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

        1.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원도 북부의 남북 접경지 3개소(서부-철원, 영서-양구, 영동-고성)에서 2023년 5월 11일부터 10월 12일까지 주요 천공성 해충 분류군인 나무좀아과를 대상으로 시기별 발생 양상 및 4가지 유인제(Ipsenol, Ipsedienol, Alpha-pinene, Monochamol)별 유인되는 종과 개체수를 조사 하였다. 연구결과, 총 26속 45종 7,743개체를 확인하였다. 확인한 종 중, 15종이 모든 조사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고, 2종(암브로시아나무 좀, 왕녹나무좀)이 모든 조사지에서의 우점종으로 확인되었으며, 4종(오리나무좀, 붉은목나무좀, 여름나무좀, 암브로시아나무좀)이 조사기간(5 월~10월) 중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역적으로는 가장 다양한 식물종들로 혼합림을 구성하고 있는 양구지역에서 총 36종 2,840개체가 확인되어 다른 두 조사지에서보다 다양하고 많은 개체가 확인되었다. 각 조사지에서 유인제별 확인한 종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으며 개체수면에서 철원에서는 Monochamol, 양구에서는 Ipsedienol, 고성에서는 Ipsenol 유인제에서 가장 많은 개체가 확인되었다.
        4,300원
        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ruit Flies (Diptera: Tephritidae) are polyphagous, highly invasive pests in which female adults lay eggs under the skin of fruit and larvae damage the fruit. Among them, the Oriental Fruit Fly, Bactrocera dorsalis (Hendel) was first reported in Taiwan and is distributed throughout much of Southeast Asia, including Vietnam, as well as on the African continent and in the Pacific region. In order to prevent the introduction of pests into country, the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has designated them as prohibited pests and is conducting surveillance and investigation on their occurrence. The experimental countries were Taiwan and Vietnam,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number of B. dorsalis caught by setting up traps for about 8 months. Methly eugenol (ME; 4-allyl-1,2-dimethoxy-benzene) is a widely distributed natural plant and is used because it strongly attracts males of B. dorsalis. The experiments aimed to verify the effect of attractant formulations (liquid, solid, wax) and traps (Delta trap, Lynfield trap, Steiner trap) on B. dorsalis.
        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misia tabaci is a polyphagous pest that transmits various viruses, including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 while feeding on crops. Prior to identifying attractants of B. tabaci, the pheromone biosynthesis activating neuropeptide (PBAN) sequence was obtained via transcriptome analysis of female adults. After injecting artificially synthesized PBAN into the female adults, the compounds contained in the female adults were extracted using hexane,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was performed. As a result, 22 compounds showed quantitative differences after PBAN injection. Among them, it was confirmed that B. tabaci is attracted to 2-ethylhexanoic acid and phyt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2-ethylhexanoic acid and phytol can be used as attractants for the control of B. tabaci.
        5.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각기 다른 화합물들을 성유인제로 이용하는 3종 과수해충인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복숭아심식나방(Carposina sasakii), 복숭아명나방(Conogethes punctiferalis)을 대상으로 단일 성페로몬 미끼 방출제에 2종 혹은 3종의 성페로몬 미끼를 섞어 복숭아원과 사과원에서 유인력을 검정하였다. 복숭아원에서 실시된 복숭아순나방 유인에서 복숭아심식나방이 섞인 혼합미끼 트랩에서 유인력이 감소하였으나, 혼합미끼를 이용한 복숭아원에서의 성충밀도 변이는 단일미끼 트랩과 높은 상관성 보였다. 사과원에서는 복숭아순나방에 대한 혼합미끼의 유인력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복숭아심식나방 유인은 복숭아원과 사과원 모두에서 혼합미끼의 유인력은 단독미끼의 유인력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복숭아원에서 단독미끼와 혼합미끼 사이의 성충 밀도 변이 양상도 상관성이 높았다. 복숭아명나방 유인에서는 포획수가 너무 적어 평가가 불가능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 혼합미끼는 예찰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4,000원
        7.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ttractant mixture on capture efficacy on Platypus koryoensis, an insect vector of oak wilt disease in Korea. We compared three treatments, such as Citral:EtOH(5:95), EtOH, and no attractant. In order to compare the attractants, Lindgren multi-funnel traps were installed in three oak forests in the Incheon Grand Park. A total of 18 traps was installed, and traps were replaced biweekly. A total of 236, 85, and 25 individuals were collected in Citral:EtOH, EtOH, and control, respectively. Although a mixture of Citral:EtOH seems more effective in attracting P. koryoensis, number of individuals of P. koryoensis caught by attractants was different according to study sites.
