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2.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naging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grazing ruminant diets could lead to meat and milk products t㏊t have higher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concentrations, but forage fatty acid dynamics must be more fully understood for a range of forages before grazing systems can be specified. The fatty acid profiles of 23 different forages, including grasses, legumes and wild forage plants were determined. Linolenic(C18:3, 41.1~58.6% of fatty acid), linoleic(C18:2, 10.1~27.4% of fatty acid), and palmitic(C16:0, 9.8~18.0% of fatty acid) acids were the most abundant fatty acids in all species, together representing ~96% of the fatty acids present. Concentrations of fatty acids declined as plants developed, but the fraction contribution of each fatty acid to total fatty acids remained relatively stable over time.
        8.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arch gel electrophoresis was used to examine the banding pattern of Esterase isozyme in the leaf, root-nodule and seedling of four wild legume species, Trifolim repense, Glycine soja, Phaseolus nipponensis and Vigna uexillata. The number of band, enzyme
        4,000원
        9.
        201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lemental compositions of selected edible wild plant species, Hemerocallis fulva, Allium victorialis, Syneilesis palmata and Ligularia fischeri. The samples were dried, crushed, and subjected to microwave-assisted digestion. The macro and micro elements were analyz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spectrometery (ICP-OES), and ICP-mass spectrometry (ICP-MS), respectively. The macro elements in the analyzed species decreased in the order K Ca P Mg S Fe Zn Na, and the micro elements ˃ ˃ ˃ ˃ ˃ ˃ ˃ followed the order Mn˃Ba˃Rb˃Cu˃Ni˃Ga˃Li˃Cr˃V˃Co˃Be˃Se. The percentage ratio of calcium content for potassium in the samples was 42.9% (A. victorialis) > 42.4% (S. palmata) > 33.8% (L. fischeri) > 25.3% (H. fulva). The calcium content was 13.7, 10.9, 6.4, and 2.9 times higher than the phosphorus content in S. palmata, L. fischeri, A. victorialis, and H. fulva, respectively (p<0.05). Manganese was the most predominant among the trace minerals, and it followed the order of A. victorialis > H. fulva > L. fischeri > S. palmata. In general, these wild plants are richer in calcium as compared to other common vegetables, and hence can be considered a good source for calcium that is lacking in Korean food products.
        10.
        2014.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전통적으로 방부 또는 살균효과가 있어 떡 등에 첨가되거나 저장 및 포장에 이용되었던 자생식물 15종 21건에 대하여 데하이드로초산(sodium dehydroacetate), 소르빈산(sorbic acid), 안식향산(benzoic acid), 파라옥시안 식향산메틸(meth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eth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prop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이소프로필(isoprop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이소부틸(isobut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butyl p-hydroxybenzoate),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의 함유량을 분석하였다. 솔잎, 망개잎, 대나무잎 등 15종에 대한 천연유래 보존료 함유량을 조사한 결과 솔잎, 대나무잎, 칡잎, 모시잎, 쑥, 잣나무잎 등 6종에서 안식향산, 소르빈산, 프로피온산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안식향산은 대나무잎, 모시잎, 솔잎, 쑥, 칡잎, 잣나무잎에서 8.201~21.839 mg/kg, 소르빈산은 대나무잎과 칡잎에서 5.630~24.995 mg/kg, 프로피온산은 모시잎에서 61.324~62.726 mg/kg이 검출되었다. 조사 식물 중 망개잎, 토란잎, 조릿대, 연잎, 원추리, 구절초, 떡갈나무잎, 산초잎, 감잎 등 9종에서는 천연보존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
        11.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otal phenolics (TP) content, total flavonoids (TF) leve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leaf parts of 15 Vietnamese wild plants. TP content showed the highest amount in methanol extracts from Altenanthera sessilis (409.7±1.4 ppm), and followed by Eclipta prostrata (183.6±3.8 ppm) and Cassia tora (159.3±5.7 ppm). The highest TF level also was found in A. sessilis (156.3±1.7 ppm), followed by E. prostrata, and C. tora, showing similar tendency to TP. Methanol extracts of A. sessilis, E. prostrate and C. tora at 1000 ppm exhibit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y 94.5, 92.6 and 92.7%, respectively. The methanol extracts from A. sessilis showed the highest ABTS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by 97% and 92%, respectively.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r2) was 0.9522 between TP and TF, and followed by 0.8919 between DPPH and ABTS activities. However, polyphenols and antioxidant activities showed low correlation coefficients, ranging from r2=0.4114 to 0.4826. It was concluded that Vietnamese wild plants contain polyphenol compounds with antioxidant activities depending on plant species.
