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

        2.
        2023.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taverse blends the physical and virtual worlds, transforming the customer's shopping experienc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mechanism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verse experience and consumer happiness. To identify metaverse experiences, both behavioral an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studies were conducted. In a behavioral study, we found that consumers' happiness increased when participants were in an immersive metaverse space. In the fMRI study, we found greater activation in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MPFC) and lateral occipital cortex (LOC) regions in the high level of the immersive metaverse and foun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nsumers' happiness. This paper is the first attempt in marketing to provide an integrative brain map for the metaverse experience. This brain map helps marketers better understand the consumer experience. This study suggests that only in the immersive metaverse space where virtual and physical experiences interact can consumers become one with the virtual space and maximize customer experience values.
        3,000원
        3.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신생아 검사 중 포수클로랄(chloral hydrate)을 투여 후 진행되는 신생아 진정 검사 대비 진정 대체 방식 중 하나인 피드 및 랩(feed and wrap) 방식의 유용성을 평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선 진정으로 진행한 신생아의 두뇌 T2 축면 영상과 피드 및 랩 방식으로 진행한 같은 영상 각 30개의 운동 허상(motion artifact)과 백질과 회백질의 구분 정도를 두 명의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정성적으로 평가하였고, 운동 허상을 측정하기 위해서 위상부호화(phase encoding) 방향의 배경 영역(background area)의 평균 신호 강도(mean signal intensity)를 구하여서 정량적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총검사 시간을 정리한 뒤 정량적 방식으로 평가하였고 투약 기록의 여부와 간호일지를 토대로 피드 및 랩 방식의 총 39건의 검사 건수 대비 성공률을 측정하였다. 운동 허상의 정량적 평가와 영상 품질의 정성적 평가 모두에서 두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검사 시간의 정량적 평가에선 p값이 0.001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피드 및 랩 방식의 총검사 건수 대비 성공률은 100%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선 피드 및 랩 방식과 진정 방식의 영상 품질이 유의한 차이가 없고 성공률이 높기에 유용하다고 판단하였으나, 검사 시간이 더 지연되는 한계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4,000원
        4.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은 초급성기 뇌경색 진단과 뇌종양 진단 및 치료에 매우 유용하지만 뇌줄기 주변에 자화 감수성 인공물이 자주 발생하고 있어 이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확산강조영상은 에코평면영상(echo planar image)을 사용하고 서로 다른 자화 감수성을 가진 구조물들이 인접한 경계면에서 영상의 왜곡을 나타낸다. SENSE(sensitivity encoding) 기법은 자화 감수성 인공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뇌 줄기의 해부구조를 모방한 팬텀을 만들어서 확산 강조영상 시 자화 감수성 인공물을 감소시키는 최적의 SENSE 인자(factor)를 알아보았다. 산출된 최적의 SENSE 인자와 현재 임상 값으로 만든 영상을 비교 분석하고,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여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팬텀 실험 결과 SENSE 인자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자화 감수성 인공물은 감소하였다. SENSE 인자 2.5, 3.0, 3.5, 4.0을 적용한 영상은 기준 영상 과 같은 크기의 왜곡이 발생하였다. 산출된 SENSE 인자 2.5의 실험군과 1.5을 적용한 대조군 각각 40명의 영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SENSE 인자 1.5를 적용한 대조군은 SENSE 인자 2.5를 적용한 실험군에 비해서 자화 감수성 인공물이 더 크게 발생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뇌 확산강조영상 획득 시 SENSE 인자 2.5를 적용한다 면 진단적으로 더욱 가치가 있는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5,200원
        5.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컴퓨터 성능의 발전으로 빅데이터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해지면서, 심층 학습(deep learning)은 다양한 의료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핵심적인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본 종설은 뇌종양 진단과 치료에 사용되는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의 심층 학습 기법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먼저 국내 AI의 의료 분야 도입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MRI를 활용한 뇌종양의 진단과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심층 학습 기법과 그 결과들을 기술하였다. 뇌종양 진단과 치료 시, 심층 학습을 이용한 최근 사례는 영상 분류, 영상 품질 개선, 영상 분할로 나타났으며,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높은 성능 수치를 나타내면서 그 유용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종합하자면, 심층 학습은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이며, AI 역량을 지닌 의료진의 지도하에 점진적인 도입이 이뤄진다면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큰 도움을 주는 훌륭한 소프트웨어로 활용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종설이 심층 학습을 이해할 때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 향후 관련 연구를 수행할 때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것을 기대 한다.