        8.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후각 신경 시스템은 일반 생활 환경에서 많은 다양한 화학 물질을 인식하고 구별한다. 곤충에서는 다양한 화학 물질을 기호적 또는 회피적인 특이성을 부여하고 이를 구분해 낼 수 있는 고도로 발달된 후각신경 수용체들로 구성된 냄새 맡는 (odorant-gated) 이온 채널 군을 진화시켰다. 최근에 후각 수용체와 단백질을 포함한 olfaction 관련한 진딧물 게놈 밝혀졌고, 초파리에서 다양하게 분화되어 있는 후각 수용체들이 보고되고 있다. 후각 신경 수용체의 유전체는 매우 높은 보전적인 염기 서열을 가지고 있으며, 체계적인 신호 전달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대표적 수용체인 odorant-gated ion channels comprised of a highly conserved co-receptor (Orco)는 중심 구멍 주위에 대칭 적으로 배열된 4 개의 서브 유닛을 갖는 homotetramer 채널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는 인체 내에 존재하는 7-transmembrane receptor와 매우 유사한 구조를 형성하고 있고, 신경전달물질의 수용체와 매우 유사한 구조적 형태 및 gating mechanism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파리에서 분리한 후각 신경 수용체 하위 유형인 OR65 유전자 분리하여 세포 발현 시켜 Xenopus oocyte를 이용하여 Whole cell voltage clamp recording을 실시하였다. 본 수용체의 성공적인 발현 이후 유해 해충 유인제 개발 회사인 마이크로자임의 미생물 배양 추출물을 이용해서 후각 신경 수용체 활성 조절 여부를 연구하였다. 미생물 배양 추출물을 10,000배 희석한 recording media에서 수용체의 활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농도 의존성 수용체 활성 작용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곤충의 후각 신경 수용체 활성 조절 시스템을 이용하여 유인물질 또는 기피 물질을 발굴할 수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서 MZ01은 곤충 수용체 OR65를 활성 시킴으로써 유인 현상을 나타내며, 본 연구를 통해서 현장에서 검증된 미생물 배양 추출물의 성능을 과학적 분석으로 결과를 제시하였다.
        9.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갈색날개매미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성충이 선호하는 향을 첨가한 황색끈끈이트랩으로 감과 아로니아 과수원에서 성충 포획시험을 2년 동안 수행하였다. ㈜마이크로자임에서 제공한 갈색날개매미충 유인물질은 Methyl salicylate, Phenylethyl alcolol 등으로 조성되었는데 실내시험 결과 93.3%의 유인력을 보였다. 유인물질 도말 황색끈끈이 트랩을 밤과 감 과수원에 설치하여 10일 후 유인충수를 조사한 결과 황색끈끈이트랩 대비 유인물질 도말 황색끈끈이트 랩이 2~3배 많이 포획되었다. 2017년에는 높이 180cm이며 가로 40cm, 세로 25cm 의 갈색날개매미충 포획용 끈끈이트랩 6장을 지지할 수 있는 트랩 거치대를 제작하여 발생밀도가 높은 전남 구례의 감 과수원과 광주 아로니아 과수원에 설치하여 10일 간격으로 트랩을 교체하며 성충 포획량을 조사하였다. 성충은 8월 중하순에 가장 많이 포획되었으며 기온이 낮아지는 10월에는 포획량이 급격히 줄어들었다. 트랩당 총 포획량이 감 과수원은 12,674마리, 아로니아 과수원은 9,251마리였다. 갈색날개매미충 방제에 유인물질 도말트랩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10.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벗초파리는 우리나라에서는 심각한 해충으로 인식되지 않아 발생 기간 및 패턴, 기주 범위 등의 생태적인 연구뿐만 아니라 모니터링을 위한 우수 유인제 및 트랩의 연구도 제한적으로 수행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 결과를 참조하여 사과식초 함유 유인제 2종과 화학적 루어 2종 그리고 트랩 2종에 대한 선발 시험을 수행하였다. 선발 시험은 사육중인 벗초파리를 이용한 choice test와 함께 수목원, 딸기 농장, 블루베리 농장에서의 6반복 유인력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인력 비교 결과 ACV + wine의 포획량이 높았으며, 블루베리 농장 인근 결과값은 전체 조사 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P < 0.05). 트랩 선발 실험 결과 모든 실험 장소에서 Dreves 트랩이 높은 포획량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ACV + wine과 Dreves 트랩 조합을 선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 월동 발생 조사 등의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1.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eed for an efficient sampling technique to collect aquatic organisms has risen with the increase of interest in rice paddy fields, which have been recognized as important ecosystems supporting biodiversity. In the present study, a submerged funnel trap used with the assistance of attracting agents (fish meal and chemical light) was designed as an easy, objective and quantitative tool for collecting aquatic organisms in the rice paddy fields. The preference for collecting aquatic organisms as a means for attracting agents was analyzed using a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Also, based on the data of previous research, we compared the community composition of the aquatic macroinvertebrates, which were collected using the quadrat method, and newly designed submerged funnel traps, by analyzing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atching efficiency of 18 of the total 65 taxa was affected by the attracting agents. 12 taxa including Pomacea canaliculata, Hippeutis cantori, Austropeplea ollula, Erpobdella lineata, Ostracoda spp. Branchinella kugenumaensis, Hydaticus grammicus, Rhantus pulverosus, Chironomidae spp., Rana nigromaculata, Cobitidae spp. etc., favored fish meal and 6 taxa including Ischnura asiatica, Coenagrionidae spp. Sternolophus rufipes etc., were attracted by chemical light. The submerged funnel trap used as a measurement tool for biodiversity was less applicable than the quadrat method; however, it was more effective for the selective collection of specific taxa. We expect that this newly designed trap can be a simple and quantitative method for collecting aquatic organisms, and could be used for long term and extensive surveys in rice paddy fields in the future.