        12.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30여 종의 식물추출물에 대한 항비만 효능을 조사하였다. 항비만 효능은 in vitro oil red-O staining 방법을 이용하여 지방전구세포 3T3-L1에서 분화억제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30여 종의 식물 중에서 약도라지, 호장근, 유근피 등을 포함한 6종의 식물이 지방전구세포 3T3-L1의 분화를 억제하였다.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물질 중 유근피, 약쑥, 호장근, 후박 4종은 우수한 항산화 효능도 동시에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실험에서 확보된 추출물이 항비만 물질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13.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채 자원의 발굴과 산업화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 측면에서 산채 557종류에 대해 2006년 12월까지 발표된 국내 문헌을 중심으로 항균, 항산화, 항암 및 항당료성 산채의 종류와 내용을 조사하였다. 산채를 종류별로 나열 한 다음 항균, 항산화, 항암 및 항당료성 효과와 관련된 문헌을 표기함으로써 산채에 따른 연구 성과와 기능성 효과 파악에 크게 도움이 되었다. 문헌에 항균효과로 있는 것으로 나타난 산채 종류 수는 36종류(6.5%)였으며,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25종류(4.5%)였다. 문헌에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산채 종류 수는 44종류(7.9%)였으며, 항당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47종류(8.4%)였고, 기타 기능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165종류(29.6%)였다.
        14.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고산자연휴양림일대에서 식재종이나 원예종(화훼식물포함)을 제외한 야생식물만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에 따른 휴양림 관리나 생태교육자료 및 식물자원의 보전과 활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조사지역의 야생식물을 조사한 결과, 99과 252속 289종 1아종 34변종 3품종으로 총 327종류(taxa)가 확인되었으며, 목본식물은 총 327종류 중 102종류(31.2%), 초본식물은 225종류(68.8%)로 분석되었다. 또한, 양치식물은 8과 11속 12종류(3.7%)와 나자식물은 3과 3속 3종류(0.9%)가, 피자식물은 88과 238속 312종류(95.4%)가 확인되었다. 이 가운데 단자엽식물은 10과 44속 51종류, 쌍자엽식물은 78과 194속 261종류가 확인되었다. 이중 희귀식물에는 말나리(보존우선순위 159번)와 쥐방울덩굴(151번)만이 확인되었으며, 한국특산식물에는 개비자나무, 지리대사초, 키버들, 병꽃나무가 확인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보전가치가 가장 높은 V등급에서부터 낮은 I등급까지 보전 우선순위를 평가한 것으로 본 조사지역에서 V등급과 IV등급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III등급에 갈퀴아재비와 털괴불나무 2종류, II등급에는 말나리, 돌양지꽃, 층꽃나무, 곰취 4종류, I 등급에는 일월비비추, 물오리나무, 까치밥나무, 거지덩굴, 정금나무 등의 15종류로 분석되어 총21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2과 28속 31종 1변종으로 총 32종류(taxa)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전체 327종류의 관속식물 중 9.8%로 분석되었다. 귀화도별 귀화식물을 살펴보면, 귀화도 5등급에는 오리새, 왕포아풀, 콩다닥냉이, 가죽나무, 애기땅빈대, 달맞이꽃, 돼지풀 등의 18종류, 귀화도 4등급에는 메귀리만이 관찰되었으며, 귀화도 3등급에는 나도닭의덩굴, 미국자리공, 말냉이, 붉은서나물, 지느러미엉겅퀴 등의 9종류, 귀화도 2등급에는 큰조아재비, 자운영, 도꼬마리, 귀화도 1등급에는 봄망초만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입시기별 귀화식물에는 이입1기에 큰조가재비, 메귀리, 나도닭의덩굴, 말냉이, 아까시나무, 달맞이꽃, 도꼬마리, 큰방가지똥 등 24종류, 이입2기에 족제비싸리, 큰개불알풀, 돼지풀 3종류, 이입3기에 미국자리공, 콩다닥냉이, 봄망초, 붉은서나물, 미국가막사리 5종류가 조사되었다. 