        4,800원
        6.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기공명영상은 고해상도의 연부조직에 대한 영상정보를 제공하며, 뇌종양 등 연부조직 진단에 활용된다. 본 연구는 합성곱신경망 인공지능을 통해 뇌종양 자기공명영상 분류성능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4개 종류로 구분된 3264 장의 MRI 데이터 세트(data set)를 이용하였으며, 인공지능 학습을 위해 훈련용 데이터와 시험용 데이터를 9 : 1, 훈련용 데이터의 10%를 검증용 데이터로 구분하였다. 합성곱신경망은 기본 CNN과 VGG16으로 구성하였으며, 학습 평가는 정확도와 손실율로 확인하였으며, 생성된 모델을 통해 분류성능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과적합은 없었으며, 분류성능은 기본 CNN과 VGG16 각각 67%와 80%의 분류성능을 보였다. 도출된 뇌종양 자기공명영상 분류 결과를 통해 자기공명영상과 인공지능 접목에 관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7.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RI는 연부조직에 대한 고해상도의 영상을 제공하며 진단적 가치가 매우 높은 영상 검사이며,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딥러닝 기술을 통해 컴퓨터 보조 진단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딥러닝 기반 YOLOv3를 이용하여 뇌종양 분류 성능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253장의 오픈 MRI 영상을 이용하여 딥러닝 학습을 진행하고 학습 평가지표는 평균손실(average loss)와 region 82와 region 94를 사용하였으며, 뇌종양 분류 모델 검증을 위해 학습에 사용되지 않은 영상을 이용하여 검출 성능을 평가하였다. 평균손실은 2248 epochs 시 0.1107, region 82와 region 94의 24079 반복학습 시 average IoU, class, .5R, .75R은 각각 0.89와 0.81, 1.00과 1.00, 1.00과 1.00, 1.00과 1.00의 결과값을 도출하였다. 뇌종양 분류 모델 검증 결과 정상 뇌와 뇌종양 각각 95.00%, 75.36%의 정확도로 분류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MRI 영상을 활용한 딥러닝 연구 및 임상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8.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고자장 MRI가 보급화 되면서 자장의 불균일(field inhomogeneity)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Echo Planner Image(EPI) 기법을 이용한 영상에서 균일화 과정을 통해 영상을 개선할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EPI기법을 이용한 뇌 확산강조 영상 검사시, prefrontal lobe과 temporal lobe의 경우 공기와 조직 간의 경계에 있는 부위로, 자화율 차이에 따라 왜곡된 영상이 획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T2WI와 DWI를 이용하여 파라핀 적용 전·후에 따른 자장의 불균일 보정과 영상 개선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2015년 9월부터 10월까지 참여한 정상인 10명(평균 29.6±3.84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3.0T MR system(Discovery 750 scanner, GE Medical System, USA)와 16-channel head 코일을 이용하여 T2 강조영상(T2WI)과 확산강조영상(DWI)을 먼저 획득하였다. T2WI는 DWI와 비교하기 위한 기준 영상으로 사용되었다. 그런 다음 공기와 조직 간의 경계에 위치하는 전두엽과 측두엽에서 자화율 차이에 따른 자장의 불균일을 보정하기 위하여 인체 조직밀도와 유사한 파라핀을 head 코일과 검사자 머리에 부착하여 DWI를 얻었다. T2WI는 TR/TE= 6594/96msec를 사용하여 축상면 방향으로 영상을 획득하였다. 이때 사용된 FOV는 230×230, matrix 320×320, 2 NEX, ST 4mm로 하였고, 총 영상획득 시간은 165초였다. DWI의 영상변수로는 b-value= 1000, 0s/mm², TR/TE= 8000/62msec, FOV= 230×230, matrix= 160×160, 4 NEX, ST= 4mm로 하였으며, 이때 총 영상획득 시간은 101초였다. Image J를 이용하여 T2 강조영상(T2WI)과 확산강조영상(DWI)의 면적을 측정하였으며, prefrontal lobe 주변의 background 표준편차와 백질의 신호강도를 비교하여 SNR을 분석하였다. 