        4,000원
        12.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rankliniella intonsa (Trybom) (Thysanoptera: Thripididae) is an important pest of field and greenhouse crops such as pepper and strawberry. Chemical attractants are commonly used for monitoring thrips, but few are available for F. intonsa. Thus, we evaluated three attractants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known from literatures for their attraction of F. intonsa in Y-tube olfactometer. Fed unmated adult females of F. intonsa showed higher initial response to (S)-(−)-verbenone than other attractants, i.e. aggregation pheromone of F. occidentalis and methyl isonicotinate. Unfed mated adult females of F. intonsa showed similar initial respon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verbenone also can be used for monitoring and further in behavioral control tactics of F. intonsa.
        13.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색, 적색(680±20nm), 황색(600 ± 20 nm), 녹색(525 ± 25 nm),청색(400 ± 10 nm), 흑색(365 ± 10 nm) 및 변환(다양한 파장)램프를 가지는 솔라트랩을 잡곡 및 두류포장에서 설치하여 나비목, 노린재목 및 딱정벌레목의 주요 해충에 대한 유인효과를 잡곡 및 두류포장에 설치하여 10일 간격으로 조사하여 평가하였다. 채집된 충수는 조사시기와 램프의 색깔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조사시기와 램프의 색깔의 상호작용 효과도 있었다. 암청색램프에서 매미충류를 제외하고 가장 많은해충이 유인되었다. 따라서 암청색램프는 해충의 대량포획뿐만아니라 예찰을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솔라트랩의 암청색램프와 페로몬의 조합은 잡곡 및 두류 해충의 포획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어 종합관리를 위한 유망한 수단으로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4,000원
        1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abinidae(horseflies), which are known worldwide as important mechanical vectors of virus, bacteria, protozoans, and helminths, cause disease in humans and animal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reports of horseflies associated with horse farms in Korea are rare, and knowledge of the horsefly fauna in Jeju is poo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cidence of horseflies at a horse farm. Flies were collected using traps baited with natural attractants at a large horse farm during summer (Aug.-Sep. 2011). A total of 28,339 flies from 21 traps were collected on the large horse farm in Jeju. The most abundant were non-sucking flies (25,524; 90.07%) followed by sucking flies (2,226; 7.86%) and Tabanidae (589; 2.07%). Result of species analysis of 4 Tabanidae, ranked in descending order, are as follows: T. grisenus (45.2%), T. rufidens (25.3%), T. takasagoensis (21.6%), and Hybomitra bimaculata (7.9%). Although studies on vector ecology are essential to understanding, predicting, and controlling insect-borne diseases, relatively few studies on tabanids in Jeju have been reported. This paper presents the first comprehensive collection of data on the horse fly fauna of this part of the horse concentrated reg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pathogens on the horse of horseflies.
        3,000원
        15.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response evaluation of high power light emitting diodes (HPLEDs) as potential attractants to the Spodoptera exigua adults, we investigated the attractiveness of specific wavelength, illuminance intensity and light-exposure time, and compared them to the fluorescent. The all light treatments with the 40 lux intensity attracted the significantly highest number of S. exigua. The optimal light-exposure time exhibited the highest attraction rate at the 60 min. When the attraction and repellent rate in the optimal conditions to the S. exigua was surveyed, the white HPLED exhibited the highest attraction rate (91.1%), whereas the red HPLED exhibited the most repellent rate (33.3%). When evatuated of illuminance efficiency with fluorescent as control, white and red HPLED were found to be 9.14 and 10.34 times more efficient than fluorescent. These data clearly show that both the 40 lux intensity and the 60 min light-exposure time by using the white HPLED was the most suitable for attraction of the S. exigua.
        16.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ecently, Ussur brown katydid outbreaks caused a serious pest problem in areas of Yeongdong, Chungbuk.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trol the pest with environment-friendly method. Trap was made of PET plastic bottles that easily found near farmhouse. Attractant materials such as oak (Quercus acutissima) leaf, fruits (peach, apple, grapefruit and pear) sarcocarp or its juices, rice wine (makgeolli) and fish meal were directly applied into the manufactured trap and investigated for the attraction efficacy compared with the funnel trap. During one day, manufactured trap (fish trap) attracted the Ussur brown katydid more than funnel trap. The efficacy of attractant materials were as follows: peach juice (32.7 adults)> rice wine+fish meal (31.3 adults) > rice wine (27.0 adults) > pear juice (19.0 adults) > apple juice (17.2 adults) > fish meal (16.7 adults) > grapefruit juice (14.4 adults) > oak leaf (2.3 adults). The attractive efficacy of fruit juices to ussur brown katydid was more than fruit carcocarps, and the trap hangover 1m in height more than that on ground. The composition of rice wine and fish meal prolonged its efficacy when treated with disinfectant.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