이중 환경부의 자연환경보전법 제 6조에 의거,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인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은 본 조사지역의 입구와 관찰로 주변에서 확인되었으며, 이 식물은 자생식물 피압 뿐만 아니라 꽃가루 알레르기를 일으켜 인체에 피해를 주고 있는 식물이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5.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채 자원의 발굴과 산업화를 위한 기초 자료의 확보를 위해 2005년 3월 초부터 동년 7월 중순까지 식물도감과 산채관련 문헌에 나타난 식용가능 자생식물과 재래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산채류의 종류 수와 식용부위, 식용여부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자생식물을 대상으로 문헌상 식용이 가능하거나 산채용으로 유통되고 있는 식물을 조사한 결과 71과 547종류였다. 식용 가능 자생식물로 조사된 547종류 중에는 국화과가 127종, 백합과 59종, 산형과 26종, 미나리아재비과 24종, 십자화과 23종, 장미과 21종, 꿀풀과가 20종, 초롱과가 20종, 기타과 순으로 많았다. 산채류를 초본과 목본으로 구분한 결과 90% 이상이 초본으로 나타났다. 식용부위는 어린순과 잎, 엽병 등을 이용하는 것이 475종(86.8%), 뿌리와 잎 등 식물체 전체를 이용하는 것이 38종(7.0%), 뿌리 또는 지하경, 인경 등을 이용하는 것이 23종(4.2%), 꽃 등 기타 부위를 이용하는 것이 11종(2.0%)이었다. 식용 가능 자생식물 547종류 중 식물도감에 식용 가능한 것으로 표기된 것은 521종류, 식물도감에는 없고 산채관련 문헌에만 있는 것은 17종류였으며, 갯개미자리, 방풍, 합다리나무는 식물도감이나 산채관련 문헌에는 없었으나 재래시장에서 유통되고 있었다. 식용 가능한 547종류의 자생식물 중 3종류 이상의 산채 관련 문헌에 나타난 것은 81종류였는데 이중 28종류만이 시장에서 관찰되었고, 29종류는 유통되지 않고 있었다. 경남, 전남 및 전북의 재래시장과 5일장에서 관찰된 산채 종류 수는 70종류로 식용 가능한 식물로 조사된 547종의 12.8%에 해당되었다. 시장에서 관찰된 산채 종류의 과는 국화과(23종, 42.0%), 백합과(8종, 14.6%), 산형과(6종, 11.0%)가 주류를 이루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의 구분 기준에 의하면 식용 가능 자생식물로 구분된 547종류 중 127종은 식용 가능, 22종은 식용이 불가능, 나머지 398종은 불확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17.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appropriate wild herbaceous plants on the rooftop. For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s, 14 wild herbaceous plants were chosen. A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the wild herbaceous plants growing on the culture soil(perlite) Among the 14 kinds of wild herbaceous plants, such as Chrysanthemum boreale, Taraxacum mongolicum, Aster Koraiensis, Aster yomena, Oenothera odorata, Oenothera lamarckiana, Patrinia scabiosaefolia showed good effects on growth of above ground parts. Therefore, these plants will effective for the rooftop revegetation. Callistephus chinensis and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showed good height growth, wherase covering rate was worst. Chrysanthemum boreale, Platycodon grandiflorum, Patrinia scabiosaefolia were plant height, wherase covering rate was not good . For the expected number of seedings more than 3,000 per square meter, many seedings got withered to death while the survivors were suppressed to grow slow in the early stage due to the densityproblem.