결 과 : 기준 영상인 T2WI, 파라핀 적용 전 DWI(b-value 1000), 그리고 파라핀 적용 후 DWI(b-value 1000)의 평균 면적은 각각 39,843.20±1608, 35,346.70±1978 그리고 37,862.60±1852 이었다. 파라핀 적용 전 DWI(b-value 0)와 파라핀 적용 후 DWI(b-value 0)의 평균 면적은 각각 35,541.60±1981, 38,061.60±1853 이었다. T2WI와 비교하여 개인별 면적의 오차는 적용 전보다 모두 감소하였으며, 파라핀 적용 전·후 DWI SNR 평균은 b-value 1000 45.69±21.96에서 80.42±39.31 bvalue 0 89.85±45.72에서 149.90±73.41 이었다. 파라핀 적용 후 DWI의 SNR이 파라핀 적용 전에 비해 약 1.6배에서 최대 1.8배 정도 증가하였다. 결 론 : 파라핀을 적용한 확산강조영상(DWI)은 적용 전에 비해 SNR이 증가하였으며 신호소실과 왜곡이 감소되었다. 이로 인해 T2WI 비교하여 면적의 오차가 상당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자체 제작한 보정 물질(파라핀)은 불균일한 자장 요소를 일정 이상 보완할 수 있으며, 저비용과 더불어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고 효율적으로 영상 신호소실과 왜곡을 개선하여 영상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4,000원
        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의료영상평가의 특성상 전문가의 정성적인 평가에 의존함에 따른 비용과 시간의 제약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MR 확산 텐서 영상에 Compressed sensing 기법을 적용하여 복원한 영상과 원본 영상과의 정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fiber tract을 수치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정량적 평가 방법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4년 3월부터 5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환자 중 평균 나이 53.8 ± 15세(남성 3명, 여성 2명)의 뇌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들에 대해 3.0T MRI(Archiva, Phi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s)를 사용하여 뇌 MR 확산 텐서 영상을 얻었다. 획득한 원본 확산 텐서 영상들은 Compressed Sensing기법을 이용하여 under-sampling 후 영상복원의 정도(reduction factor)를 달리하여 재구성하였다. 각 신경 섬유 다발 영상들의 Fiber statics를 분석하여 신경 섬유의 총 개수, 한 단위 복셀 당 신경 섬유의 개수, 확산 텐서 영상에서 비등방성을 나타내는 고유의 값인 FA, RA, VR값과 평균 확산 계수(Mean Diffusivity), Radial Diffusivity, Eigen Value, Tensor Trace로 총 9개의 변수 값을 구하였다. 정성적 분석은 영상의학과 판독의 1명, 5년 이상 MRI 근무 경력이 있는 방사선사 4명에게 원본 영상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복원 영상이 진단적 가치가 있는지를 매우 양호하지 않다(1), 양호하지 않다(2), 보통(3), 양호하다(4), 매우 양호하다(5)의 항목으로 나누어 각각의 영상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하였다. 정성적 분석 결과와 변수들의 값을 회귀 분석을 통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식을 도출하였다. 결 과 : 25개의 training/test dataset에 대한 각 변수에 대한 가중치들을 회기 분석하여 구한 값을 통해 구한 test dataset의 정량적 분석과 전문가 집단의 정성적 분석과의 오차는 평균 19%를 보였으며 이 가중치 값들을 바탕으로 뇌 MR 확산 텐서 영상의 고속화에 다른 정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의 식을 얻을 수 있었으며 평균 11%의 오차율을 보였다. 또한 sample data 수를 증가하여 결과를 예측해 보기 위하여 붓스트랩을 적용하여 15개의 복원된 뇌신경 섬유 영상의 원본과의 차이를 나타낸 변수 값들의 데이터를 training set으로 정하여 410개의 sample data를 바탕으로 구해진 가중치들의 값을 통해 얻은 식은 평균 7%의 오차율을 보였다. 