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year of 2013, anthracnose disease symptoms were observed on stem of stonecrop in a plant resource field, Southern Forest Resource Research Center, Jinju, South Korea. The disease symptoms were appeared 2-5 cm smudged irregular black spot color on the plant stems. Suspected pathogen was isolated from the lesion with surface sterilization method and identified it as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analyses. Artificially inoculated the isolated pathogen led to the similar disease symptom as originally observed in the field. The fungal pathogen was re-isolated from the inoculated lesion and it exhibited the sam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original isolat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nthracnose of stonecrop grown in open fields,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n Korea.
Background : Two major forest medicinal resources, Korean angelica (Angelica gigas Nakai) and Cnidii rhizoma (Cnidium officnale Makino) were used as medicinal herbs for long times and in these day consumed as cosmetic materials. For keep pace with a mass demand and supply, pesticides were should be sprayed for control of pests and plant diseases. However, the social concerns on well-balanced life, pesticides safety, and continuous and stable production of clean non-timber products were increased with the times. Therefore, environmental-friendly cultivation was increased before decade. This study performed for selection of effective control agents to hyphal growth of leaf spot and anthracnose in two medicinal resources.
Methods and Results : The antifungal effects of eugneol, pine needle E.O, and 7 natural product extracts (Sophora root, green tea, neem, eucalyptus, grapefruit seed, derris, and 36% rosin) were evaluated against two plant pathogens (Phoma sp., and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fter re-loading of each 20 ㎕ natural product extracts to the PDA plate which loaded two spore dilution (106 spores/㎖) 100 ㎕, the hyphal growth control effects to pathogens were confirmed. Among 9 control agents, eugenol and pine needle E.O were the most effective, and then Sophora root, green tea, and neem. However, 4 agents (eucalyptus, 36% rosin, grapefruit seed, and derris) were not effective.
Conclusion : It confirmed that possibility as a control agents of eugenol and pine needle E.O to leaf spot (Phoma sp.) of Korean angelica and anthracnose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of Cnidii rhizoma, respectively. We will be developed as commercial products safe in the forest lands
본 실험에 사용한 C. gloeosporioides는 밤나무 재배단지에서 탄저병 증상을 보이는 밤나무 종실로부터 분리하였고, ITS 영역 유전자의 염기서열 및 형태하적 분석을 통하여, C. gloeosporioides로 동정하였다.
병원성 검정실험에서, 80% Eucalyptus oil 및 B. subtilis GG95 10배액 처리구가 C. gloeosporioides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하였고, 최종배합은 Eucalyptus oil 40%, B. subtilis GG95 40% 외 제제화용 첨가제 20%로 하였다.
2012년도 포장실험에서, 자봉 품종 시제품 500배 4회 처리구의 방제가는 무처리구 대비 60.9%로 조사되었고, 2013년도 포장실험에서, 자봉 품종의 방제가는 250배 처리구가 71.2%로 가장 높았다. 조생종 및 중생종보다 만생종에서의 방제가 69.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착과이후 종실이 작을 때부터 약제 처리를 하면, 방제가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포장 500배 4회 처리후 수확물인 조생종 단택에서는 4℃ 저장에서의 방제효과는 약 61.9%로 조사되었고, 25℃ 저장에서의 방제효과는 63.2%의 방제가로 조사되었고, 실내 단태 품종에 대한 방제가는, 250배에서 81.16%, 500배에서 75.36%로 측정되었으나, 1000배의 효과는 낮은 편이므로, 최소한 500배 이상의 처리가 필요시 된다.
상기의 결과를 바탕으로 밤나무 종실에 발생하는 탄저병을 효율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 는 착과 이후 개발제품을 500배 희석농도로 4회 경엽처리하고 수확후 250배로 침지 처리한 후 저장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search microorganisms having the antifungal activity against ginseng Alternaria blight pathogen Alternaria panax and ginseng anthracnose pathogen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Eleven Bacillus strains. were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soybean paste and Kimchi. Among the 11 isolates, DJ5, KC1, KC2 and KC4 showing antagonistic activity on the mycelial growth of A. panax and C. gloeosporioides in pairing culture were finally selected as the antagonistic microorganisms. Based on 16s rRNA sequence and phylogenetic tree analysis, they were identified as Bacillus spp.. The selected microorganisms were investigated antagonistic activity by measured leaf-segment colonization in pot test. When Bacillus sp. were injected after A. panax treatment, KC1, KC2 and KC4 showed similar effect to chemical pesticides treated control. To measure preventive effect of Bacillus sp, antagonistic microorganisms were injected and C. gloeosporioides was treated in pot. When measuring the effectiveness for the prevention of Anthracnose, All Bacillus spp. showed approximately 83~90 % degree of superior preventive effect. In general, The four Bacillus spp.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showed therapeutic effect of Alternaria blight and preventive effect of Anthracnose.
16과 20종의 공시 식물체 중 양파(Allium cepa), 대황(Rheum undulatum) 및 황련(Coptis japonica) 등의 추출액이 인삼 탄저병균(C. gloeosporioides)에 대해 균사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양파와 대황은 배지내의 추출액 농도가 1.0% 이상일 때 균사 생장억제 효과가 인정 되었고, 황련의 추출액은 배지 내의 농도가 0.5% 이상일 때에도 균사 생장 억제 효과가 50% 이상으로 나타나 공시된 식물체 추출액 중에서 항균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양파의 추출액은 10.0% 희석농도에서는 60% 이상의 발아 억제 효과가 있었고, 대황의 추출액은 2.0% 그리고 황련의 추출액은 1.0%의 희석 농도에서도 포자 발아억제율이 90% 이상으로 나타나 황련추출액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양파와 대황의 추출액은 2.0%의 희석농도에서는 어느 정도 방제 효과가 있었으나 1.0% 이하의 희석 농도에서는 효과가 많이 떨어졌고, 황련의 추출액은 1.0%의 희석농도에서도 50%이상의 방제 효과가 있었으나, 3가지 식물체 추출액 모두 대조약제인 Mancozebwp에 비해서는 그 효과가 상당히 떨어지는 경향이 었다. 세가지 식물체 추출액 모두 10.0%의 희석농도에서는 인삼 잎의 엽육이나 엽맥이 갈변하는 등의 약해의 징후가 나타났고, 황련의 추출액은 2.0%의 희석 농도에서도 약간의 약해 징후가 관찰되었다.
최근(最近) 재배(栽培) 면적(面積)과 수요(需要)가 급증(急增)되고 있는 구기자(拘杞子) 재배시(栽培時) 치명적(致命的) 피해(被害)를 주는 구기자(拘杞子) 탄저병(炭疽病)에 대한 약제(藥劑) 시험(試驗) 결과(結果) 1. 탄저병(炭疽病) 발병(發病) 시간(時間)는 7월 중순(中旬)과 8월 중순이 가장 심(甚) 하였으며 평균온도(平均溫度) 25℃ 전후(前後)의 조건하(條件下)에서 발병율(發病率)이 가장 높았다. 2. 운곡면(雲谷面)과 대치면(大?面) 모두 프로피 수화제의 방제가(防除價)가 81.5%와 93.4%를 나타내어 약효(藥效)가 가장 우수(優秀)하였다. 3. 디치돈 수화제와 프로피 수화제 모두 기준량(基準量)과 배양(倍量) 공히 약해(藥害)가 발생(發生)하지 않았다.