by 97.6% compared to the initial density. The salt treatment resulted in a decrease in pH and an increase in electrical conductivity (EC) compared to untreated soil. However, other characteristics, including organic matter content, available phosphorus, total nitrogen (T-N) rate, and exchangeable cations, did not differ from the control. In the case of hot water treatment, all properties were similar to those in the untreated group. As a result of this study, salt applications of more than 20 kg m-2 and hot water at 96°C could serve as effective control methods when high-risk PPNs are detected in flower shops and greenhouses located in urban or near-urban areas.
In treatment processes of drinking water, the use of disinfectants is essential for eliminating microorganisms and pathogenic viruses. Chlorine dioxide (ClO2)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disinfectants. To ensure its effective application in drinking water treatment, it is crucial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and reactivity of ClO2 in drinking water treatment environments. Therefore, we examined the effects of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light type, fluorescence intensity, and water quality on its stability. We also examined its reactivity with activated carbon and other inorganic compounds such as coagulants and hypochlorous acid. Findings revealed that ClO2 stability was influenced by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Typically, ClO2 is highly volatile. However, the rate of its volatility is independent of its concentration. As temperature and fluorescent light intensity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ClO2 showed a rapid decline. Additionally, the presence of activated carbon significantly reduced ClO2 levels. In contrast, the reactivity of ClO2 with coagulants and hypochlorous acid was negligible. These findings provide essential insights for optimizing the use of ClO2 in drinking water treatment facilities.
A total of 10,977 individual sewage treatment facilities(ISTFs) have been installed and operated on Jeju island as of 2022. The number of ISTFs has increased rapidly in the hillside area, where the elevation is above 200 m and is recognized as a major area for groundwater recharge. A total of 80 ISTF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ir management status and effluent water quality. This was carried out in two areas, Aewol-eup and Jocheon-eup, which are known to have the highest density of ISTFs in Jeju island. Consequently, 23.9% of ISTFs failed to remove sludge regularly, and 41.3% of ISTFs did not run the blower. The effluent water quality revealed that violating percentage of the legal standards for BOD, SS, T-N, and T-P were 75.0%, 62.5%, 100%, and 86%, respectively. To assess the efficiency of effluent quality by management, an independent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The BOD and TOC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building usage.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ffluent from ISTFs should be managed according to the building usage. Furthermore, no distinction was observed in contamination components due to blower operation, with the exception of DO. However, the mean value of the NH4 +-N/T-N ratio was found to decrease with DO, indicating that blower operation may potentially reduce the contamination burden of ammonium in groundwater.
Chironomid larvae in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s (DWTPs) and tap water lead to highlights the urgent need for effective control measures. The use of combined disinfectant treatments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to achieve optimal disinfection efficiency while minimizing residual contamin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combined treatment of disinfectants used in DWTPs on the biological control potential of chironomid larvae. In the experiment, Glytotendipes tokunagai larvae reared according to OECD guidelines were exposed to NaOCl, UV, and O3 complex substances, and biological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urvival rate and body color change as key indicators for 24 hours. The survival rate of larvae exposed to combined disinfectants mostly decreased in a time- and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lightening of body color was observed. The most significant decrease (53%) of the survival rate was observed to a combination of UV and 4 ppm NaOCl disinfectants and body color change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01). The change in body color is suggested to be a physiological change caused by oxidation of hemoglobin due to exposure to disinfectant complex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determining the biological impact of combined disinfectant treatment on chironomid larvae of DWTPs, and can be used as data to suggest the biological control potential of disinfectants. In addition, it will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setting standards for combined disinfectant treatment to improve water quality in the future.
식·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은 가공 전처리 시 배변 유도 섭식물로 찹쌀과 비지를 사용하고 있으나 생산비 절감, 영양적 가치 증대, 이취감 저감을 목적으로 가공부산물로 대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유충의 배변유도섭식물로 홍삼박, 구기자박, 흑마늘박, 마늘부산물 등을 활용하여 이에 대한 효과를 구명하고, 전처리 조건을 확립하였다. 이를 위해 섭취 한 후 배변유도, 체중 감소율, 생존율, 지표물질 등을 조사하였다. 가공부산물을 섭식한 유충의 섬유질 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무처리(절식) 9.91% 보다 낮은 섬유질 함량을 보였다. 유 충의 일별 체중 감소율과 생존율을 회귀분석하여 가공부산물 투입에 따른 사육 용기(264×194×192 mm (W×H×D)) 내 적정 마릿수를 추정한 결 과 홍삼박과 흑마늘박 섭식구가 180과 175마리로 다른 처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유충의 살처리 및 동결건조방법에 따른 total ginsenoside, betaine, pyruvate함량은 -20°C 냉동 처리 후 동결건조한 것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냉동 후 동결건조 처리한 홍삼박 섭식구의 total ginsenoside함 량은 다른 처리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가공 전처리 시 배변 유도 섭식물로 홍삼박을 사용하여 냉동 후 동결건조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focus of this study was on the preparation of a clinoptilolite-based adsorbent, utilizing natural zeolite, to adsorb and remove ammonia (NH3) emitted from various environmental facilities, and to evaluate its performance. To create an adsorbent suitable for humid environments, hydrophobicity was introduced through HCl acid treatment. The impact of acid concentration and treatment time was analyzed to optimize the preparation conditions. As a result, the adsorbent treated with 0.5 M HCl for 2 hours demonstrated the highest NH3 adsorption perform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eveloped adsorbent could serve as an effective solution for controlling NH3 emissions in humid environments, contributing to the mitiga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odor issues.
In this study, copper oxide, manganese oxide and zeolite, clays containing catalysts were prepared to remove hydrogen sulfide emitted in odor of industry. In order to change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a catalyst was prepared 100 degrees from 600 degrees to 1,000 degrees. GC-MS was used to confirm the hydrogen sulfide removal performance. Although the removal performance produced at 600 degrees was maintained by and large, the removal performance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In particular, the catalyst manufactured at 900 and 1000 degrees had low removal performance. To find out the cause of the decrease in removal performance, the analytical devices XRD, BET, XRF were used. In order to confirm the properties of the catalyst before and after adsorption, SEM-EDS and CS were us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Mn catalyst, it was confirmed that the material was adsorbed on the surface. To confirm the adsorbent material, SEM-Mapping was employed.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sulfur was adsorbed. Measuring the SEM-EDS 3Point, it was confirmed to be about 25.09%. Another test method CS analyzer (Carbon/Sulfur Detector) was also deployed. As a result of the test, sulfur was confirmed to be about 27.2%. So comparing the two sets of data, it was verified that sulfur was adsorbed on the surface.
이 연구는 직장 여성의 속눈썹 연장 시술 동기 및 이미지 변화 자신감과 시술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의 필요성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 및 지방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직장 여성을 대상으로 2024년 5월 10일부터 2024년 6월 5일까지 최종 286부를 SPSS 25.0 프 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속눈썹 연장 시술 동기의 하위요인별 외모 단점 보완, 이미지 개선은 심리적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속눈썹 연장 시술 동기의 하위요인별 외모 단점 보완, 이미지 개선, 대인 지향은 사회적 효과 성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직장 여성들의 삶의 질 향상에 속눈썹 연장 시술이 전체적인 이미지 변화에 매우 효과적이며 한국 여성들의 추구하는 세련된 이미지 변화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미용산업의 한 분야 로 판단된다. 갈수록 심화 되는 미용산업의 경쟁구도 속에 자리 잡고 있는 속눈썹미용 이 더욱 체계화되고 전문화시킬 수 있는 교육과 전문가 양성, 프랜차이즈 개 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