결 론 : 전문가들의 정성적 평가에서 5명 모두 동일한 의견을 나타냈을 때는 8%에 지나지 않았으며 각 영상의 정성적 평가 평균값과 다른 의견을 보인 전문가들의 오차율은 평균 36%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11%와 7% 오차율은 전문가들 중에서 이견을 보일 수 있는 오차율 보다 작아 허용 가능한 범위에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 두 식은 정확도를 평가하는 데 있어 정성적 평가방법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량적 평가의 정확도를 좀 더 높이기 위해서는 오차를 줄이기 위해 더 많은 training/test dataset의 실험을 추가하여 개선해 나아가면 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10.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신생아 혹은 미숙아의 뇌 MRI 검사 시 임상에서는 성인과 동일한 protocol을 사용하여 검사하고 있다. 하지만 신생아의 뇌는 성인과 달리 수초화가 완성되지 않아 물의 함량은 많고 단백질과 지질의 함량은 적어 각 조직의 T1 값이 성인보다 길다. 따라서 신생아의 뇌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T1 강조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기존에 적용되는 성인 TR: 450ms와 다른 적절한 TR 값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 뇌 MRI 검사 시 진단가치 높은 T1 강조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최적의 TR 값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생후 3개월 미만의 신생아 혹은 미숙아 총 10명(남6명, 여4명)을 대상으로 2014년 10월부터 2015년 1월까지 검사를 진행하였다. 장비는 1.5T Avanto (SIEMENS, Germany), MR Diagnostics Incubator System과 신생아 전용 Head coil인 LMT coil을 사용하였다. 대상 신생아에서 모든 parameters는 동일하게 하고, 조직 간의 T1 회복시간 차이에 큰 영향을 미치는 TR 값만을 450, 900, 1200, 1500 으로 달리하여 각각의 영상들을 얻었다. 영상분석방법은 정성적 분석과 정량적 분석으로 하였다. 정성적 분석을 위해 영상의학과 소아판독 전문의 2명과 방사선사 3명이 촬영한 영상에 대해 백질(white matter)과 회백질(gray matter)의 구별정도, 병변의 식별정도, Artifact, 전체적인 image quality에 관해 5 point scale (0=very poor, 1=poor, 2=fair, 3=good, 4=excellent)로 평가하였으며, 정량적 분석으로 신생아의 백질과 회백질 그리고 background의 신호강도(Signal intensity: SI)를 측정하여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와 대조도 대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 CNR)를 계산해 비교분석 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위해서 SPSS 22.0(SPSS Incorporated,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 과 : 본 실험에서 450, 900, 1200, 1500 TR 값으로 얻어진 영상들의 결과이다. 각 TR에 따른 백질과 회백질의 평균 SNR은 12.81/15.06, 23.58/27.39, 28.16/32.32, 35.52/40.26 이다. 각 영상들의 백질과 회백질 평균 CNR은 0.225, 0.371, 0.391, 0.454 이다. 정성적 분석으로 각 영상들의 평균값은 1.4±0.66, 2.56±0.49, 2.88±0.55, 3.46±0.49 이다. 통계분석은 Kruskal-Wallis 검정과 Mann-Whitney의 U 검정을 이용한 사후검정에서 근사유의확률 0.000~0.005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일반적인 검사방법인 성인 protocol의 TR 값을 신생아 뇌 MRI 촬영 시 적용하여 T1 강조영상을 얻을 경우, 신호 대 잡음비(SNR)와 대조도 대 잡음비(CNR)가 감소해 해부학적 분별력과 병변의 식별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신생아 뇌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존의 TR 값보다 2배 이상의 값을 선택하여 영상을 얻는다면 기존보다 향상된 SNR과 CNR을 가진 영상으로 신생아의 뇌 질환을 진단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1.