        18.
        199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ny plants, which collected from Korea, were applied to antitumor and cytotoxic screeing tests against sarcom 180 a ascitec in mice, V-79 KB and P388 cultured cells. The results are summarixed as follows:1) The total packed cell volum method has been used for the antineoplastic screening for from natural higher plants in Korea. By this method, we have found out that the root, leaf and stem of Tripterygiu, regelii Spragne & Taketa having strong antineoplastic activity and also Rumex Japonicus Houtt. Eragrositis ferru-ginea Beauv. and Patrinia scabio-saefolia Fischer showed significant activity to anticancer tumor while cynanchum wilfordii Hemsley, and Rosa polyantha Sieb. et Zacc. showed slight activity to antitumor. 2) Among the 13 tested plants, the root and stem of Tripterygium regelii Spragne & Taketa and Amethystanthus excisus Nakai showed strong antitumor activity by the V79 cytotoxic cell screening test. 3) Twelve plants, which are glowing in mountainous area of Korea tested to anticancer activity. From the results, Eragrositis ferru-ginea Beauv., Angelica gigas Nakai, Geranium sibiricum L., Patrinia scabio-saefolia Fisher, Cynanchum wilfordii Hemsley, and Rubia akane Nakai have been proved to be anti-cancer plants by using P388 cell cultured method. 4) Tripterygiu, resgelii Spragne & Taketa, Eragrositis ferru-ginea Beauv., Patrinia scabio-saefoli Fisher, Cynanchum wilfordii Hemsley and Rasa polyantha Sieb. et Zacc., var. genuina Thunb. showed strong anti-tumor activity both total packed cell volume method and Cytotoxicity method.
        19.
        199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a screening for the anti-cancer efficacy from the wild plants which are naturally growing in the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s were shown thatZea may L. nad significantly effects on mediculal efficacy anganist anti-tumor by usulg the totalpacked cell volume methods and also, severals plants, such as Sofonum nigrum, Patrinia hispidoBunge, Eragrostis, ferrugenia Beauv, Salaginela pouzolgiana Spring, Platrycarya strobilacea Bunge,Codonopsis lanceolata Benth. et Hook fil. which are collected from Giri and Mooju mountain in Koreaand Nagano in Japan were showed effects on auti-tumor. But the pharmaceologial activities ofPharbitis nil Choisy was believed to strong effec on anti - cancer tumors, while toxicity of its wasshown high that induced te kill all used mice. Extraction of Patrinia hispida Bunge, Pharbitis nilChoisy, Toilis japonica DC, Eragrostis erruginea Beauv. and Forsythia koreana Nakai showed effec-tively supressed on growth rate of cancer tumor by the below 50 percent of T/C ratio at 30mg /mlof extraction from plant. That Is strong activity while Reynouxria japonica Houtt. was observed onlymild activities. The above results many possibly suggest that Patrinia hispido Bunge and Eragrostisferrugina Beauv. inhibited the growth of cancer tumor by the both total packed cell volume methodand cytotoxicity method. Although basic research is still going on, we will find out an accurate moth-od for developing useful medicinal plant to improve pharmacological activites against anti-cancertumor, especialy, in Eragrostis ferruginea Beauv.
        20.
        198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e shoul be high possibility of preventive and immune eficacy aqainst cancer when the anti-cancer plants are properly utilized in human dietary life as it is evident that considerable part of wild plantd or both medicinal use and ood are growing naturally in the mountainous area in korea, some of which have ben proved to be anti-cancer plants. this study, at this initial stage, has been done to acquire the fundamentals of 235 kinds of ante-cancer plants growing naturally in korea. from the results o thisresearch, the anti-cancer plants have been sorted out by amily and its number. and also the status of regional distribution of those plants and the kinds of anti-cancer plants used for both medicine and food were studied and experimented to see the medical efficacy against anti-tumor. this experiments were conduced in accodance with the total packed cell volume method and cyto toxicity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