        2015.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ecause the lens is a tissue with the highest sensitivity, the lens shielding is very important in CT imaging. However, in clinical terms, there is a lack in the efforts in decreasing dosage on the lens, and the shielding of dosage and the effects on the imaging are researched using bismuth to evaluate the usefulness. As results of the dosage evaluation results, when there is no gantry angle when the thickness of the lens shielding material is 0mm, the dosage was 28.476mGy, and when there is gantry angle, the dosage was 20.852mGy that it was confirmed that the dosage was 27% lesser with gantry angle. It was confirmed that the dosage value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ickness of lens shielding material when there is gantry angle, and when the lens shielding material was 1mm, the dosage decreased by approximately 39% compared to when it was 0mm. When there is gantry angle, the dosage values were respectively 12.788mGy and 12.776mGy for the crystalline lens shielding material thicknesses of 0.75mm and 1.0mm. In image analysis, the quantitative evaluation and the qualitative evaluation were almost constant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lens shielding material. The optimal lens shielding material thickness to minimize the does of lens and increase the value of diagnosis in Brain CT examination is 0.75mm. Therefore, if this is utilized for easier use in clinical practices, it is considered to be able to contribute to not only the protection of the lens but the accurate diagnosis of diseases.
        4,000원
        12.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derstanding the buyer decision processes has been one of the core subjects for marketing researchers. Decision-making has been referred as a psychological construct, which could be inferred from the behavior as a commitment to an action. The main scope of this project has been centered at a blended approach between economic and psychological models of decision-making with giving more credit to the possibl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counterparts of the buying process.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especially in the last decade have paved a valuable path for various research tools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classical models of marketing. The contribution of neuroscientific knowledge and methods has provided a considerable insight for the question what is happening inside the brain. Since neuroscience has targeted at investigating the human brain with respect 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 applied form of neuroscience, neuromarketing, has been useful for the marketing research in general and for modeling the buying processes in specific. Thepresent empirical study could be accepted as one of these initial steps and possible contributions in testing the role of neuroscientific methods in buyers’ decision processes and providing a useful insight in interpreting the prefrontal brain dynamics during their possible buying decisions. Buying decisions have been claimed to be “malleable” (Schwartz, 2004) associated with the available information beneath instead of having well-defined preferences (Bettman, Luce, & Payne 1998).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excessive prices have an impact on increasing the insular activity and decreasing the activity in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which have been shown to be active during monetary decision-making processes (Knutson et al., 2007). It has also been argued that affect factors and unfair prices have a direct interrelationship (Xia, Monroe, & Cox, 2004). These findings have been in line with the somatic markers hypothesis by Bechara and Damasio (2005) who argue that our brains predict the possible outcomes in a setting depending on our interoceptive emotional signals prior to decision-making. These emotional signals have been considered to have direct guidance during decision-making processes like purchasing. Reward processingmagnitude and valence have been associated with economic transactions by using event-related potentials (Yeung&Sanfey, 2004). Prefrontal cortex has been found to be a critical region that is observed to be active during various cognitive processes including decision-making, executive functions and reason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could generally be divided into two main segments: (1) cognitive and (2) emotional counterparts and prefrontal regions could simply be correlated with the cognitive aspects rather than the emotional side which is mostly considered to be driven by the subcortical regions. The neuroscientific studies in the literature shed light into this dissociation with various empirical findings such that nucleus accumbens activation correlates with reward anticipation, and medial prefrontal cortex (MPFC) activation correlates with gain outcomes (Knutson et al., 2001). Option valuation, probability estimation, reward and cost anticipation and strategy formation have been some of the decision processes that are considered to be executed by the prefrontal cortex. Medial prefrontal cortex has been shown to have a direct role in the calculation of values (or valuation) of options like the statement of the preferences with the presented product and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activation in medial PFC has been in correlation with the subjective product preferences (Paulus & Frank, 2003). The preference judgments between healthy and unhealthy food items have also been shown to activate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during the valuation of the options (Hare et al., 2011). This valuation of options have been shown to be not restricted to product valuation but rather it is possible to speak of a general valuation system that is also effective in valuation of the monetary rewards (Bastenet al., 2010).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fNIRS) method has been utilized to investigate various cognitive faculties. Izzetoglu et al. (2007) used fNIR in a series of experiments to study brain activations during several types of tasks that measure cognitive output. They used a videogame-like task called the Warship Commander Task in which the participants tried to manage varying numbers of airplanes and the amount of cognitive load of the participants was quantified by fNIR. In other experiments, n-back task was used to investigate working memory load on the prefrontal cortex and anagram problems of varying difficulty were used to measure brain activations correlated to problem solving efforts. fNIR was also used in a visual oddball paradigm to assess attention levels of the participants. Across this series of studies, fNIR was shown to be a reliable method for quantification of prefrontal cortex activations. The change in the blood flow has already been shown to illustrate the activation level. Kumagai (2012) investigated personal product preference in fNIR study. Subjects were asked which one of the two products presented they would prefer and then were shown the same products consecutively before making a final decision. Researchers were able to classify product preferences by analyzing blood flow changesvia fNIR.A similar study was conducted by Luu and Chau (2009) to detect product preference via fNIR in a single-trial task. Subjects evaluated two possible products to state their preference and a single-trial task was adequate to analyze fNIR signal for preference detection. We have aimed to observe the neural correlates of buying versus non-buying decisions by using optic neuroimaging method, functional near infrared spectroscopy (fNIR).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no study has directly investigated the fNIR correlates of buying versus non-buying. We have mostly adapted the experimental design of Knutson et al. (2007) that could be accepted as a realistic model for an idealized case of a possible buying decision by which the participants see a product image, then its price (under the product image) and finally the decision screen by which the participant has to respond positively or negatively to the buying decision. There have been four main hypotheses for this empirical study. Firstly, the preferences and buying decisions of the participantsduring the experiment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consumption rates in their lives.The participants in both experiments are likely to choose the products, which they declare in the subjective reports. Secondly, the reaction times of the purchasing versus not purchasing decisions differ depending on the final decisions of the participants.Thirdly, the preference versus non-preference decisions of the participants causes different brain activation patterns via fNIR. Fourthly, the buying versus non-buying decisions of the participants causes different brain activation patterns via fNIR. The buying decisions would elicit more activation in the prefrontal regions due to the possible involvement of monetary-centered decisions as well as the contribution of working memory in these higher-order processes. This empirical project consists of two experiments. First one has been done without a real purchasing outcome –the participants were choosing to buy the products or not but they were not given the product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Whereas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participants had the chance to buy the products they selected to buy. 78 products were used in the task and the total duration of the experiment was 26 minutes.The products consisted of 3 main groups: food, cleaning and personal care products. There were 39 products in the food group (e.g. milk, cheese, coke), 17 products in the cleaning group (e.g. detergents) and 22 products in the personal care group (e.g. deodorant, shampoo, toothpaste). The prices of the products were taken from the supermarkets around Ankara and Istanbul.28 participants have participated in the first round of the experiment, which has done without actual buying endowment but instead participants have pretended to buy the products that they actually preferred. The participants for this experiment were undergraduate students from the Middle East Technical University and they were paid 10 Turkish Liras for their participation in the experiment. The second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the same experimental design but this time each of the participants were given 10 TL for their participation and 40 TL to purchase the products they prefer during the experiment. 11 participants (6 males and 5 females) have attended to this second experiment. The participants were also told that if they do not purchase any products or they do not spend all of the money, they would be able to get half of the unspent money. Since the products have been presented with their actual market prices, it has been much more likely and advantageous for the participants to spend all of their money.The data of one of the participants was excluded due to handedness, and 2 of them were excluded due to excessive artifact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task, each participant filled out a survey about their frequency of use (Range;1: Never – 5: Frequently) for each of the 78 products. The data obtained from 16 channels via fNIR at a temporal resolution of 2 Hz consists of 4 main parameters: Oxygenation (oxy), Total Hemoglobin (hbt), Hemoglobin (hb) and Hemoglobin 2 (hb2). Each reading is taken for 4 stages (fixation, picture, price, decision). The main underlying assumption has been to observe an increase in the relative concentrations of oxy and hbt values depending on the higher PFC activation during the product demonstration when compared to the fixation screen (that is presented before each block). Almost all of the channels illustrate a difference on average between buying and non-buying conditions. We have also expected to obser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tivation levels between purchasing and non-purchasing decisions. The processed data has been statistically analyzed with SPSS 20.0. Repeated Measures (RM) ANOVA has been performed in order to observe if the buying versus non-buying decision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fNIR signals that are averaged for each block of product, price and decision screens. The independent variable has been the binary buying decisions of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RM ANOVA test have demonstrated that the first experiment done with preference of the products do not implicat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uying and non-buying decisions. Thus our third hypothesis was based on observing a significant change in prefrontal activations due to participants’ product preferences (versus non-preferences). Thus it is more likely that the non-monetary simulated “buying” decisions, which do not actually end with purchasing products, do not elicit sufficient activation in the prefrontal regions to provide a detectable difference between preferred and non-preferred cases. Whereas the same statistical test performed for the results of the second experiment implicate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buying versus non-buying decisions for 2 of 16 voxels: V1, V8. For N=11, significant levels of activation was observed on Voxel 1, F(1.00, 9.00) = 8.35 , p < 0.2 (Greenhouse-Geisser corrected) and Voxel 8, F(1.00, 9.00) = 5.50 , p < .05 (Greenhouse-Geisser corrected). The waveforms averaged over 11 subjects show a significant separation among purchase and no purchase decisions especially in Voxels 1 and 8. This finding has been a support for our fourth hypothesis, which has been a modification of the third one. Our third and fourth hypothesis has hold that the buying decisions versus non-buying decisions elicit higher activation among the prefrontal cortices of the participants when the decisions end with the actual purchasing decision. To sum up, this empirical study could be accepted as a step for the specific research field of buying decision processes and neuromarketing research in general. The obtained results clearly implicate that specific prefrontal regions –both lateral and medial- might be activ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final buying decisions via the optic neuroimaging device, fNIR. Beside the technical limitations such as the appropriate presentation time, this study performed with fNIR method could be used as a baseline work for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dynamics of buying decisions and in the short-term several factors can also be investigated with this method. Therefore, it might also be possible for researchers to adapt this methodology for the sector-specific marketing research especially for pricing in the long-run.
        4,000원
        15.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통증은 매우 복합적이고 다양한 수준의 경험으로 주관적이거나 객관적일 수 있다. 침술은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아주 오래된 방법이며, 경락 이론을 바탕으로 한다. 침의 효과에 대한 임상적 결과들은 수없이 많이 있지만, 그 기능에 대한 과학적인 이해는 부족한 상태이다. 또한, 실생활에서의 통증 유발 원인과 침술을 통한 통증 억제 또는 치료는 그 차이가 매우 크게 느껴진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을 통해 통증과 침술의 관련성이 밝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급격히 발달하고 있는 뇌영상 기술들(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s, 및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electroencephalograph, magnetoencephalography)을 간략히 살펴보고, 이들을 이용한 통증 및 침술 연구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통증과 침술에 관여하는 뇌 영역들을 확인하여, 이 둘의 유사성 및 차이를 비교하고, 뇌영상 기술을 통해 밝혀지는 뇌의 정보처리 과정을 통해 통증과 침술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4,000원
        17.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통증은 다른 일반 감각과는 달리 감각적인 면과 정서적인 면이 있어, 인격, 기대, 암시, 과거 통증경험과 같은 개인의 심리적 특성이나 사회문화적 환경 등 여러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환자의 주관적인 통증의 호소를 객관화하려는 노력은 여러 통증 치료 의사들한테 많이 시도되어 왔으나 아직도 정확한 객관적인 진단방법이 나타나고 있지 않다. 최근에 PET이나 fMRI의 등장은 이러한 면에서 통증에 관한 연구를 하는 학자들에게 커다란 도움을 주고 있고 현재에도 이러한 뇌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많은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뇌는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부위의 뇌 신경활동이 항진되면 이와 함께 그 부위의 국소적 뇌 혈류 및 대사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생리적 변화를 이용하여 뇌에 국소적 신경활성화가 생기는 위치를 mapping 할 수 있다. mapping 대상 뇌 기능은 지각, 운동, 기억, 언어 등의 기능에서 출발하여 최근 감정, 정서, 사회적 인식, 도덕적 판단, 의식, 마음까지 조사대상이 넓어지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뇌 기능 영상기법에 대한 내용과 뇌 기능 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통증의 평가를 어떻게 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4,000원
        19.
        199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rtial flip angle spin echo( 이하 PFA SE) 腦영상의 임상적 유용성을 명가하기 위하여, 2.0T system 으로 80명의 환자 모두에게 두 가지 T2-weighted SE( 이하 T2-WI SE) sequence 를 척용하였다: 보면적인 二重echo T2-WI SE(2500/30.80 , 900 , INEX) 와 PFA 二重echo T2- WI SE(1200/30.70, 450 ’ 2NEX) , 이 두 가지 sequence 의 비교 연구는 (1) 환자 65 명에게 있어서 PFA SE 테크닉과 flow compensating gradients( 이하 FCG) 를 사용하지 않은 보펀척 SE 와의 비 교, 그러고 (2) 15 명의 환자에게 있어서는 PFA SE 와 FCG 를 사용한 보면척 SE 테크닉으로 수행되었다. 各sequence 의 검사 시간은 거의 통일하다. 여기에서 PFA T2-WI SE 영상 은 대조도 특성과 버정상 조직의 탐지율에 있어서 보연적인 SE 테크닉으로 얻어 지는 것과 거의 일치됨을 알 수 있었다 (1 00% , 85/85 명소), 또한 FCG 를 사용않 은 보펀적 SE 에서 자주 나타나는 brain stem, temporal lobe, basal ganglia 부위 동에서의 f1 0w arti fact 가 PFA SE 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더우기 PFA SE 영상은 FCG 를 사용한 보연적 SE 에서 통상 보여지는 aqueduct 內의 CSF flow void 의 억제가 없음을 보여 주었다. PFA SE 전체 영상의 질적 측면에서, 특히 2nd echo 영상은 FCG 를 사용한 보편적 SE 영상과 거의 대동하였다 45 1> f1 ip angle 은 홈含水 비정상 조직의 대부분과 CSF 에 주어진 1200msec TR 에서 최대한의 signal 을 발생시키는 Ernst angle 에 근접한 듯이 보인다. 결론적으로 PFA SE sequence (즉 , 1200/30-70, 450 , 2NEX) 는 어떠한 임상 적 상휩 및 환자의 영상화에 있어서 일차척이거나 부수척인 테크닉으로 유용하 리 라 생각된다. 보면척 인 T2- WI SE imaging 은 긴 acquisition time 을 요하며 같은 S/N 비를 나타내기 위하여 더 두꺼운 slice thickness(5 --) 7mm) 로 시행 하여야 하고 우려할 만한 motion arti fact 를 야기시키는 동의 몇몇 불러한 입 장에 있다. 물론 오늘날 motion arti fact 에 대한 문제는 ECG 나 주위 맥박 (pluse) 의 gating, 그러고 FCG 퉁의 이용으로 거의 해결되 었다.<16-20> 두뇌 영 상에서 f1 0w artifact 를 감소시킴에 있어서 gradient 모멘트 억제 효과 (moment nulling) 로 얻은 영상은 cardiac gating 을 하여 얻은 영상 보다 시각 적으로나 정량적으로도 우세하게 여겨지고 있다 <19 , 20), 그러나 FCG 를 이용한 imaging 은 CSF flow-void 현상의 억제를 비롯한 흐르는 피 (flowing blood) 로 부터의 증가된 signal -특히 cortical vein 과 dural vein 內또는 기까이에서 - 과 보다 강력한 gradient pulse waveform 및 H/W 의 보강을 요하는 동의 불 러한 조건을 갖고 있다.
        4,000원
        20.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흡연자와 한국형 알코올 선별 검사법 (AUDIT-K)설문지 척도점수에 따라 적정음주군(10점 이하)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뇌 백질의 손상 유무를 파악 할 수 있는 확산텐서영상을 검사하고 영상을 획득 한 후 Tract-Based Spatial Statics(TBSS)방법으로 뇌 백질 부위의 신경섬유로의 비등방도 FA(fractional anisotropy)값을 측정 분석한 결과 연령과 체질량지수(BMI)의 변인에 따른 뇌 백질 모든 영역에서 FA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본 연구의 결과 값으로 추측하자면 즉, 연령과 체질량지수(BMI)는 뇌 백질의 미세구조성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고 할 수 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